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among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Ja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4, 2009년, pp.539 - 549  

이원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송주은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주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희정 (건국대학교 병원 간호부) ,  이주미 (건국대학교 병원 간호부) ,  김은영 (한라대학교 무역통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specially to verify the effect of anger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방식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때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요인들로 설명되는 조직 만족과 조직몰입을 함께 고려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함으로서, 간호사의 분노경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간호사의 분노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면, 이는 병원 인적자원의 40%를 차지하는 (Ban, 2007) 중요인력인 간호사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조직성과 증진을 위한 기존과는 차별화된 간호 중재전략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방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분노표현방식 중 분노통제가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4년제 대학 졸업군과 수술방 간호사군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조직성과의 주 영향요인으로서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분노통제와 일반적 특성에 대해 논의를 한 후, 본 연구대상군의 분노경험 및 분노표현 방식과 관련된 일반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대상자에서 남자간호사를 제외한 이유는 남자간호사가 소수일 뿐 아니라 분노의 경험과 표현방식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Helmer, Baker, O'Kelly, & Tobe,2000)를 고려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함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노표현이란? 분노표현이란 분노를 경험한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반응으로서, 분노감정을 억누르는 분노억제(anger in), 분노감정을 공격적이고 언어적 폭력으로 표현하는 분노표출(anger out), 분노를 조절하고 관리하려고 노력하는 분노통제(anger control) 등을 의미하며(Spielberger et al., 1985), 본 연구에서는 Spielberger 등 (1985)이 제작한 STAXI(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Chon 등(1997)이 수정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분노척도(STAXI-K) 중에서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점수를 의미한다.
직무만족이란? 직무만족이란 개인이 자신의 업무환경을 즐겁고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태도를 의미하며(Lichtenstein, 1984), 본 연구에서는 Jung(2006)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된 점수를 의미한다.
간호사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방식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간호사의 특성분노, 분노표현,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의 정도를 조사한다. 셋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특성분노, 분노표현과 조직 성과의 차이를 분석한다. 넷째, 간호사의 특성분노, 분노표현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 성과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다섯째, 간호사의 조직성과 예측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분노의 영향을 규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 Y. R. (2007). The effect i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he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 Chon, K. K., Hahn, D. W., Lee, C. H., & Spielberger, C. D.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 Clin Psychol, 2(1), 60-78. 

  3. Engin E., & Cam, O (2006). Correlation between psychiatic nurses' anger and job motivation. Arch Psychiatr Nurs, 20(6), 268-275. 

  4. Fitzgerald, S. T., Haythornthwaite, J. A., Suchday, S., & Eqart, C. K. (2003). Anger in young black and white workers: effects of job control, dissatisfaction, and support. J Behav Med, 26(4), 283-296. 

  5. Gold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Nork: Bantam. 

  6. Helmer, K. F., Baker, B., O'Kelly, B., & Tobe, S. (2000). Anger expression, gender, and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mild, unmediated adults with hypertension. Ann Behav Med, 22, 60-64. 

  7. Henderson, A. (2001). Emotional labor and nursing: an under-appreciated aspect of caring work. Nurs Inq, 8(2), 130-138. 

  8. Jeung, J. H.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nursing productivity of nurses in a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Jung, H. Y. (2006). Effectivenes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foodservice employe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K. H., & Chon, K. K. (1997). Effects of anger, hostility, and stress on physical health. Korean J Health Psychol, 2(1), 79-95. 

  11. Kim, K. S. (2005). A study on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2. Kim, S. H., Lee, W. H., Kang, D. H., Park, J. H., Min, S. G., & Nho, J. H. (2006). Perceived stress, life style, health status indicators in medical center employees. J Korean Acad of Communi Health Nurs, 17(3), 407-418. 

  13. Lee, J. L. (2003). Anger, anxiety, depression in the workplace-differences of evoking causes and coping methods among emotions, relationships of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b effectiveness. Korean J Industr and Organiz Psychol, 16(3), 19-58. 

  14. Lee, P. S., Sohn, J. N., Lee, Y. M., Park, E. Y., & Park, J. S. (2005). A correlational study among perceived stress, anger expression,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5(1), 195-205. 

  15. Lee, W. H., & Kim, C. J. (2006). The relationship bewt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36(6), 925-932. 

  16. Lee, W. H., Kang, D. H., Park, J. H., Kim, S. H., Min, S. G., & Nho, J. H. (2006). Association of anger expression patterns and health status in health care workers. J Korean Acad Nurs, 36(5), 821-828. 

  17. Lichtenstein, R. (1984). Measuring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an's in organized setting. Med care, 22(1), 56-58. 

  18.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 Vocational Behav, 14, 216-223. 

  19.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McGraw-Hill : New York. 

  20. Kavan, M. G., Brian, E., & Jay, S. (1995). Colon cancer: personality factors predictive of onset and stage of presentation. J Psychosom Res, 39, 1031-1039. 

  21. Park, H. J. (2009). Emotional labou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5(2), 225-232. 

  22. Park, H. S., Bae, Y. J., & Joung, S. Y. (2003). A study on anger expression and burnout of psychiatic mental health nurse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2(3), 235-244. 

  23. Park, S. A. (1988). An exploratory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in Korean nursing uni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Park, Y. J., Baik, S. I., Choi, Y. H., Shin, H., Moon, S. H., & Khim, S. Y. (2005). The relationship of trait anger and anger espression to cardiovascular response and depression in middle aged Korean women. J Korean Acad Nurs, 35(7), 1371-1378. 

  25. Shim, M. Y (2004).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head nurs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reung. 

  26. Shirey, M. R. (2007). An evidence based solution for minimizing stress and anger in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46(12), 568-571. 

  27.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 Personality. New York: Basic books. 

  28. Son, S. E., Yoo, H. J., Suh, B. S., Kim, J. C., & Han, O. S. (2000). The patterns of personality and anger expression in the patients with colorectal cans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3), 507-515. 

  29.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 S. F., Crane, R. J.,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Chesney M. A., & Rosenman R.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pp 5-30). Washiongton DC: Hemisphere. 

  30. Thomas, S. P. (2003). Anger: The mismanaged emotion. Medsurg Nurs, 12(2), 103-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