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 관련요인
Factor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Women after Miscarriage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5 no.4, 2009년, pp.303 - 311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윤순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신종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  박현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health consequences that women experienced after miscarriage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m.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consisting of 102 women who had miscarried within 2 years was used. Women were recruited from hospitals and enterprises in Seoul and G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 20주 이전의 자연유산을 한 여성들이 유산 이후에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을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자연유산을 한 여성들이 유산 후 경험한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유산을 한 여성들이 유산 후 경험한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 유산한 여성들이 겪을 수 있는 건강문제를 살펴보고 간호 실무에서 자연유산 대상자가 겪을 수 있는 건강문제를 예시하여 사정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지침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더욱이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최근 들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자연유산율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추이를 고려할 때 가임기 여성들의 생식건강을 보호하고 원하던 임신이 건강한 출산으로 이어 지도록 중재하는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유산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유산 후 나타난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와 그 관련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유산을 경험한 여성들이 겪는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의 빈도와지속기간을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 유산한 여성들이 겪을 수 있는 건강문제를 살펴보고 간호 실무에서 자연유산 대상자가 겪을 수 있는 건강문제를 예시하여 사정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지침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olfsson, A., Larsson, P. G., Wiljma, B., & Bertero, C. (2004). Guilt and emptiness: Women's experiences of miscarriage. Health Care Women Int, 25(6), 543-560. 

  2. Armstrong, D. S. (2007). Perinatal loss and parental distress after the birth of a healthy infant. Adv Neonatal Care, 7(4), 200-206. 

  3. Armstrong, D., & Hutti, M. (1998). Pregnancy after perinatal loss: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prenatal attachment.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7(2), 183-189. 

  4. Bhattacharya, S., Townend, J., Shetty, A., Campbell, D., & Bhattacharya, S. (2008). Does miscarriage in an initial pregnancy lead to advers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in the next continuing pregnancy? BJOG, 115, 1623-1629. 

  5. Black, R. B. (1989). A 1 and 6 month follow-up of prenatal diagnosis patients who lost pregnancies. Prenat Diagn, 9(11), 795-804. 

  6. Brier, N. (2004). Anxiety after miscarriage: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Birth, 31(2), 138-142 

  7. Cho, J. Y. (2001). The Experience of women after childbirth during childbirth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8. Cote-Arsenault, D. (2003). The influence of perinatal loss on anxiety in multigravida. JOGNN, 32(5), 623-629. 

  9. Farquharson, R. G., Jauniaux, E., Exalto, N., & ESHRE Special Interest Group for Early Pregnancy (SIGEP) (2005). Updated and revised nomenclature for description of early pregnancy events. Hum Reprod, 20, 3008-3011. 

  10. Fenster, L., Hubbard, A. E., Windham, G. C., Waller, K. O., & Swan, S. H. (1997). A prospective study of work-related physical exertion and spontaneous abortion. Epidemiology, 8(1), 66-74. 

  11. Frost, M., & Condon, J. T. (1996). The psychological sequelae of miscarriag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 N Z J Psychiatry, 30(1), 54-62. 

  12. Gjerdingen, D. K., Froberg, D. G., Chaloner, K. M., & McGovern, P. M. (1993). Changes in women's physical health during the first postpartum year. Arch Fam Med, 2(3), 277-283. 

  13. Griebel, C. P., Halvorsen, J., Golemon, T. B., & Day, A. A. (2005). Management of spontaneous abortion. Am Fam Physician, 72(7), 1243-1250. 

  14. Hutti, M. H., de Pacheco, M. A., & Smith, M. (1998). A study of miscarriag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inatal Grief Intensity Scale.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7, 547-555. 

  15. Kim, M. K., Lee, Y. W., Cho, I. S., & Lim, J. Y. (2009). Canges of nursing needs of the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1), 24-31. 

  16. Kim, S. K., Jo, A. J., Kim, Y. K., Do, S. R., & Lee, K. Y. (2006).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Kim, T. K., & Yoo, E. K. (1998).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ostna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Korean I Women Health Nurs, 4(2), 145-161.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The annual report of marriage statistics 2007.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The survey of economically productive popUlation. 

  20. Lee, K. H., & Koh, M. S. (1994). Women's experience of aborti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J Korean Acad Nurs, 24(2), 157-174. 

  21. Lok, I. H., Yip, A. S., Lee, D. T., Sahota, D., & Chung, T. K. (2009). A I-year longitudinal study of psychological morbidity after miscarriage. Fertil Steril, 19. [Epub ahead of print] 

  22. Maconochie, N., Doyle, P., Prior, S., & Simmons, R. (2007). Risk factors for first trimester miscarriage: Results from a UK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BIOG, 114(2), 170-186. 

  23. Ministry of Labor (2008). Labor standards act. Korea. 

  24. Neugebauer, R., Kline, J., O'Connor, P., Shrout, P., Johnson, J., Skodol, A, Wicks, J., & Susser, M. (1992).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in the six months after miscarriage. Am J Obstet Gynecol, 166, 104-109. 

  25. Schytt, E., Lindmark, G., & Waldenstrom, U. (2005). Physical symptoms after childbirth: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self-rated health. BJOG, 112(2), 210-217. 

  26. Swanson, K. M. (1999). Predicting depressive symptorns after miscarriage: A path analysis based on the Lazarus paradigm. J Women Health Gend Based Med, 9(2), 191-206. 

  27. Thompson, J. P., Roberts, C. L., Currie, M., & Ellwood, D. A. (2002). Prevalence and persistence of health problems after childbirth: Associations with parity and method of birth. Birth, 29(2), 83-94. 

  28. Torpy, J. M., Lynm, C., & Glass, R. M. (2002). Miscarriage. JAMA, 288(15), 1936. No abstract available. 

  29. Whelan, E. A., Lawson, C. C., Grajewski, B., Hibert, E. N., Spiegelman, D., & Rich-Edwards, J. W. (2007). Work schedule during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Epidemiology, 18(3), 350-355. 

  30. Yoo, E. K., Lee, S. H., & Kim, M. H.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ial care in Korea and present health status of chronic arthritis female patient. Korean J Women Health Nurs, 4(2), 217-2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