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Union Catalog of Children's Material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0 no.4, 2009년, pp.5 - 15  

유재옥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초록

본 논문은 어린이청소년자료를 검색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반영한 검색의 접근점이 온라인목록 구축에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예를 들면 이용자 연령, 자료유형, 주제/테마, 소재지, 권장도서, 서평, 수상작 정보 등의 검색접근점은 어린이청소년자료를 위한 온라인목록시스템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접근점으로 파악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KOLIS-NET이 소장하고 있는 어린이청소년자료를 기반으로,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 종합목록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proposed a new online union catalog of children's material owned by children's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in Korea. In order to meet users' information needs about children's material the existing access points in the online catalogs should be expanded including such information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립중앙도서관의 KOLIS-NET 데이터베이스는 이미 어린이청소년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어린이청소년자료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이 구축하는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데이터베이스로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는 언제나 개인차가 존재하므로 어린이자료이용을 위한 접근점으로서 연령을 적용할 때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연성 있게 연령구분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청소년자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이차자료의 생산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원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이차자료 생산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중요한 사안인 어린이자료를 가공하는 이차자료의 생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기초인프라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청소년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구축을 제안한다.
  • 선진 외국의 경우 어린이청소년자료를 대상으로 서지 목록, 색인과 같은 이차자료의 생산이 활발한 이유를 그들이 구축한 서지데이터베이스에서 그 단서를 찾아보고 자 한다.
  • 어린이청소년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 가공하여 온라인시스템으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외 어린이청소년자료에 대한 온라인목록시스템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어린이청소년자료에 대한 온라인목록시스템의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4. 특정도서의 소재지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어린이청소년 관련 일차자료의 생산은 어떠한가? 이와 같이 국내 어린이청소년 관련 일차자료의 생산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급성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어린이청소년 자료의 급격한 성장과는 대조적으로 서지, 색인, 목록과 같은 이차자료의 생산실태는 극히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 어린이청소년 관련 이차자료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국내 어린이청소년 관련 이차자료는 국가서지, 상업서지, 종합목록(시립어린이도서관 1994)정도의 일천한 수준으로 조사된 반면에, 선진 외국의 경우 어린이청소년자료를 대상으로 서지정보를 가공한 종합색인, 주제색인은 종류에 있어서나 다루는 범위에 있어서 방대하고 다양하다. 국외의 경우 각종 주제서지, 색인, 그리고 전문 서평지까지 어린이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차자료가 생산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7년 출판문화협회에 따르면 국내 어린이청소년자료의 발행부수는? 국내 어린이청소년자료의 출판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출판문화협회(2008, 119-120)에 따르면 2007년에는 56,747,059권으로 1998년의 10,500,300권에 비해 10년 동안 발행부수가 다섯 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질적 측면에서도 어린이자료 출판시장의 다변화가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향옥. 2001. 초등학교 저학년 권장도서 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 곽승진, 강지혜. 2007. 어린이청소년 디지털도서관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6: 111-126. 

  3.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편. 2007. 어린이책에 대한 이해.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4. 김경연. 2006. 해외 어린이 청소년 연구 정보서비스 동향.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세미나자료. [cited 2009.3.20]. . 

  5. 김선애, 이수상. 2006. KOLIS-NET 종합목록 DB의 품질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95-117. 

  6. 김수경. 1995. 어린이도서 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7. 김효정 외. 1997.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8. 남영준. 2008. 어린이 담당 사서의 기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23. 

  9. 노옥순. 1994.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0. 마이클 설리반 저. 2007.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역. 어린이 서비스의 기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11. 문지현. 2008. 어린이도서분류법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 

  12. 박온자 외. 1994. 한국참고정보자료해제: 1970-1993.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박준식. 1994. 한국문헌정보학색인: 1975-1992.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4. 변우열. 1996. 중고등학교 필독도서목록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24(7): 243-274. 

  15. 원종찬. 2001. 한국아동문학 연구 현황과 과제. 문학교육학, 8: 135-146. 

  16. 유재옥 외. 2009. 어린이자료 종합목록 개발방안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17. 윤정옥. 2005. 서지 유틸리티와 CIP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OCLC와 미국국회도서관 CI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349-367. 

  18. 이란주. 2006. 도서관의 어린이 청소년 연구지원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61-274. 

  19. 이성은. 2003. 아동문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 이연옥. 2006. 아동 및 청소년 도서 선정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47-72. 

  21. 이제환.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 KERIS의 종합목록 DB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61-89. 

  22. 이중한. 1991. 도서목록 개발 기초 연구. 한국출판연구소. 

  23. 임영규. 2003. 추천도서목록 개발 사업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 도서선정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독서학회 학술발표회 주제발표문. 

  24. 장지숙. 2004. 어린이도서 서평매체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213-238. 

  25. 장지숙. 2006. 뉴베리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 

  26. 정연경외. 2008. 어린이도서관 분류체계 개선방안.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7. 조월례. 2003. 최근 어린이책 출판 경향과 전망. 문학교육학, 12: 345-373. 

  28. 차미경 외. 2008. 어린이도서관 기초 장서 개발 연구.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9. 책따세(책으로 따뜻한 세상 만드는 교사들). 2005. 책따세와 함께하는 독서교육: 추천도서목록 만들고 활용하기. 서울: 청어람미디어. 

  30. 최미숙. 2003. 어린이 책 출판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7: 139-169. 

  31. 한국도서관협회. 2004.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동협회. . 

  32.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3. 한혜영 외. 1999. 하이브리드 방식 국가종합목록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5(3): 151-173. 

  34. 황금숙. 2006. 어린이.청소년 독서문화 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5. Balay, Robert, ed. Guide to Reference Books. 1996. Chicago: ALA. 

  36. England, Claire and Adele Fasick. 1987. Childview: Evaluating and Reviewing Materials for Children. Littleton, Colo.: Libraries Unlimited. 

  37. Galda, Lee and Bernice E. Cullinan. 2002. Cullinan and Galda's Literature and the Child. 5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38. Horning, Kathleen T. 1997. From Cover to Cover: Evaluating and ReviewingChildren's Books.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39. Katz, William A. 1992.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Vo. 1. Basic Information Sources. 6th ed. N.Y.: McGraw Hill. 

  40. Lukens, Rebecca J. 1999. A Critical Handbook of Children's Literature. 6th ed. New York: Longman. 

  41. OCLC, 2009. Online Catalog: What Users and Librarians Want. An OCLC Report.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42. Sutherland, Zena. 1997. Children & Books. 9th ed. New York: Longman. 

  43. Temple, Charles, Miriam Martinez, Junko Yokota, and Alice Naylor. 1998. Children's Books in Children's Hands: an Introduction to their Literature. Boston: Allyn and Bacon. 

  44. Van Orden, Phyllis. 2000. Selecting 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 Complete Guide. New York: Neal-Schuman Publishers. 

  45. Wynar, Bohdan S. ed. 1990. Recommended Reference Books for Small and Medium sized Libraries and Media Centers.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