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신선봉 지역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Sinseonnbong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143 - 150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변산반도 국립공원 신선봉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능선부에 방형구($400m^2$) 14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4개 조사구는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신선봉지역의 능선부는 대부분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해발고가 높은 일부지역에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임분이 나타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말오줌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때죽나무와 졸참나무, 말오줌대와 철쭉, 피나무, 쪽동백나무와 산딸나무, 철쭉과 서어나무, 산딸나무와 피나무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1.237{\sim}l.497$의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식생구조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mountain ridges ranging of Shins un-Bong, this research set up 14 plots($400m^2$) as survey target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woody plant cluster, it was classified as two groups-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조사구에서 집계된 수종별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구분류를 하였다. 상 .
  • 변산반도국립공원 신선봉지역을 대상으로 가능한 천연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임분에서 현존식생을 감안하여적절한 수의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총 14곳에서 20mx20m 크기로 설치하여 주요 환경인자, 토양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였다.
  • 하층으로 구분하여 상층과 중층은수종명과 개체수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고 기록하였으며, 하층은 수종명과 피도를 측정하여 식생조사표에 기록하였다. 수목의 생장과 환경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해발고, 방위, 경사도, 상층평균수고, 수관울폐도, 낙엽퇴를 조사하였다.
  • 수의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총 14곳에서 20mx20m 크기로 설치하여 주요 환경인자, 토양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생조사는 각 조사구에 대하여 수관의위치에 따라 상 .
  • 중 . 하층으로 구분하여 상층과 중층은수종명과 개체수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고 기록하였으며, 하층은 수종명과 피도를 측정하여 식생조사표에 기록하였다. 수목의 생장과 환경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해발고, 방위, 경사도, 상층평균수고, 수관울폐도, 낙엽퇴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변산반도 국립공원 신선봉지역 능선부를 대상으로 현존식생과 해발고, 방위, 경사 등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7월 10일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선봉 지역의 총 14개 조사지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 또한 수종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14개 조사구에서조사된 75종의 수종 중 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분석된 주요우점 수종인 18종의 수종별 자료를 바탕으로 SPSS 통계프로그램(ver 17.0)을 이용하여 종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식생조사의 결과로 얻어진 자료에 의하여 각 수종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측도로써 Curtis and McIntosh (1951)의 방법에 준하여 상대우점치(Importance Value, I.V.)를 구하였으며, (상대밀도+상대피도+상대빈도)/3으로계산하였으며, 상중흐1층의 개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층 I.V.X3+중층I.V.X2+하층I.V.)/6 로 평균상대우점치 (Mean importance value, M.I.V.)를 계산하였다. 종 구성의 다양한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인 종다양성은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H'), 균재도(Evenness, J'), 우점도(Dominance, D) 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Shannon의 수식(Pielou, 1975)을 적용하였다.
  • 하층을 구성하는 총 75종을 대상으로 Ludwig and Reynolds(1988)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조사구들 간의 거리는 Percent dissimilarity(P.D.)를 적용하였다.
  • )를 계산하였다. 종 구성의 다양한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인 종다양성은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H'), 균재도(Evenness, J'), 우점도(Dominance, D) 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Shannon의 수식(Pielou, 1975)을 적용하였다.
  • 중 . 하층을 구성하는 총 75종을 대상으로 Ludwig and Reynolds(1988)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조사구들 간의 거리는 Percent dissimilarity(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on M. S .(2003)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Management of Naesosa Watershed in By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7(3): 25-33 

  2. Choo G. C., Gab-Tae Kim(2005)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83-89 

  3. Curtis, J. T. and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 476-498 

  4.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st Texas forests. For. Sci. 24(2):153-166 

  5. Host, G.E., K.S. Pregitzer, C.W. Ramm and J.B. Hart. 1987. Landform-mediated differences in successional pathways among upland forest ecosystem in northwestern lower Michigan. Forest Science 33:445-447 

  6. Kim G. T., Choo G. C., Baek G. J.(2003)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1): 9-17 

  7. Kim G. T., Choo G. C., Urn T. W.(1996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1): 151-159 

  8. Kim G. T., Choo G. C., Urn T. W.(1996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47-155 

  9. Kim K. H., Park C. M.(1998) Growth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tex rotundifolia Communities in Py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 Env. Eco. 12(1):91-101 

  10. Kwak S. H., Chom H. Y., Kim C. H., KiIB. S.(1991) The Vegetation of Py $\u{o}$ nsan Peninsula National Park, Buan. Korean J. Ecol. 14(2): 181-194 

  11. Ludwig, J.A. and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2. OhH. K., BeonM. S., Kim Y. H., ParkJ. M.(2004) Vascular Plants of the Hoiyang Valley area in the inner Byeonsan.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8(3): 41-52 

  13. Oh H. K., Kim Y. H., Beon M. S., Kim Y, M.(2006)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from Gidowon to Gamaso in the Byeonsanbando.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3): 31-37 

  14. Park C. M.(1998) Investigation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n Pyonsanbando. Kor. J. E. Env. Eco. 12(3): 242-252 

  15.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16. Rowe, J.S. 1984. Forestland classification: Limitation of the use of vegetation. p276. in Forestland Classification: Experiences probles. Perspectives. J. Bockheim(ed). Proc. Symp. Univ., Wisconsi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