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짧을수록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범위는 에탄올 농도 65~75%, 추출시간 2.2~3.6시간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짧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농도 68~82% 및 추출시간 2.4~3.7시간 범위에서 최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 및 추출시간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에 따른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프로폴리스의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에탄올 농도 72-82%, 추출시간 2.2-3.3시간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optimize extraction of propolis materials using ethano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extraction experiments were ethanol concentration (50, 60, 70, 80, 90%, v/v) and extraction time (1, 2, 3, 4, and 5 h). Higher ethanol concentration and shorter extraction 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프로폴리스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소재로서 건강기능성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대중에게 효능과 우수성이 널리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덕군 일대에서 수집된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제품 개발에 앞서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항산화능 등의 품질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폴리스의 기능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성분은 프로폴리스의 채집 산지나 시기, 주위의 식물 등에 따라 종류,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효능에도 차이가 있다(2). 프로폴리스는 항균효과(2), 항바이러스 작용(2), 항염증(3), 항암 작용(4), 항산화능(5,6) 등의 여러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프로폴리스란 무엇인가?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유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금자리를 보호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수목에서 얻은 수액에 봉납이나 타액을 혼합시켜 만든 점착성 있는 수액상의 천연 물질로서 황갈색의 천연 화합물이다(1). 프로폴리스의 성분은 약 150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성분은 polyphenol이다.
프로폴리스의 성분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Flavonoid, phenolic acid 및 ester, phenolic aldehyde, ketone, 다량의 왁스수지, 발삼, 정유, 화분 등이 있으며 이 외에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은 프로폴리스의 채집 산지나 시기, 주위의 식물 등에 따라 종류,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효능에도 차이가 있다(2). 프로폴리스는 항균효과(2), 항바이러스 작용(2), 항염증(3), 항암 작용(4), 항산화능(5,6) 등의 여러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v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 Pharmacol., 32, 1141-1148 

  2. Kujumgiev, A., Tsvetkova, I., Serkedjieva, Y., Bankova,V., Christove, R. and Popov, S. (1999)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ity of different geographicorigin. J. Ethnopharmacol., 64, 235-240 

  3. Park, E.H., Kim, S.H. and Park, S.S. (1996)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ropolis. Arch. Pharm. Res., 19, 337-341 

  4. Chiao, C., Carothers, A.M., Grunberger, D., Solomon, G., Preston, A. and Barrett, J.C. (1995) Apoptosis and altered redox state induced by caffeic acid phenethyl ester(CAPE) in transformed rat fibroblast cells. Cancer Res., 55, 3576-3583 

  5. Shigenori, K., Tomoko, H., Tsutomu, N. and Grange, J.M. (1990)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ropolis(bee glue). J. Royal Soc. Med., 83, 159-160 

  6. Shigenori, K., Tomoko, H. and Tsutomu, N. (2004)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of various geographicorigins. Food Chemistry, 84, 329-339 

  7. Bianchi, E.M. (1995) The preparation of the tincture,the soft extract, the ointment, the soap and other propolis-based products. Apiacta, 2, 121-127 

  8. Han, G.J., Shin, D.S., Kim, J.S., Cho, Y.S. and Jeong, K.S. (2005) Development of meat seasoning sauce using propol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88-894 

  9. Song, H.N. (2006)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powder of propolis and the quality changes of its brea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05-913 

  10. Kim, G.W., Kim, G.H., Kim, J.S., An, H.Y., Hu, G.W.,Park, I.S., Kim, O.S. and Cho, S.Y. (2008) Quality of fried fish paste prepared with sand-lance, (Hypoptychus dybowskii) meat and propolis additive, Kor. J. Fish. Aquat. Sci., 41, 170-175 

  11. Han, S.K. and Kim, H.S. (2004)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ropolis on ethanol oxidation.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4, 198-201 

  12. Lee, H.J., Bae, Y.I., Jeong, C.H. and Shim, K.H. (2005)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7 

  13. Kim, C.T., Kim, C.J., Cho, Y.J., Choi, A.J. and Shin, W.S. (2002) Characteristics of propolis extracts from ethanol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41-946 

  14. Myers, R.H. (1971)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llyn and Bacon Inc. Boston, p.127-139 

  15. Wamasimdara, P.K.J.P.D. and Shahi, F. (1996) Optimization of hexameta-phosphate-assited exttraction of flaxseed protein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61, 604-607 

  16.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7. Amerine, M.A. and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p.176-180 

  18.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and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0. Jeong, C.H., Bae, Y.I., Lee, H.J. and Shim, K.H. (2003)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1-505 

  21. Park, Y.K. and Ikegaki, M. (1998) Preparation of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of propolis and evaluation of the preparatoin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2230-2232 

  22. Seo, K.I., Oh, I.S., Oh, D.H., Choi, S.H., Shon, M.Y. and Moon, J.S. (2000) Quality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69-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