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A의 제정동향 및 내용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ements to Establish RDA and Its Contents Structur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0 no.1, 2009년, pp.317 - 338  

박진희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ACR의 합동상임위원회는 2009년을 목표로 AACR을 전면 개정하여 새로운 규칙이라고 할 수 있는 RDA를 준비하고 있다. RDA는 전통적인 도서관목록이 아니라 웹 기반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DA의 제정배경과 특징, 내용구조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oint Steering Committee has been preparing for RDA that can be a new rule with revising AACR completely aimed at 2009. RDA can be used not only in traditional library catalogue, but in web-based environment as well. Furthermore it follows up the standard of international contents for the purpo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DA는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가? AACR의 합동상임위원회는 2009년을 목표로 AACR을 전면 개정하여 새로운 규칙이라고 할 수 있는 RDA를 준비하고 있다. RDA는 전통적인 도서관목록이 아니라 웹 기반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DA의 제정배경과 특징, 내용구조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RDA의 기초적인 틀로써 반영된 것은 무엇인가? RDA 설계의 핵심적인 요소는 IFLA에서 개발한 서지데이터와 전거데이터에 대한 개념 모형과 일치하는 것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FRBR과 FRAD는 RDA의 기초적인 틀로써 반영된다. 이러한 기초적인 틀은 모든 유형의 내용과 매체를 광범위하게 포함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와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자원의 특성에 조화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확장성, 생산된 데이터가 광범위한 기술적 환경 내에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박지영, 김태수. "서지관계 유형의 확장 : RDA." 지식처리연구, 제8권, 제1/2호(2007). 

  2. Cato, Anders, IFLA Satellite Meeting on RDA :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action to RDA, [cited 2008. 10. 28]. 

  3. Chirs, Oliver. "Changing to RDA." Feliciter, Vol.53, No.5(2007), pp.250-253. 

  4. Coyle, Karen and Hillmann, Diane.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RDA) : Cataloging Rules for the 20th Century." D-Library Magazine, Vol.13, No.1/2(January/February. 2007) [cited 2008. 10. 28]. 

  5. Gorman, Michael. “AACR3? Not!" In: The Future of the Descriptive Cataloging Rules : Papers from the ALCTS Preconference, AACR2000.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8. p.28. 

  6. Gorman, Michael. "RDA : Imminent Debacle." Amcrican Libraries,(December. 2007), pp.64-65. 

  7. Howarth, Lynne C and Weihs, Jean. "Making the Link : AACR to RDA : Part 1 : Setting the stage."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5, No.2(2007), pp.3-13. 

  8. Medeiros, Norm. "On the Dublin core front : The future of the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OCLC Systems & Services, Vol.21, No.4(2005), pp.261-263 

  9. RDA Home page, [cited 2008. 10. 28]. 

  10. RDA Home page, [cited 2008. 10. 28]. 

  11. RDA Home page, [cited 2008. 10. 28]. 

  12. RDA Home page, [cited 2008. 10. 28]. 

  13. Tennant, Roy. "Digital Libraries Will RDA be DOA?" Library Journal, No.5(March 15. 2007), p.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