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duc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2 no.4, 2009년, pp.115 - 125  

한지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이민영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정보라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개념 및 구성요인과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을 살펴보고, 문제기반학습프로젝트기반학습 방법이 적용되는 설계교육의 절차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능력개발, 설계교육을 주요어(key word)로 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설계교육 절차 및 문제기반학습과 프로젝트기반학습의 공통되는 항목을 추출하여 5단계 를 도출하였고,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준 차이를 전제로 하는 Grow(1991)의 수업 모형을 연결시켜 총 9단계의 설계교육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첫째, 선수학습 준비, 둘째, 문제정의 및 필요성 인식, 셋째, 팀 구성, 넷째, 관련자료 수집, 다섯째, 교사와 함께 실질적인 문제에 대한 팀학습, 여섯째, 최적의 해결책 선택, 일곱째, 학생 중심 토의, 여덟째, 모형 및 제품 제작, 아홉째, 시험 및 평가, 보완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모형을 적용시킨 설계교육을 통해 교수자는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정도 및 학업성취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는 이전보다 높은 수준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는 다른 학습상황에도 전이되어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공학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fficient method for development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 of self-directed learning,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esign education steps adopting problem b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교육과정은 설계기회 확인 - 설계프로젝트 특징 확인 - 설계개념 정의 - 설계개념 평가 및 선별 - 구체화된 설계의 5단계로 진행된다. 그룹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특징으로 하며, 목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공학주제를 가지고 그룹별로 논의하게 하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각 그룹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공학주제를 선택하여 범위를 정의하고, 여러 가지 해결책을 지닐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및 단행본 등의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인과 자기주도학습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설계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적용되는 다양한 문제해결방법론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에서의 체계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설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의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영역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수준의 정도를 고려하고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영역을 포괄하면서 학습과정에서 교수자의 역할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Grow(1991)의 수업 모형을 통해 설계교육의 방법을 9단계로 구체화시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공학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평생학습능력이 강조되고 있고,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주도학습 개념 및 구성요인, 설계교육의 절차 및 방법을 살펴보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교육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문제기반학습과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설계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필수적인 요소임은 틀림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uglielmino(1977)는 측정도구의 바탕이 되는 자기주도학습 구성요인으로 무엇을 제시하였나? Guglielmino(1977)와 Oddi(1984)는 각각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SDLRS)와 계속학습 측정도구(OCLI)를 개발하였다. 측정도구의 바탕이 되는 자기주도학습 구성요인으로, Guglielmino(1977)는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과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주도성과 독립성, 자기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 수용, 학습에 대한 사랑, 창의성, 기본 학습기능과 문제해결 기능을 사용하는 능력, 미래에 대한 긍정적 지향을 들었으며, Oddi(1984)는 적극적 동인 대 반응적 동인, 인지적 개방성 대 폐쇄성, 학습열의 대 냉담 혹은 혐오를 들었다.
Design for Manufacture 모델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는 2002년 가을학기에 NYSCATE(기술교육발전을 위한 뉴욕주 협회)에서 개발한 Design for Manufacture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모델은 탁상용 CD꽂이를 제작해 봄으로써 설계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설계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Knowels(1975)는 자기주도학습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나? Knowels(1975)는 자기주도학습을 조력자의 도움에 상관없이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 관련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선택하며, 적합한 학습 전략을 수립하고, 학습을 실행한 후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Brookfield(1985)는 자기주도학습을 학습자가 개인의 자율성, 자유의지, 그리고 역량을 바탕으로 학습 경험의 계획과 관리에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추진하는 학습으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지자 외(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연구, 2(1) : 1-25 

  2. 배을규(2006). 성인교육의 실천적 기초, 학지사 

  3. 심미자(2001). 자기주도적 학습의 이해, 도서출판 열린 

  4. 한지영(2008).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의 타당성 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 64-75 

  5. 홍기칠(2004).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교육심리연구, 18(1) : 75-98 

  6. ABET. http://www.abet.org 

  7. Agogino, A. M. et al(2005). Engineering Design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4(1) : 103-120 

  8. Anwar, S. & Granlund, E.(2003). Enhancing a Freshman Level Engineering Design Course Through Project Based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9. Archer, L. B.(1984) Systematic method for designers. Developments in Design Methodology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5-82 

  10. Barrows, H. S.(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11. Bazlamit, S. M.(2003). Team-Based Engineering Design Course for Engineering Freshmen. ASEE Annual Conference 

  12. Blumenfeld, P. et al(1991).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4) : 369-398 

  13. Brockett, R. G., & Hiemstra, R.(1991). Self-directed in learning: Perspes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Routledge 

  14. Brookfield, S. D.(1985). Self-directed adult learning: A critical paradigm. Adult Education Quarterly, 35(2) : 59-71 

  15. Fellows, S. et al.(2000). Keys to success: Selfdirected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16. Foque, R.(1995) Designing for patients: a strategy for introducing human scale in hospital design. Design Studies, 16 : 29-49 

  17. Garrison, D. R.(1997). Self-directed learning: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Adult Education Quarterly, 48(1) : 18-33 

  18. Grow, G. O.(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 125-149 

  19. Guglielmino, L. M.(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20.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Follett Pub. Co 

  21. Lawanto, O.(2007). Self-Management of Cognition in a Team-Based Engineering Design Project : A Case Study. ASEE Annual Conference 

  22. Litzinger, T. et al.(2003). Assessing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23. Masakatsu Matsuishi. et al.(2004).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n a Hybrid Way: Combining Face-to-Face Instruction with e-Learning Collaboration. ASEE Annual Conference 

  24. Oddi, L. F.(198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Nothern Illinois University 

  25. Osborn, A.(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ew York: Scribner's 

  26. Pames, S. J. & Brunelle, E. A.(1967). The literature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1) : 52-109 

  27. Pintrich, P. R.(2000).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28. Sadler, P. M. et al.(2000). Engineering competitions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Key elements in developing effective design challenge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3) : 259-286 

  29. Stolk, J.(2008). Engineering students' Concep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30. Zimmerman, B. J.(2000).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