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조합 대장균 유래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제조 및 이의 임상실험을 통한 주름개선 효능 평가
Prepar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beta$-carotene Derived from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and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icacy by Clinical Testing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7 no.4, 2009년, pp.399 - 404  

김유근 (KB코스매틱) ,  이영훈 (KB코스매틱) ,  강문국 (청담화이트의원) ,  이병학 (화이트뷰피부클리닉) ,  윤준기 (경상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및 공학연구원) ,  김성배 (경상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및 공학연구원) ,  김창준 (경상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및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회수된 고순도 베타카로틴을 첨가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이의 임상실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화장품의 주름개선 성능을 평가하였다. 베타카로틴의 유효성, 각종 피부흡수 및 사용성, 질감 등을 고려하여 화장품을 처방하였다. 베타카로틴의 첨가량은 피부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콜라겐생합성 촉진효과가 우수하며 베타카로틴 자체의 특유한 붉은 색소가 피부에 묻어나오지 않을 정도인 화장품 kg 당 1 mg으로 결정하였다. 베타카로틴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식용오일을 사용하였고 항산화물질인 vitamin E(tocopheryl acetate)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장기간 보관 시 베타카로틴의 안정성과 유효성에 도움을 주게 하였다. 유화제 및 유화안정제는 2.0% 첨가함으로써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유연제인 dimethicone을 0.35% 첨가함으로써 백탁 현상을 제거하고 피부에 대한 사용감을 좋게 하였다. 보습작용을 보이는 sorbitol을 첨가함으로써, 건조한 환경에 대한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하게 하였다. 제품의 안정도를 조사하였다. 60일간의 실험에서 상온에 보관된 제품의 pH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0, 25, $40^{\circ}C$의 온도서 물리 화학적 변화가 없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뿐만 아니라 광제품의 주름개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자의 평가결과 4주 후 피험자의 38%가 주름이 감소하였고 8주 후에는 68%가 주름이 개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d the formul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and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icacy in clinical test. Cosmetics were formulated with highly purified $\beta$-carotene obtained from the culture broth of recombinant E.coli cells. Edible oil for solubilizing $\be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제품은 화장품 케이스 내에 들어있어서 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나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광안정성 평가는 반드시 실시해야 정확한 제품을 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광안정성 시험을 위하여 자연광 노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가 상승되는 시점의 태양 하에서, 투명용기에 화장품을 충진한 후 햇빛이 잘 드는 실외에 보관하면서 7, 15, 30일 동안 변색, 발색, 변취 산패 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이와 같은 전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회수된 고순도 베타카로틴을 화장품에 첨가하는데 있어서 이의 활성을 극대화시키고 화장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품 배합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화장품의 안전성 및 주름개선 성능을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주름개선용 신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최근 본 연구팀에서는 식물체에서 생산되던 베타카로틴을 재조합 대장균의 유가식 배양공정에 의하여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11]. 또한 저독성 용매를 이용하여 이로부터 베타카로틴을 고순도로 회수하기 위한 추출·정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기능성화장품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이유로 무엇이 있는가? 한편, 소비자들은 기능성화장품의 일시적 개선 효과 보다는 가시적이고 지속적인 미백 또는 주름개선 등 실질적인 효과를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국내의 기능성 화장품들은 이를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식약청에서 고시한 기능성화장품 원료 pool이 많지 않아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한계가 있고, 화학적으로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작용 사례로 인하여 최근 정부에서는 많은 화학합성 물질들을 기능성 화장품에 첨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베타카로틴의 생리활성 특징은? 비타민 A 전구체로서 면역기능 증강효과가 있고,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인체 내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노화예방은 물론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카로틴[1]이 전형적인 예다. 베타카로틴은 상업화된 화학합성공정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나 최근 미국, 유럽 및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식품 및 화장품 참가제로 합성 베타카로틴의 사용을 법으로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6, 17].
고순도 베타카로틴을 첨가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할 때 베타카로틴의 첨가량은 어떻게 결정했는가? 베타카로틴의 유효성, 각종 피부흡수 및 사용성, 질감 등을 고려하여 화장품을 처방하였다. 베타카로틴의 첨가량은 피부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콜라겐생합성 촉진효과가 우수하며 베타카로틴 자체의 특유한 붉은 색소가 피부에 묻어나오지 않을 정도인 화장품 kg 당 1 mg으로 결정하였다. 베타카로틴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식용오일을 사용하였고 항산화물질인 vitamin E(t℃opheryl acetate)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장기간 보관 시 베타카로틴의 안정성과 유효성에 도움을 주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urri, B. J. 1997. Beta-carotene and human health: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Nutri. Res. 17: 547-580 

  2. Cannell, J. J., R. Vieth, W. Willett, M. Zasloff, J. N. Hathcock, J. H. White, S. A. Tanumihardjo, D. E. Larson-Meyer, H. A. Bischoff-Ferrari, C. J. Lamberg- llardt, J. M. Lappe, A. W. Norman, A. Zittermann, S. J. Whiting, W. B. Grant, B. W. Hollis, and E. Giovannucci. 2008. Cod liver oil, vitamin A toxicity, frequent respiratory infections, and the vitamin D deficiency epidemic. Ann. Otol. Rhinol. Laryngol., 117(11): 864-870 

  3. Choudhari, S. M., and L. Ananthanarayan. 2007. Enzyme aided extraction of lycopene from tomato tissues. Food Chem. 102: 77-81 

  4. Cinar I. 2004. Storage stability of enzyme extracted carotenoid pigments from carrots. Electron. J. Environ. Agric. Food Chem. 3: 609-616 

  5. Criterion and Test methods of cosmetics (2007-45). 200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6. Food Hygiene law of 2003,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7. Guideline for efficacy evalu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200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 11-147000-000863-01 

  8. Jaramillo-Flores, M. E., J. J. Lugo-Martinez, E. Ramfrez- Sanjuan, Montellano-Rosales, L. Dorantes-Alvarez, and H. Herandez-Sanchez. 2005. Effect of sodium chloride, acetic acid, and enzymes on carotene extraction in carrots (Daucus carota L.), J. Food. Sci. 70: E136-E142 

  9. Jo, J. S., B. M. Ku, S. S. Kang, J. R. Lee, Y. G. Kim, S. B. Kim, S.-W. Kim, C.-J. Kim, and I.-Y. Chung. 2008. Antiwrinkle activity of $\beta$ -carotene extracted and purified from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Kor. J. Biotechnol. Bioeng. 23(6): 513-518 

  10. Jo, J. S., D. Q. A. Nguyen, J.-K. Yun, Y.-N. Kim, Y. G. Kim, S. B. Kim, Y.-G. Seo, B.-H. Lee, M.-K. Kang, and C.-J. Kim. 2009. Extraction & purification of $\beta$ -carotene from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231-237 

  11. Kim, J. H., S.-W. Kim, D. Q. A. Nguyen, H. Li, S. B. Kim, Y.-G. Seo, J.-K. Yang, I.-Y. Chung, D. H. Kim, and C.-J. Kim. 2009. Production of $\beta$ -carotene by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with engineered whole mevalonate pathway in batch and fed-batch cultures. Biotechnol. Bioproc. Eng. 14: 559-564 

  12. Ladislav, F., P. Vera, S. Karel, and V. Karel. 2005. Reliability of carotenoid analysis: a review. Curr. Anal. Chem. 1: 93-102 

  13. Mei, N., T. Chen, D. E. Godar, M. M. Moore. 2009. UVAinduced photomutagenicity of retinyl palmitate. Mutat. Res. 677(1-2): 105-106 

  14. Regulations for prescription of functional cosmetics (2000-33). 200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5. Shibata S., C. Ishihara, and K. Matsumoto. 2004. Improved separation method for highly purified lutein from Chlorella powder using jet mill and flash column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J. Agric. Food. Chem. 52: 6283-6286 

  16. 2008 performance of cosmetic products. 2009. Korea Cosmetic Association 

  17. Yamane, Y.-I., K. Higashida, Y. Nakashimada, T. Kakizono, and N. Nishio. 1997. Influence of oxygen and glucose on primary metabolism and astaxanthin production by Phaffia rhodozyma in batch and fed-batch cultures: kinetic and stoichiometric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al. 639: 4471-44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