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연구: 『A to Zoo』를 바탕으로
Developing Subject Headings for Children's Picture Books based on A to Zoo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9 no.4 = no.86, 2012년, pp.251 - 271  

박지영 (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초록

주제명은 이용자가 어린이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다른 자료에 비해 표제나 목차와 같이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텍스트 외에 그림이 주는 정보량이 큰 편이다. 따라서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별도의 주제명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린이 그림책에 일반 도서용으로 개발된 주제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명의 유형과 수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에 적합한 주제명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주제명의 선정을 위해서는 영미권에서 발행된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 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과 같은 참고자료도 활용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권장도서 목록에 적용하여, 주제검색이나 브라우징, 도서 추천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ject headings support the effective access of children's picture boo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ect subject terms from titles or table of contents in children's picture book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ittle textu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ign subject terms to each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a). 어린이도서관 기초 장서 개발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2008a). A study on developing basic collection for children's libraries.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2.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b). 어린이도서관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2008b). A study on improving classification scheme for children's libraries.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3. 김세희 (1996). 어린이를 위한 좋은 그림책의 선택. 아동문학평론, 21(3), 44-60.(Kim, Sae-Hee (1996).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Criticism of Korea Children's Literature, 21(3), 44-60.) 

  4. 김세희 (2010). 아동용 그림책의 장르구분 탐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6, 177-198.(Kim, Sae-Hee (2010).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e reclassification of the genres of children's picture books.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6, 177-198.) 

  5. 어린이도서연구회 (편) (2012). 어린이?청소년 책 목록. 서울: 어린이도서연구회.(Korean Association of Reading Children's Books (2012). Recommended book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of Reading Children's Books.) 

  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1). 연세초등국어사전 (개정2판). 서울: 두산동아.(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Yonsei University (2011). Yonsei elementary Korean dictionary (2nd ed.). Seoul: Doosan Dong-A.) 

  7. 유재옥 (2009).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5-15.(Yoo, Jae-O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union catalog of children's materia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5-15.) 

  8. 이란주 (2006). 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 연구지원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61-274.(Lee, Lan-ju (2006). A study on library services for supporting researches related with children and young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2), 261-274.) 

  9. 장지숙 (2006).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Jang, Ji-Sug (2006). A study on selection efficiency scheme in children's books through subject analysis of the Newbery medal winner's book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1), 63-79.) 

  10. 정지현, 이승연 (2009).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 분석. 교육과학연구, 40(2), 183-210.(Jung, Ji-Hyun, & Lee, Seung-Yeon (2009). An analysis of communicative express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reading four types of picture book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2), 183-210.) 

  11. 장진수 (2009).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01-113.(Chung, Jin-Soo (2009). An analysis on access points of children's materials: Using "A" online library catalog and "N" children's database in the U. 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101-113.) 

  12. 한국도서관협회 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편)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Library Terminology Committee of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v.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3. 한윤옥 (1997). 어린이정보자료와 활용. 서울: 아세아문화사.(Han, Yoon-Ok (1997). Information material for children. Seoul: The Asian Culture Press.) 

  14. Barstow, B., Riggle, J., & Molnar, L. (2008). Beyond picture books (3rd ed). London: Libraries Unlimited. 

  15. Fountain, J. F. (2011a). Guidelines for standardized cataloging for children. In S. S. Intner, J. F. Fountain, & J. Weihs (Eds.),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 (pp. 1-18).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6. Fountain, J. F. (2011b). Using LC's Children's Subject Headings in catalog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hy and how. In S. S. Intner, J. F. Fountain, & J. Weihs (Eds.),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 (pp. 115-128).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7. Lima, C. W., & Rebecca L. T. (2010). A to zoo: Subject access to children's picture books (8th ed). Calif.: Libraries Unlimited. 

  18. Miller, J. (2011). Sears list of subject headings. In S. S. Intner, J. F. Fountain, & J. Weihs (Eds.),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 (pp. 129-134). Chicago: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 Miller, J., & MacCarthy, S. (Eds.) (2010). Sears list of subject headings. 20th ed. NY: The H.W. Wilson Company. 

  20. Northrup, M. (2012). Picture books for children: Fiction, folktales, and poetry (5th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