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A 자원유형의 KCR4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8 no.3 = no.81, 2011년, pp.103 - 121  

이미화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을 KCR4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KCR4의 GMD는 내용과 용기의 용어가 혼합되어 적합한 용어를 선정하기 어렵고, FRBR 개념모형 구현도 용이하지 않다. SMD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용어가 포함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 개발된 RDA 자원유형은 AACR2 GMD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앞으로 목록분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목록환경에 RDA 자원유형의 적용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한 개 기관을 대상으로 GMD 기술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용어의 변경 및 사서 및 이용자가 원하는 용어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자원유형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및 RDA 자원유형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자원유형 용어는 검색과 기술을 위해 구체적이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이 필요하였다. RDA 적용 테스트에서는 자원유형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RDA 내용유형에 컴퓨터게임을, 용기유형에 DVD, CD-ROM, Blu-Ray, 컴퓨터파일을 추가하여 KCR4의 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술방식과 화면출력에서도 RDA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KCR4 자원유형 개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eek to apply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It is difficult to choose appropriate term and to embody FRBR model because GMD of KCR4 is the mixture of content-based vocabularies and carrier-based vocabularies. SMD is to need to reflect the current technological terms. Resource typ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자원유형의 중요성은 무엇을 위한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는가? 자료유형(General Material Designator, GMD)과 특정자료종별(Specific Material Designator, SMD) 등의 자원유형은 검색 시 자원의 선정을 위한 중요한 정보이며, 서지기술 시에도 자원에 따라 기술요소를 달리하는 정보로 사용되어왔다. 최근 자원유형은 FRBR 개념모형의 저작, 표현형 기술을 위한 핵심 요소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RDA의 자원유형 기술에 맞게 MARC21는 어떻게 갱신되었는가? RDA의 자원유형 기술에 맞게 입력형식인 MARC21도 갱신되었다. 기존 245$h, 300$a를 대체하여 자원의 내용유형을 336$a, 매체유형을 337$a, 용기유형을 338$a에 각각 기술하도록 규정하였다.
검색 시 자원의 선정을 위한 중요한 정보에는 무엇이 있는가? 자료유형(General Material Designator, GMD)과 특정자료종별(Specific Material Designator, SMD) 등의 자원유형은 검색 시 자원의 선정을 위한 중요한 정보이며, 서지기술 시에도 자원에 따라 기술요소를 달리하는 정보로 사용되어왔다. 최근 자원유형은 FRBR 개념모형의 저작, 표현형 기술을 위한 핵심 요소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미화. 2011. KCR4 GMD 및 SMD 기술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37-255. 

  2.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목록규칙, 제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 Chapman, A. 2006. "RDA: A new international standard." Ariadne, 49(OCT. 2006). [cited 2011.7.10]. . 

  4. Chung, H. H. 2001. "User-friendly audiovisual material cataloging at Westchester County Public Library System."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1(3/4): 313-325. 

  5. Delsey, T. 1998.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cited 2011.3.10]. . 

  6. Delsey, T. 2006. Categorization of Content and Carrier Terms in RDA. [cited 2011.4.5]. . 

  7. Dunsire, G. 2007. "Distinguishing content from carrier: the RDA/ONIX framework for resource categorization." D-Lib Magazine, 13(1/2). [cited 2011.3.10]. . 

  8. GMD/SMD Working Group. 2005. Content and Carrier Terms in RDA. [cited 2011.3.20]. . 

  9. Green, R. and N. Fallgren. 2007. "Anticipating new media: A faceted classification of material types." In Proceedings North American Symposium on Knowledge Organization(Toronto: Ontario, 2007): 87-99. [cited 2011.5.9]. . 

  10. Guerrini, M. 2004. "GMD: Its function and its history."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8(2): 61-74. 

  11. Hider, P. 2009a. "A Comparison between the RDA taxonomies and end-user categorizations of content and carrier."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6): 544-560. 

  12. Hider, P. 2009b. "Library resource categories and their possible grouping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0(2): 105-115. 

  13. JSC for Development of RDA. 2011.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ALA. 

  14. JSC Format Variation Working Group. 2003.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AACR(JSC) Format Variation Working Group. [cited 2011.5.5]. . 

  15. Kiorgaard, D. 2006. RDA/ONIX Framework for Resource Categorization. [cited 2011.3.15]. . 

  16.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the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cited 2011.6.30]. . 

  17. Seikel, M. and T. Steele. 2011. "How MARC has changed: the history of the format and its forthcoming relationship to RDA."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28: 322-334. 

  18. Tillett, B. 2001. General Material Designations (GMDs). [cited 2011.4.5]. . 

  19. Weihs, J. 2000. General Material Design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ited 2011.3.10]. . 

  20. Weihs, J. and L. Howarth. 2008. "Designating materials: from "germane terms" to element typ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3-24. 

  21. Yee, M. M. 2007. "FRBR and moving image materials: content versus carrier." In Understanding FRBR(CT: Libraries Unlimited,2007): 117-130. [cited 2011.3.10].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