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al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12, 2009년, pp.923 - 931  

이윤옥 (이노에듀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윤옥(2008)의 연구에서 추출한 7개요인 33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전국의 남녀 중학생 1,20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한 후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본 검사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다(GFI=.913, CFI=,919, PMR=.048, TLI=.910). 또한 본 검사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 중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 자율학습 효율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r=.67), 본 검사와 자율학습효율성간(r=.65)에도 정적 상관을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검사 도구의 전체문항 신뢰도는 .94이었으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91이었다. 본 검사도구의 활용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nstruct valid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Lee, 2008). For the purpose, First, test was done with 1202 middle students sampled from nationwid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시하는 도구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개발된 자기주도 학습 지각도 검사를 이용한 웹기반 검사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웹상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용이하게 자기주도학습 지각 정도를 검사하고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기여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윤옥(2008)이 구성한 중학교용 자기주도 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로서의 일반화 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평가결과와 준거점수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관심이 있는 준거타당도를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와 수업이해도, 자율학습 효율성간 상관관계의 정도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의 타당화 분석을 통해 동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함에 있다. 이를 통하여 마련된 중학교 학령기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 활용하여 중학교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사 및 자기 주도학습능력 증진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첫째, 이윤옥(2008)이 구성한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구성 타당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했다. 둘째,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척도와 중학생의 수업이해도와 학습효율성간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도구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했다.
  • 이순우(2002)가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는 혼자 학습하는 장면에서 학생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학습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검사의 전체 신뢰도 a계수는 .
  • 능력을 학습자의 인지적 . 정의적 영역과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지각하고 인식한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검사의 전체 신뢰도 a계수는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제2권 제1호, pp.1-25, 1996. 

  2. 노국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권, 제1호, pp.27-38, 1999. 

  3. 박용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 양철기 , 박아청, "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습양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 21권 제 1호, pp.169-183, 2007. 

  5.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R2003-15-03), 2003. 

  7. 이순우, 학업성취 관련 학습기술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8. 이윤옥,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아동교육, 제16권, 제1호, pp.19-30, 2007. 

  9. 이윤옥,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교육문제연구, 제30권, pp.59-78, 2008. 

  10. 신은영, 송인섭, 최명구, "위계적 지능구조 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3호, pp.93-119. 2002. 

  11. J. Baumert, O' Nei. lFend,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CCC)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12. M. Gibbons,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s to excel,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2. 

  13.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14.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 1975. 

  15. H. B. .Long and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nformation age, Boynton Beach, FL: Motorola University, 2001. 

  16. L. F. Odd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3, No.2, pp.97-107, 1986. 

  17. J. Pilling-Cormick,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scale: A step toward a toolbox approach to instrumentation proposed for self-directed learnin,.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 theory(pp.159-168), Norman, OK: Public Managers Center,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1998. 

  18. S. L. Stockdal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003. 

  19. R. F. West and E. L. Bentley,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modeling. In Long, H. B. & Associates, In Advance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University of Oklahoma. pp.157-180, 19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