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리류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Berry Ju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2, 2015년, pp.328 - 334  

남진식 (수원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한영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  여수민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와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베리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억제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체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농도별로 측정한 베리 착즙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에 따라 높아졌다. 특히,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의 소거능이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RAP 활성은 6가지 베리 열매 중 아로니아의 활성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아로니아 착즙액의 FRAP 활성은 25% 포도 착즙액의 5배 이상이었다. 베리 열매 착즙액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크랜베리와 라즈베리가 대부분의 식중독 균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베리 열매 착즙액이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크랜베리와 라즈베리의 농도별 항균활성은 원액과 75%의 농도에서만 각각 7가지, 6가지 식중독 균에 대해 생육저해를 보였고, 50%, 25%의 농도에서는 식중독 균 중 일부만 생육저해를 나타내었으며, 10%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든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는 다른 베리에 비해 높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보임으로써 천연보존료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berry juices (cherry, grape, blueberry, aronia, cranberry, and raspberry). The cherry, aronia, and cranberry juices included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 than the other berry juices. The DP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와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베리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 억제 효과를 비교 . 조사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베리 열매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 억제 효과를 비교 . 조사함으로써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70-76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535-540 

  3. Boo HO, Shin JS, Hwang SJ, Bae CS, Park SH. 2012.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pigments. Korean J Plant Res 25:80-88 

  4. Burdulis D, Sarkinas A, Jasutiene I, Stackevicene E, Nikolajevas L, Janulis V.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hocyanin compositi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in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 and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fruits. Acta Pol Pharm 66:399-408 

  5. Chung HJ.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Korean J Food Preserv 19:712-719 

  6. Collins CH, Lyne PM, Grange JM. 1989. Collins and Lyne's Microbiological Methods. 6th ed. p.161 

  7. Hakinen S, Heinonen M, Kaenlampi S, Mykkaen H, Ruuskanen J, Toroen R. 1999. Screening of selected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19 berries. Food Res Int 32:345-353 

  8. Hwang SJ, Yoon WB, Lee OH, Cha SJ, Kim JD. 2014. Radicalscavenging- like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Food Chem 146:71-77 

  9. Jakobek L, Seruga M, Medvidovic-Kosanovic M, Novak I. 2007. Anthocya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red fruit juices. Deutsche Lebensmittel-Rundschau 103:58-64 

  10. Jang HL, Yoon KY. 2012. Biological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ethanol extracts of white and flesh-colored Solanum tuberosum L. potato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035-1040 

  11.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375-1381 

  12. Jeong JM. 2008.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09-1113 

  13. Krisch J, Odoh L, Galgozy L, Papp T, Vavogyi C. 2009. Anticandidal effect of berry juices and extracts from ribes species. Open Life Sciences 4:86-89 

  14. Lee HA, Nam ES, Park S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6:29-34 

  15. Lee HH, Moon YS, Yun HK, Park PJ, Kwak EJ. 2014. Contents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ivated and wild raspberries. Kor J Hort Sci Technol 32:115-122 

  16. Marina Heinonen I, Lehtonen PJ, Hopia AI.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erry and fruit wines and liquors. J Agric Food Chem 46:25-31 

  17. Martineau LC, Couture A, Spoor D, Benhaddou-Andaloussi A, Harris C, Meddah B, Leduc C, Burt A, Vuong T, Le PM, Prentki M, Bennett SA, Arnason JT, Haddad PS. 2006. Anti-diabetic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Phytomedicine 13:612-623 

  18. McFarland J. 1907. Nephelometer: an instrument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bacteria in suspensions used for calculating the opsonic index and for vaccines. J Am Med Assoc 14:1176-1178 

  19. Nam JH, Joo KJ. 2004. Phenolic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ome selected fruit juices and fermented grape jui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501-507 

  20. Pantelidis GE, Vasilakakis M, Manganaris GA, Diamantidis G. 2007. Antioxidant capacity, phenol, anthocyanin and ascorbic acid contents in raspberries, blackberries, red currants, gooseberries and Cornelian cherries. Food Chem 102:777-783 

  21. Puupponen Pimia R, Nohynek L, Meier C, Kakoen M, Heinonen M, Hopia A, Oksman-Caldentey K. 2001.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berries. J Appl Microbiol 90:494-507 

  22.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37-44 

  23. Seeram NP, Adams LS, Zhang Y, Lee R, Sand D, Scheuller HS, Heber D. 2006. Blackberry, black raspberry, blueberry, cranberry, red raspberry, and strawberry extracts inhibit growth and stimulate apoptosis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4:9329-9339 

  24. Su M, Silva JL. 2006.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by-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97:447-4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