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관리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발전 방안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ractices and Improvement Strateg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0 no.2 = no.48, 2009년, pp.55 - 64  

채명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정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문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기반시설물의 노후화나 성능 저하가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서 효율적인 관리, 운용, 성능향상, 그리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현재 자산관리가 수행되고 있는 사례와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에 자산관리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산관리의 정의와 기본 구성 체계를 고려하여 시설물 관리에 대한 주요 고려사항, 기법, 체계와 프로세스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현행 유지관리 체계의 한계와 자산관리의 도입을 위해 필요한 고려사항 및 요구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국내에 시설물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대한민국에 시설물 자산관리 업무나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구 개발 분야를 조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ny developed countries, social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roviding better quality services. This paper describes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and in the develop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자산의 잔존수명, 교체비용, 최적 보수∙보강 계획을 통해 자산을 유지관리하는 자금의 함수이다. 가치 평가의 목적은 미래의 예산을 정보로 시스템의 교체 비용을 산정하는 것으로, 교체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보수∙교체 전략의 비용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 국내의 경우 자산관리의 도입사례가 전무하므로,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제도와 체계를 분석하여 유지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자산관리의 도입을 위한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근래 들어 국내의 발전된 IT 신기술들을 유지관리에 활용하고자하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건설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축되고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상당히 고무적이다(배기선, 200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 업무의 전산화를 통한 자동화, 정보의 체계적 관리, 합리적 의사결정 지원 체계 등을 갖춘 국내의 적합한 자산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그리고, 자산관리의 기본개념 및 체계를 분석하여 자산관리 프레임워크를 단계적으로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자산관리의 도입을 위해 선진국의 자산관리 적용 및 연구 개발 사례를 국내의 유지관리 체계와 상호 비교하여 적용상의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향에 관하여 논의하고, 시설물 자산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시설물의 노후화와 사회의 경제적 급성장으로 향후 수년 내에 야기될 것이 자명한 시설물의 유지관리 문제를 예산 효율적이며, 안전한 관리 운용 및 고수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산관리 도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호주는 도로 시설물의 급속한 노후화 등으로 도로분야에서 처음으로 자산관리가 시작되어 국가적 자산관리 협의회가 구성되어 2001년 국제시설물관리메뉴얼을 작성하여 그림 2와 같은 자산관리를 위한 기본틀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자산관리의 핵심요소는 생애주기를 통한 접근, 장기적인 비용효율적 관리 전략의 개발, 명확한 서비스와 성능 수준의 제공, 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리스크의 관리 등으로 보고, 현재와 미래의 고객을 위한 자산의 관리를 통해 가장 비용효율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수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목표 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 틀을 전제로 교통시설의 자산관리를 위해 Austroads라는 정부기관들의 협회가 구성되었으며, 가장 비용효율적으로 이해관계자의 기대의 만족과 공공의 이익 실현을 위해 생애주기적인 접근을 통해 통합자산관리를 실현하고 있다(Austroads, 2002).
  • 이 연구는 철도시설물의 안전사고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시설물별 상시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위험 시설물의 상시감시 및 조기경보 시스템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 체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공유분석시스템 및 DB개발, 철도시설물 안전관리 네트워크 시범 구축, 철도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기준치 제안, 통합운영센터 연계방안 설정 등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며, 2010년까지 철도 시설물 안전관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실용화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 해외선진국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자산관리 개념과 구성 체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유지관리 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자산관리 체계를 단계적으로 정의하였으며, 도입을 위한 문제점과 향후 개선이 필요한 연구 분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의 효율적인 자산관리체계의 도입과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관리 업무나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훌륭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주의 국제시설물관리매뉴얼에 따르면 가장 범용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의 자산관리란 무엇인가? 호주의 국제시설물관리매뉴얼(INGENIUM, 2006)에서는 가장 범용적이며 포괄적인 의미로“자산관리는 자산의 요구되는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소비자를 위해 자산의 서비스 수준을 유지시키는 것이다”라고 정의 하고 있다. 또한 FHWA는 도로자산만을 대상으로‘유형자산들을 가장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 및 개선하는 시스템적인 절차’로 정의하여 경제 이론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위해 보다 공학적 원칙으로 조직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가능케 하는 도구들과 단기 및 장기 계획을 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다(FHWA, 1999).
시설물 관리 당국의 목표와 정책을 자산관리의 개념에 맞게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해야 할 일로 무엇이 있는가? 자산관리 절차와 계획은 모든 사회기반시설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시설물 관리 당국의 목표와 정책을 자산관리의 개념에 맞게 재정립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다. 이때 1) 관리 당국의 영향을 받는 다른 정책들과 문서들, 2) 각종 시설물에 관련된 실무 코드, 관리 계획, 업무계약에 관계된 표준 등의 내용, 3) 그리고, 자산관리 계획과 다른 조직의 문서 내용과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 등을 고려하여 하위 조직이나 다른 유형의 시설물의 관리 목적과 목표 간의 바람직한 관계의 정립하고 자산관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시특법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10)의 붕괴 이후 시설물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이하, 시특법)이라는 유지관리 정책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다. 시특법은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항만시설물, 댐, 건축물, 하천시설물, 상하수도/폐기물, 옹벽, 절토사면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물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안전점검과 적정한 유지관리를 통하여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킴으로써 공중(公衆)의 안전을 확보하고 나아가 국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그림 6과 같은 절차에 의해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공정식, 박경훈, 임종권(2007) '[건설기술및관리동향] 토목부분-유지관리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에 관하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pp.22-31 

  2. 김동규 (2007) '지방상수도사업 논산지방상수도 운영효율화혁신 4년의 성과', 수자원정보 겨울호, pp.13-23 

  3. 배기선, 이성복 (2007) '건설분야에서의 RFID/USN의 활용 현황',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51권), pp.423-430 

  4. 법률제8967호(2008)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 

  5. 이명규, 진남희, 정상화 (2006) '자산관리 기법에 근거한 도로시설물 유지관리 필요성 고찰', 2006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2338-2341 

  6. 정형석, 채명진, 진경호(2008) '인프라자산관리', 건설관리(한국건설관리학회지), v.9, n.3, 한국건설관리학회, pp.17-20 

  7. AASHTO (2002)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Guide', NCHRP Project 20~24(11) 

  8. Austroads Inc. (2002) 'Integrated Asset Management Guidelines for Road Networks', Sydney NSW Australia 

  9. FHWA (1999) 'Asset Management Primer, Office of Asset Management', U.S. DOT 

  10. FHWA.(2005) 'Transportation Asset Management in Australia, Canada, England and New Zealand' 

  11. INGENIUM, IPWEA (2006)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Management Manual-Version 3.0', ISBN No: 0-473-1068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