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자녀가치와 문화성향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value of children and cultural orientation on th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369 - 377  

신건호 (강남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가치와 문화성향이 자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286명을 대상으로 자녀가치, 문화성향과 양육참여, 그리고 개인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아버지의 자녀가치 중 정서적 가치는 양육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도구적 가치는 부정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문화성향 중 집단주의가 개인주의보다 상대적으로 양육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 중 학력은 양육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아버지가 자녀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아버지의 문화성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추후의 연구와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her's value of children and cultural orientation on th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86 fathers on FPI, VOC, and COR, which the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가치와 문화성향이 자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녀가치를 도구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 그리고 사회적 가치로 나누고, 문화성향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로 구분하여 선행변인으로 하고 양육참여와 양육참여의 5개 하위 요인을 후행변인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주제를 떠오르고 있는 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아버지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지적한 변인 중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과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에 대한 갖고 있는 가치, 그리고 아버지가 가진 문화성향을 선행변인으로 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주제를 떠오르고 있는 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아버지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지적한 변인 중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과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에 대한 갖고 있는 가치, 그리고 아버지가 가진 문화성향을 선행변인으로 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가치에 따라 양육참여가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 아버지의 자녀가치와 양육참여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아버지가 가진 자녀가치의 유형은 양육참여에 영향을 주는 중요 변인으로 지적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가치가 양육참여에 중요한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가설로 하여 경험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개인적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다른 한편으로 아버지가 속한 사회와 문화의 가치나 규범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아버지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지적한 변인 중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과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에 대한 갖고 있는 가치, 그리고 아버지가 가진 문화성향을 선행변인으로 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가치에 따라 양육참여가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아버지가 자녀를 긍정적이고 정서적인 가치의 존재로 지각하는 경우 도구적으로 지각하는 경우보다 양육참여가 높을 것으로 보았다.
  • 아버지가 자녀를 긍정적이고 정서적인 가치의 존재로 지각하는 경우 도구적으로 지각하는 경우보다 양육참여가 높을 것으로 보았다. 아버지의 문화성향에 따라 자녀의 양육참여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우리사회에서 아버지가 개인주의적 가치를 가질 때보다 집단주의적 가치를 가질 때 양육참여가 높을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 검토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2. 아버지의 문화성향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줄 것인가?
  • 연구문제 1. 아버지의 자녀가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줄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가치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 선행연구들은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에 대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변인이 자녀가치에 주목하고 있다[15-18]. 자녀가치란 자녀에 대한 부모개개인의 생각으로 자녀를 가짐으로 생기는 손실과 이득에 관한 가치판단이다[19]. 권용은의 연구는 부모가 평가하는 자녀가치를 도구적 가치, 사회적 가치, 그리고 정서적 가치의 하위요인으로 제시하였다[19].
한국은 자녀가치가 이중적인 특성을 보이는데 이것의 의미하는 바는? 일반적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부여하는 긍정적 가치가 높으면 부정적 가치가 낮아지는데 비하여 한국의 경우 특이하게 자녀에 대한 긍정 가치와 부정 가치가 모두 높은 이중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이중적인 결과에 대한 가능한 해석 중의 하나는 우리 사회에서 자녀는 부모의 만족과 기쁨을 갖게 하는 요인이지만, 부모의 자유나 경제활동에 영향을 주고 때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0]. 따라서 부모가 자녀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는지에 따라 자녀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는 자녀양육참여에 서 구체적으로 자녀를 돌보는 역할뿐 아니라 자녀와 놀이, 그리고 운동, 예절의 지도, 애정표시와 훈육역할 등으로 다양하게 자녀의 양육을 도와주고 참여한다[6,7]. 다른 한편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심리적 부담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어머니로 하여금 사회와의 단절감을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자녀와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S. Shim & K. H. Shin. (2018). The Effects of Fa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Value of Childr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399-408 

  2. M. E. Lamb. (2004).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4th ed.), New York: Wiley. 

  3. S. Y. Son. (2013). A Study on TV Advertisements of Father Rol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4(5), 219-227. 

  4. Y. S. Han. (2006). The Relation of the Father'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Father Relationship, Child's Social Competence with the Types of Children's Pla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2), 189-212. 

  5. S. M. Ahn. K. Y. Lee & S. M. Lee. (2013).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Tim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2), 93-119. 

  6. J. J. Bigner. (1977). Attitudes toward fatherinf and father-child activity.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6, 89-106. 

  7. R. C. Barnett & G. K. Barch. (1987). Dete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1), 9-40. 

  8. E. H. Joung & Y. S. Choi. (2013).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and Second Birth for Married Women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1), 5-34. 

  9. B. Lee & K. S. Lee. (2013).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self-control ability.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3), 191-206. 

  10. E. W. Lindsay & Y. M. Caldera. (2006). Mother-father-child triadic interaction and mother-child dyadic interaction: Gender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contexts sex roles. Journal of Research, 55(7), 511-521. 

  11. J. M. Lee, E. H. Rho & Y. H. Kim. (2016). Korean Fathers' Parenting Style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Participatio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0(3), 331-346. 

  12. M. R. Chung. B. S. Lee & S. K. Park. (2013).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Toddler's Father Involvement.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7(2), 449-469. 

  13. H. K. Kang. (2004). Parenting Stress of the Fa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by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Job Flexibility.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1), 87-105. 

  14. R. H. Kang. (2001). The Fathers' care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Social Competence-A Comparison of single income families and double income families. Korean Journal of Japen Education, 5(1), 189-201. 

  15. M. R. Chung & S. K. Kang. (2013).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Parents' Experiences in their Family-of-origin,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Expect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8(2), 177-202. 

  16. M. K. Kwon. (2011).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2), 19-41. 

  17. J. M. Kim & J. W. Han. (2016).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in Childhood: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437-445. 

  18. K. E. Jahng & H. J. Lim. (2015).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parenting responsibility of mothers with inf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2), 49-71. 

  19. Y. E. Kwon. (2003).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Value of Children across Three generations: Comparative Analysis Adolescents, Mothers, and Grandmothers.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20. Y. E. Kwon & U. C. Kim. (2004). Value of Children and Fertilit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al, 13(1), 211-226. 

  21. J. M. Kim & J. W. Han. (2016).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in Childhood: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437-445. 

  22. G. Hofstede. (1982). Culture's consequence: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23. M. H. Lee.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ather's Parenting Involveemnt Scales for Fathers having Young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24. T. M. Singelis. H. C. Triandis. D. P. S. Bhawuk & M. J. Gelfand.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 Cultural Reasearch, 29, 240-275. 

  25. H. K. Park.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ism-Collectivism, Client's Expectations of the Counselor's Role, and Therapeutic Factors with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6. Y. J. Song, M. R. Lee & H. Y. Chun. (2014).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of Continuou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 Values, Knowledge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5), 15-35. 

  27. K. E. Jahng & H. J. Lim. (2015).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parenting responsibility of mothers with inf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2), 49-71. 

  28. E. M. Yeon & H. S. Choi. (2015). Actor and Partner Effect of Infant-Parent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atile, 90, 79-109. 

  29. M. K. Kim. (2018). A Convergent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89-197. 

  30. M. S. Oh.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197-203 

  31. K. S Kim, K. S. Shin & H. M. Lee. (2017).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Tim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or Attach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39-149 

  32. E. H. Lee & Y. J. Yang. (2018).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