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1, 2009년, pp.22 - 29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현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임규 (한려해상국립공원) ,  박은희 (한려해상국립공원) ,  박삼봉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천왕봉-선녀탕 구간 계곡부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구상나무군집, 들메나무-당단풍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천왕봉-마폭포구간에는 대부분이 구상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잣나무, 당단풍, 마가목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주목, 쇠물푸레, 음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국수나무와 사스래나무, 산겨릅나무, 산벚나무; 당단풍과 사스래나무; 들메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시닥나무; 마가목과 음나무; 물갬나무와 층층나무; 비목나무와 조록싸리,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와 전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와 시닥나무, 잣나무, 주목; 시닥나무와 주목; 신갈나무와 철쭉; 졸참나무와 쪽동백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생강나무와 잣나무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 지수(H')는 $2.7478{\sim}2.9573$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valley from Cheonwangbong to Seonneotang, 23 plots($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wo groups of Abies korean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995년부터 자연휴식년제의 시행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시적으로 벗어난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을 대상으로 산림식생의 실태와 군락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공원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o G.C., G.T. Kim, and G.J. Baek(200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Kof. J. Env. Eco. 14(1): 28-37 

  2. Choo G.C. and G.T. Kim(2003)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7(3): 181-186 

  3. Choo G.C. and G.T. Kim(2005)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9(2): 83-89 

  4. Curtis, J. T. andR. R.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t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5.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processer in southeast Texas forest. For. Sci. 24(2): 153-166 

  6. Hatsusima(1934) Research of Jirisan(Mt.) vascular Plant. Bulletin of the Kyushu University Forests, Japan, 5: 1-276 

  7. Kim, G.T., G.C. Choo and T.W. Um(1996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10(1): 151-159 

  8. Kim, G.T., G.C. Choo and T.W. Um(1996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f. J. Env. Eco. 9(2): 147-155 

  9. Kim, G.T.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 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397-406 

  10. Kim, G.T., G.C. Choo and T.W. Um(199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 ongbong-Soch ongb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2): 240-250 

  11. Kim, G.T., G.C. Choo and GJ. Baek(200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4): 299-308 

  12. Kim, G.T. and G.C. Choo(2003)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6(4): 441-448 

  13. Kim, Y.D.(1975)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 Woody plant. Jinju A. & F. Jf. coil. 14: 13-22 

  14. Kim, Y.D.(1976)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I. Herbs(Dicotyledones). Jinju A. & F. Jr. coil. 14: 13-22 

  15. Kim, Y.D.(1977)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II. Ferns and Herbs(Monocotyledones). Jinju A. & F. Jr. coil. 15: 235-242 

  16. Korea National Park(1998) History of National Parks 30 Years. National Parks Authority, 310pp 

  17. Lee, C.B.(1963) Resources plants of Jirisan(Mt.). Bulletin of Jirisan(Mt.) Community Development. pp. 295-345 

  18. Lee, K.J., J.Y. Kim and D.W. Kim(1998) Plant Community Structure ofPaekdam-Valley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50-461 

  19.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77pp 

  20. Nakai T.(1915) Vegetation of the Mt. Chirisan. 98pp 

  21. Okamoto(1961) A list of Jirisan(Mt.) vascular plants. Bulletin of the Kyoto University Forests, 31: 1-86 

  22.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168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