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리(Prunus avium L.)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Prunus avium L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7 no.4, 2009년, pp.371 - 376  

안선미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희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동균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정인창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양앵두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양 앵두 추출물의 약 40%는 당류 성분이었으며, 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01%, 3.45%, 16.30% 및 80.24%로 나타나 양앵두 열수 추출물의 대부분이 부탄올 분획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물 잔류물은 34%의 총당을 함유하였다. 조제된 열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세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MIC, 0.5~1.0 mg/mL),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Candida 활성은 헥산 분획에서만 확인되었으며,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MIC, 0.5~1.0 mg/mL). 항산화능 평가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195.5\;{\mu}g/mL$)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양 앵두가 우수한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가진 유용한 과일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ruits of sweet cherry are highly appreciated by the consumer due to their precocity and quality, such as their sweetness, color and sourness. In this study, the hot-water extract and its sequential organic solvent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domestic Napoleon sweet cherry (Prunus avium L.)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양앵두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양앵두 추출물의 약 40%는 당류 성분이었으며, 이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분획효율은 각각 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양앵두의 유용 생리활성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재배된 나폴레옹 양앵두의 열수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세균, 항캔디다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DPPH 소거활성, 환원력 평가, superoxide 제거능을 평가하여 양앵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양앵두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에서 우수한 항캔디다 활성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앵두의 생리 활성 효과는? 87%)과 cyanidin-3-rutinoside, cyanidin3-glucoside 등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4, 13, 24, 25]. 양앵두의 생리활성으로는 폴리페놀 화합물들에 의한 항산화 활성[19, 20], 퇴행성 뇌질환 예방 활성[8], 항암 활성, LDL-콜레스테롤 경감 효과[5], 항염증활성 및 관절염 예방 효과[6] 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앵두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빵, 떡 및 술 등의 가공식품 개발[1, 10, 14] 및 천연 적색색소를 대체하기 위한 소재개발 연구[11]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앵두류 과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이 일부 보고된 바 있으나, 양앵두 분획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된 바는 없다.
양앵두 원종의 자생지는 어디인가? 양앵두는 쌍떡잎식물 장미과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로 야 앵두, 양앵두, 체리, 단체리, 단벚나무, 단버찌 등의 다양한 이름을 가지며, 원종의 자생지는 카스피해에서 발칸반도에 이르는 아시아 서부와 유럽 동부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에 일본인에 의해 경주지역 등에 처음으로 과원이 조성되어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국내 양앵두의 70% 이상이 경주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양앵두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항미생물 활성 평가는 어떤 결과가 나타났는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물 잔류물은 34%의 총당을 함유하였다. 조제된 열수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세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MIC, 0.5~1.0 mg/mL),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Candida 활성은 헥산 분획에서만 확인되었으며,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MIC, 0.5~1.0 mg/mL). 항산화능 평가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IC50:1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ovanalikit, A. and R. E. Wrolstad. 2004. Total anthocyanins and total phenolics of fresh and processed cherries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J. Food Sci. 69: 67-72 

  2. Choi, O. K., Y. Kim, G. S. Cho, and C. K. Sung.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 J. Food. Nutr. 15: 300-306 

  3. Connor, A. M., C. E. Finn and P. A. Alspach. 2005. Genotyp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among blackberry and hybrid berry cultivars. J. Am. Soc. Hort. Sci. 130: 527-533 

  4. Gao, L. and G. Mazza. 1995. Characterization, qua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anthocyanins and colourless phenolics in sweet cherries. J. Agri. Food Chem. 43: 343-346 

  5. Goncalves, B., A. K. Landbo, M. Let, A. P. Silva, E. Rosa and A. S. Meyer. 2004. Storage affects the phenolic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rries (Prunus avium L.) 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s. J. Sci. Food Agri. 84: 1013-1020 

  6. He, Y. H, J. Zhou, Y. S. Wang, C. Xiao, Y. Tong, J. C. Tang, A. S. Chan, and A. P. Lu. 2006.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herries on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Scand. J. Rheumatol. 35: 356-358 

  7. Kang J. K., and G. R., Cho. 2007. Production situation and demand estimates of cherry (Prunus avium L.) in Korea. Kor. J. Intl. Agri. 19: 214-223 

  8. Kim D. O., H. J. Heo, Y. J. Kim, H. S. Yang and C. Y. Lee, 2005. Sweet and sour cherry phenolics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cells, J. Agri. Food Chem. 53: 9921-9927 

  9. Kim J. I., H. S. Jang, J. S. Kim, and H. Y. Sohn.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10. Kim, K. H., S. Y. Lee and H. S. Yoo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38: 750-756 

  11. Kim, Y. H. 1999. The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prepared from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or the potential sources of red colorant. J. Kor. Soc. Agric. Chem. Biotech. 42: 134-139 

  12. Lee, S. A., K. H. Kim, S. Y. Lee, K. H. Joung, S. H. Cho and H. S. Yook.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fruit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 Soc. Food Sci. Nutr. 38: 574-579 

  13.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4. Rodtjera A., H. L. Skibsteda and M. L. Andersen. 2006. Antioxidative and pro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made from cherry liqueur pomace. Food Chem. 99: 6-14 

  15. Ryu, H. Y., E. J. Kum, K. H. Bae, Y. K. Kim, I. S. Kwon, and H. Y. Sohn.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310-315 

  16. Ryu, H. Y., I. S. Kwun, S. J. Park. B. H. Lee, and H. Y. Sohn. 2007. Inhibition of browning in yam fresh-cut and control of yam-putrefactive bacterium using acetic acetic or maleic acid.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135-141 

  17. Ryu, H. Y., J. C. Heo, J. S. Hwang, S. W. Kang, C. Y. Yun, S. H. Lee and H. Y. Sohn. 2008. Screening of thrombin inhibitor an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wild insects. Kor. J. Life Sci. 18: 363-368 

  18. Schwartz, K., G. Bertelsen, L. R. Nissen, P. T. Gardner, M. I. Heinonen and A. Hopia. 2001. Investigation of plant extracts for the protection of processed foods against lipid oxidation. Eur. Food Res. Tech. 212: 319-328 

  19. Seeram, N. P., R. A. Momin, M. G. Nair and L. D. Bourquin. 2001. Cyclooxyge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cyanidin glycosides in cherries and berries. Phytomedicine 8: 362-369 

  20. Serrano, M., F. Guillen, D. Martinez-Romero, S. Castillo and D. Valero. 2005.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J. Agri. Food Chem. 53: 2741-2745 

  21. Singleton V. L, R. Orthofer, and R. M. Lamuela-Raventos.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22. Sohn, H. Y. H. Y. Ryu, Y. Jang, H. S. Jang, Y. M. Park, and S. Y. Kim. 2008.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23. Sohn, H. Y., K. H. Son, C. S. Kwon, G. S. Kwon, and S. S. Kang. 2004.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y of 18 prenylated flavonoids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Morus alba L., Morus mongolica Schneider, Broussnetia papyrifera (L.) Vent, Sophora flavescens Ait and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Phytomedicine 11: 666-672 

  24. Valentina U., J. Fabcic and F. Stampar. 2007.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25. Wang, H., M. G. Nair, G. M. Strasburg, Y. C. Chang, A. M. Booren, J. I. Gray and D. L. Dewitt. 1999.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thocyanins and their aglycone, cyanidin, from tart cherries. J. Nat. Prod. 6: 294-296 

  26. Yigit, D., N. Yigit and A. Mavi.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itter and sweet apricot (Prunus armeniaca L.) kernels. Brazilian J. Med. Biol. Res. 42: 346-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