$\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3, 2019년, pp.41 - 55  

임양미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s, under the condition of controlling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We used data from 1,325 1st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로 진입함으로써 발달적 변화가 발생하고, 초등학교에 비해 학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며, 수업방식 및 인간관계에서도 많은 변화가 시작되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수집된 다문화 청소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다문화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주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제기되는 시점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주로 초등 학생에 집중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6), 본 연구는 대규모의 국가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경험적으로 입증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Kim, 2011; Kim & Kim, 2015; Park & Lee, 2019)을 통해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 배경변인(가정의 소득, 부모학력,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에 대한 사전 분석결과, 학교생 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시, 통제변인으로 투입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지지와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경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해 봄으로써 가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정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2000년대 초반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이주자가 늘어나면서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왔다. 다문화 가정의 범위는 외국인 근로자 및 국제결혼 가정, 새터민 가정을 포괄하고 있으나 정책적 관심이 집중된 대상은 주로 외국인 여성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여 형성한 국제결혼 가정이었다.
다문화 청소년이 비 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학교적응 문제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Park과 Oh(2014)에 의하면,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수준이 비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학교수업 방식의 변화, 학업성취에 대한 요구증가로 인한 스트레스 외, 문화적 배경이 다른 부모로 인해 갈등을 경험할 확률이 높고, 성장하면서 외국 출신의 부 또는 모와 학교생활에 대한 의사 소통 및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며 사회적 차별 및 편견에 노출되어 있어 학교생활에서의 적응이 더 어려울 수 있다(Park & Lee, 2010; Park & Lee, 2019). 또한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은 소득 수준이 낮고 주거환경과 교육적 지원 또한 열악하므로, 이러한 현실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Park & Oh, 2014).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여러 연구들을 통해 부모의 애정 및 관심, 감독 등은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방임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Lim & Lee, 2017; Park & Lee, 2010; Sohn, Kim, Park, & Kim, 2012). 또한 자아탄력성은 새롭거나 문제가 있는 환경에서 자아통제 수준을 적절히 유지하여 목표에 달성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적 특성으로 (Block & Kremen, 1996), 어렵거나 힘든 환경에서 긍정적인 적응을 유발하는 주요한 심리적 구인이다. 따라서 자아탄력성 은 다문화 학생이 발달적⋅환경적 위험요인에 노출될 경우 그러한 위험요인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n, S.-J., Lee, H.-C., & Lim, J.-Y. (2013). The influences of conflict with parent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2), 77-91. doi:10.7466/JKHMA.2013.31.2.077 

  2. Block,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3. Cho, I. J., & Hyun, A. N. (2012). Structural relations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1), 177-206. 

  4.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10.1037/0033-2909.98.2.310 

  5. Coleman, J. S. (1990).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University of Harvard Press. 

  6. Go, E., & Kim, S.-H. (2018). The effect of bilingual ability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school life adapt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Bilingual Research, 72, 1-23. doi:10.17296/korbil.2018..72.1 

  7. Han, H. S. (2012). The 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y and the moderating of effect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Hong, N.-M., & Park, H.-J.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influence of parents’ negl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8(2), 125-151. 

  9. Hwang, S.-D., & Park, E. (2010).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4), 123-145. 

  10. Huh, M. Y. (2000).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I, E.-J., & Rhee, C.-W. (2014).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impac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bonding-.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9, 433-455. 

  12. Jeong, S., & Kim, J. (2017). The relations of parenting behaviors to ego resili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8(3), 253-270. doi:10.15703/kjc.18.3.201706.253 

  13. Jun, K.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rmal family in Gyeonggi Prefecture: Based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6(1), 167-185. 

  14. Kang, B. J., Kim, E. H., & Nho, C. R. (2012).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y among father-headed families and mother-headed familie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3, 29-50. 

  15. Ki, M.-H., & Kim, M.-S.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cused on 4th,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hool Work, 29, 585-612. 

  16. Kim, G.-H., & Hwang, E.-H. (2012). The relations among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high school girl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660-4668. doi:10.5762/KAIS.2012.13.10.4660 

  17. Kim, H., & Lim, Y. (2019).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ediating role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1), 113-134. doi:10.18023/ijece.2019.25.1.006 

  18. Kim, H., & Moon, H. (2013). School adjustment: Compar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of non-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4), 7-31. doi:10.20970/kasw.2013.65.4.001 

  19. Kim, H. J. (2011).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A comparative study of poor and non-poor children.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 1-22. 

  20. Kim, M., & Yun, K. (2018).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egoresiliency.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1), 373-388. doi:10.21097/ksw.2018.02.13.1.373 

  21. Kim, M.-K., & Kim, H.-Y. (2015).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oping strategie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2), 367-385. doi:10.13049/kfwa.2015.20.2.367 

  22. Kim, S.-G. (2001). The important factor of school dropout: Based on the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3. Kim, S.-K., & Yang, K.-M. (2012). The Study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ego-resilienc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1), 147-176. 

  24. Kim, S.-O., & Kim, H. (2016).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6), 462-473. doi:10.5392/JKCA.2016.16.06.462 

  25. Kim, Y. C., & Lee, K. S. (2013). The research for the family function, ego-resili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3(1), 21-38. 

  26.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n, New York, NY: Guilford. 

  27. Lee, H., & Park, M. (2017). The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28. Lee, J.-C. (2019). The effect of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chool adaptability o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2), 877-897. doi:10.24159/joec.2019.25.2.877 

  29. Lim, Y. (2018).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male?female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Moderating roles of peer attachment and closeness to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2), 57-75. doi:10.19031/jkheea.2018.06.30.2.57 

  30. Lim, Y., & Lee, O. (2017).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maltreatment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2), 393-404. doi:10.1007/s10826-016-0573-8 

  31. Lim, Y.-M. (2013). Exploration of variables effecting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Focusing 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2), 147-167. 

  32. Min, B. S. (1991). Effect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concept on school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3.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8). Education statistics. Chungbuk: Author. 

  3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6).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Seoul: Author. 

  3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Population statistics. Sejong-si: Author. 

  36. Nam, Y. J., & Lee, S.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ther's attachment, self-concept, daily stress, depress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3), 357-367. 

  37. Noh, M., Heo, M., & Choi, Y. S. (2015).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car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2), 119-134. doi:10.7466/JKHMA.2015.33.2.119 

  38.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2019).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Sejong-si: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39. Park, H., & Oh, S.-B. (2014). A study of school adap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Korean Education Inquiry, 32(2), 35-57. 

  40. Park, H.-H., & Lee, Y. J. (2019).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725-743. doi:10.24159/joec.2019.25.1.725 

  41. Park, K.-R., & Lee, J.-M. (2010).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fluencing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aegu Gyeongbuk A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6), 981-991. 

  42. Park, Y.-H., & Lee, S.-D. (2017). Exploring the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elementary to middle-school transition for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Education Inquiry, 35(4), 1-19. doi:10.22327/kei.2017.35.4.001 

  43. Seo, B.-J. (2017).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justment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 teenager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4(3), 111-133. 

  44. Seol, D. H., & Yoon, H. S. (2008). Socioeconomic adaptation and welfare policy for immigrant women on marriag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countries of origin.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4(2), 109-133. 

  45. Sohn, B.-Y., Kim, S.-J., Park, J.-A., & Kim, Y.-H. (2012). The effects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upon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Studies on Korean Youth, 23(1), 149-173. 

  46. Un, S.-K.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37-74. 

  47.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48. Woo, J. P. (2012). Concepts and knowledg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arae Academy. 

  49. Yang, S.-N., Kim, W.-Y., & Kim, Y.-O. (2013).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experience of child rearing.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1), 71-94. 

  50. Yang, S.-Y., Park, S.-K., & Kim, M.-S. (2013).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6), 270-282. doi:10.5392/JKCA.2013.13.06.270 

  51. Yoo, S. (2008).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7), 157-180. 

  52. Yoo, S. K., & Shim, H. W. (2002).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89-206. 

  53. Yu, B. A., & Ok, K. H. (2013).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chool adjust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511-538. doi:10.13049/kfwa.2013.18.4.5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