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을 경험한 임부의 불안, 사회적 지지 및 태교 실천이 태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nxiety, Social Support, and Taegyo Practice on Maternal-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an Abor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182 - 193  

김부경 (인제대학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nxiety, social support, and Taegyo practice toward maternal-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an abortion. Method: Participants included 99 pregnant women having an abortio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유산을 경험한 임부를 대상으로 불안, 사회적 지지, 태교 실천 및 태아 애착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태아 애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유산을 경험한 임부의 태아 애착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을 경험한 임부에게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산의 경험이 있는 임부는 유산으로 인한 정서적 반응으로 불안 수준이 높은데[6], 임부의 심리적 요인인 상태불안이 적을수록 태아 애착이 증가함을 볼 때[7,8], 유산의 경험이 있는 임부의 태아 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불안 정도를 낮춰 출 필요가 있다. 사회적 지지는 임부의 불안에 영향을 주며[7], 임부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도모해 줄 뿐 아니라 임신 동안에 부모로서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하는데 만족감을 높여 주고[9], 태아 애착 정도도 높여준다[1]. 그러므로 유산을 경험한 임부의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태아 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태아 애착은 무엇인가? 태아 애착은 임부의 발달과제로서 임신의 적응 과정이며, 아이가 태어나기 전 어머니와 아이의 출발점 관계로[1], 임부의 태아 애착이 높을수록 산전 관리를 잘 받고, 영양 관리, 규칙 적인 운동과 같은 양질의 건강 행위를 할 수 있으며, 산후 영아의 정서적 안정과 관련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5]. 
여성에게 유산의 경험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임부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스트레스, 불안, 분노, 우울, 무기력, 불만족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1]. 특히 여성에게 유산의 경험은 불안, 슬픔 및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며[2], 임부가 엄마가 되는 적응 과정을 방해하고[3], 태아 애착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갖게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SA, Lee SH.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3):2020-2028. 

  2. Bennet SM, Litz BT, Lee BS, Maguen S. The scope and impact of perinatal los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05;36(2):180-187. 

  3. Mehran P, Simbar M, Shams J, Ramezani-Tehrani F, Nasiri N. History of perinatal loss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behaviors. Women and Birth. 2013;26(3):185-189. 

  4. Moon JY. Influence of uncertainty on coping behavior of pregnant women who experienced recurrent pregnancy los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7. 96 p. 

  5. Yu M, Kim M. The contribution of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247-254. 

  6. Yilmaz SD, Beji NK. Effects of perinatal loss on current pregnancy in Turkey. Midwifery. 2013;29(11):1272-1277. 

  7. Hwang RH.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state anxiety of pregnant women in the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42-152. 

  8. Lee S, Jung E.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advanced maternal age: anxiety, spousal suppor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1):661-671. 

  9. Kim ES. Factors influencing Taekyo in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80 p. 

  10. Chang SB, Kim KY, Kim ES. Change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 efficacy for delivery after the Taekyo-perspective prenatal cla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001;7(1):7-17. 

  11. Im YM, Kim ES, Yoo IY. Factors associated with maternal-fetal attachment of expectant mothers whose fetus has a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3):150-156. 

  12. Tektas P, Cam O. The effects of nursing care based on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on the mental health of pregnant women after a pregnancy los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17;31(5):440-446. 

  13. Chung CW, Jung HS, Yun SN, Shin JC, Park HJ, Han MY. Factor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women after miscarriag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303-311. 

  14. Hong JE, Park JM. Narrative exploration of infertile nurses' experience of natural abor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6;25(1):58-70. 

  15. Spielberger CD. Anxiety: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5. 

  16.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17. Curry MA, Campbell RA, Christian M.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he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4;17(2):127-135. 

  18. Choi YS, Kim HO. A survey on the practice Taekyo among childbearing coup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995;1(2):174-199. 

  19. Cranley MS.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1981;30(5):281-284. 

  20. Kim KY.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74 p. 

  21. Wee H, Park SY.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2):274-286. 

  22. Kim MO.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stress and Taegyo practice of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7;12(1):399-408. 

  23.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