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성-인수봉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khansansung to Insu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2, 2008년, pp.98 - 105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립자원학과) ,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박삼봉 (진주산업대학교 산립자원학과) ,  안효현 (상지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  김남호 (상지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  김희정 (상지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과)

초록

북한산 국립공원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북한산성에서 인수봉에 이르는 지역에 16개의 방형구$(25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6개 조사구는 신갈나무 혼효림 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우점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내 북한산성에서 인수봉에 이르는 지역의 우점수종은 신갈나무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신갈나무와 진달래, 신갈나무와 개옻나무, 진달래와 철쭉, 노린재나무와 철쭉, 당단풍과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 되었고, 물푸레나무와 진달래, 노간주나무와 당단풍, 쪽동백나무와 당단풍 등의 수종들간에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 다양성도는 $1.236\sim1.319$의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Bukhansanseong to Insubong in Bukhansan National park, 16 plost$(25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Quercus mongolica-Mixed Broad leaved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의 북한산성 ~ 인수봉 구간을 중심으로 2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 대상지 인 북한산성 등산로 코스-인수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1995) 주왕산 국립공원 왕거암, 금은광이 지구의 산림군집 구조에 관한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42-149 

  2.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산림군 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 국립공원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240-250 

  4. 박봉규(1981) 서울근교 도봉산일대의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과 환경보호에 관하여. 한국 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연구보고서' 3: 111-129 

  5.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산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42-149 

  6. 이경재, 조우, 황서현(1995) 북한산 국립공원 주요 5개 계곡의 식물 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9(1): 15-29 

  7. 정태현, 이우철(1962) 북한산의 식물자원조사 연구. 성균관대논문집 7: 373-396 

  8. 최송현(1992) 북한산 정릉계곡의 식물종다양성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55 

  9.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processer in southeast Texas forest. For. Sci. 24(2): 153-166 

  10. Ludwig, J.A. and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