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Outreach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n Public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6 no.2, 2015년, pp.289 - 316  

오선경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장애인은 각종 장애, 이동성 제약, 대체자료 및 서비스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outreach service)를 제공하여 그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현황과 인식도를 조사 분석하여 장애인의 규모 및 유형별 아웃리치 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abled suffer great difficulties from public library access and data use due to reasons such as disabilities, mobility limitations, and lack of alternative materials and services. To overcome this, through outreach services for the disabled, public libraries should meet the multiple needs of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현황 및 인식도를 조사·분석하여 장애인의 규모 및 장애유형(등급)별로 강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 현황과 인식도를 조사·분석한 다음에 장애인 규모 및 유형별로 구분하여 아웃리치 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웃리치 서비스란 무엇인가? 아웃리치 서비스는 도서관 밖에서 이루어지는 소위, 확장봉사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를 미국도서관협회는 “부당하거나 부적절하게 봉사 받는 표적 집단의 정보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 및 추진되는 여타의 프로그램”으로 정의하고 있다(Young 1983).
장애인은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장애인은 각종 장애, 이동성 제약, 대체자료 및 서비스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outreach service)를 제공하여 그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공공도서관 접근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장애인은 각종 장애, 이동성 제약, 대체자료 및 서비스의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공공도서관 접근 및 자료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outreach service)를 제공하여 그들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현황과 인식도를 조사 분석하여 장애인의 규모 및 유형별 아웃리치 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1): 97-123.) 

  2. 곽동철. 2011.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의 정보취약계층서비스 확대전략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Kwack, Dong-Chul. 2011. A Study on Expansion Strategy Development of Information Disadvantaged Services of Library for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 국립중앙도서관. 2013.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동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3. 2013 National Survey for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Seoul: NLK.) 

  4. 노영희. 2011.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415-437.(Noh, Younghee. 2011.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415-437.)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동위원회.(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Library Development Master Plan(2014-2018). Sejong: CLIP.) 

  6. 서경주, 채혜민. 2011. 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협력기관 네트워크 구축 사례. 도서관연구소 웹진, 77: 1-22.(Seo, Kyungju and Haemin Chae. 2011. "Library Personalized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Programs and Regional Network Partners Case Studies." KRILizine, 77: 1-22.) 

  7. 윤희윤. 2008.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지원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Yoon, Hee-Yoon. 2008. A Study on Alternative Formats Development.Support for the Disabled Persons.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8. 최상기. 2012. 공공도서관 아웃리치 서비스 확대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311-339.(Choi, Sang-ki. 2012.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Outreach Service at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311-339.) 

  9.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편.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개정판. 서울:동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LIS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2010. LIS Dictionary. Revision. Seoul: KLA.) 

  10. Adkins, Denice and Elizabeth Bala. 2004. "Public Library Outreach as a Function of Staffing and Metropolitan Locatio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6(3): 338-350. 

  11. Bodin, G. 1994.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ree Rural Louisiana Library Systems. Ph. D. diss.,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ouisiana State University. 

  12. Gluibizzi, Amanda K. 2009. "The World of Outreach: One Art Librarian's Perspective." Library Review, 58(2): 116-123. 

  13. Irvall, Birgittaa and Gyda Skat Nielsen. 2005.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CHECKLIST." IFLA Professional Reports, 89: 12. 

  14. Osborne, Robin. 2004. From Outreach to Equity: Innovative Models of Library Policy and Practice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5. Philip, J. J. 1989. "Rural Outreach Services." Wilson Library Bulletin, 63(May): 33-35. 

  16. Shubert, Joseph F. 1991. "Public Library Outreach Services." Bookmark, 49(summer): 271. 

  17. Smallwood, Carol. 2010. Librarians as Community Partners : An Outreach Handbook.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Trotta, Marcia. 1993. "Why Outreach?." In Managing Library Outreach Programs, vol. 33. How To Do It Manuals for Libraries. New York: Neal-Schuman Publishers, Inc. 1-4. 

  19. Tuckwiller, Marylou. 2004. Assistive Technology Collection: Serv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obin Osborne, From Outreach To Equity.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4. 

  20. Weibel, Kathleen. 1982. The Evolution of Library Outreach 1960-75 and Its Effect on Reader Services. Occasional Papers (University of Illinois Graduate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6. 

  21. Young, Heartsill ed. 1983.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