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Access Points of Children's Materials : Using "A" Online Library Catalog and "N" Children's Database in the U. 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0 no.4, 2009년, pp.101 - 113  

정진수 (덕성여자대학교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어린이 자료를 서비스하는 두 개의 영문 서지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서지정보시스템으로서 A 공공도서관 목록시스템과 N 어린이소설전문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 두 시스템 모두 접근점은 자료의 내적 외적 접근점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접근점 제공방식은 키워드 입력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 부담이 적은 '인식' 단계의 인지활동을 지원하는 브라우즈와 하이퍼링크를 통한 내비게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와 서지정보시스템간의 '상호작용,' 이용자의 '정보만남,' 그리고 '우연성'을 지원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봉사하는 사서와 시스템개발자들이 어린이를 위한 서지정보시스템 접근점 개발시 참고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access points of two bibliographic databases specialized in children's materials: "A" public library's online catalog and "N" children's novel database. The analys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ccess points that lead users to discover their ow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 공공도서관 목록시스템과 N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이용자가 주제명표목표를 브라우즈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각 자료는 한 개 이상의 주제명이 부여되어 이용자들이 해당 자료가 어떤 주제를 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용자가 주제명 용어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키워드 입력을 통해 접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제명표목표를 브라우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접근점1)을 제공하는 두 개의 서지도구를 선정하여 다양한 요구를 가진 이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접근점의 유형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확인,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지정보 가공이 발달하여 많은 수의 서지 도구가 생산되는 국가인 미국의 공공도서관 온라인 도서관 목록 시스템과 어린이 자료 전문 서지정보시스템을 선정하여 각각의 접근점과 제공방식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목록은 키워드 입력을 통한 검색기능 뿐만 아니라 브라우즈 기능도 제공하는데 이 중 서명 키워드로 예를 든 것은?? 예를 들어, 서명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서명뿐만 아니라 유사 서명들의 리스트가 알파벳순으로 배열된다. 이를 하나씩 클릭하면 관련 자료들이 제시되어, 직접 검색을 하지 않고도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제명은 관련 주제명 리스트를, 시리즈 명은 관련 시리즈명, 그리고 정기간행물명은 관련 정기간행물명 리스트를 제공한다.
대한출판협회(2009)에 따른 어린이자료의 형세와 발행비율은 어떠한가? 1990년대 이후 어린이자료는 양적, 질적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최근 대한출판협회(2009)에 따르면 어린이자료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도에 출판된 어린이 자료(만화와 학습서를 제외) 는 전체 발행부수의 23.76%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양적 증가세와 함께 어린이 자료 출판물의 질적 변화 또한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어린이자료가 양적, 질적으로 많은 변화를 보인 시기는 언제인가? 1990년대 이후 어린이자료는 양적, 질적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최근 대한출판협회(2009)에 따르면 어린이자료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도에 출판된 어린이 자료(만화와 학습서를 제외) 는 전체 발행부수의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곽승진, 강지혜. 2007. 어린이청소년 디지털도서관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6: 111-126. 

  2. 대한출판문화협회. 2009. 2008 출판통계. [cited 2009. 9. 24]. . 

  3. 장로사, 김성희. 2006.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의 인포메이션 스트럭처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발표논문집, 13: 252-258. 

  4. 장지숙. 2006.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 

  5. 정진수. 2003. 풍부한 정보환경에서 정보와 함께하는 학습: 인지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4(4): 135-158. 

  6. 조월례. 2003. 최근 어린이책 출판 경향과 전망. 문학교육학, 12: 345-373. 

  7. 최미숙. 2003. 어린이 책 출판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7. 139-169. 

  8. Anderson, L. W., & Krathwohl.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9. Belkin, N., Oddy, R. M., & Brooks, H. M. 1982. ASK for Information Retrieval: Part I. Background and Theory. Journal of Documentation, 38(2): 61-71. 

  10. Chung, J. S., & Neuman, D. 2007.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Class Projec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0): 1503-1507. 

  11. Erdelez, S. 2000. Towards Understanding Information Encountering on the Web. In D. Kraft. Ed. Proceedings of the 63rd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pp. 363-371). Medford, NJ: Information Today. 

  12. Kuhlthau, C. C. 1993. A Principle of Uncertainty for Information Seeking. Journal of Documentation, 49(4): 339-355 

  13. Reuter, K. 2007. Children Selecting Books in a Library: Extending Models of Information Behavior to a Recreationa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lege of Information Studies, University of Marylan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