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RC 데이터의 RDA 저작 및 표현형 요소 분석을 통한 한국목록규칙 및 KORMARC의 고려사항
A Study on Suggestion for KCR and KORMARC by Analyzing Work and Expression Element of RDA in MARC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1 no.2, 2010년, pp.251 - 272  

이미화 (한성대학교 학생지원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LA의 국제목록규칙에 관한 목록전문가회의(IME ICC)에서 결정한 국제목록원칙(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을 반영하고,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FRBR)에 제시된 목록의 개념 모형과 전거데이터의 기능상의 요건(FRAD)에 제시된 전거데이터의 개념 모형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목록규칙인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초안이 2008년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RDA 규칙에 기반하여 MARC21 포맷에 신규 태그 및 필드를 추가시키고, RDA 및 FRBR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목록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에서 RDA 규칙의 수용을 위해 목록규칙과 엔코딩 포맷인 KORMARC의 개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성대학교 MARC 데이터에서 RDA 및 FRBR의 저작 및 표현형 요소의 입력 정도를 분석하여, RDA를 위한 현행 MARC 데이터의 한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의 한계를 바탕으로, 국내 목록 환경에서 RDA 규칙을 접목하기 위한 목록규칙과 KORMARC 추가 태그 및 필드를 제시하였다. 고려할 목록 규칙 및 기술 원칙으로는 표현원칙, 기본표목 및 "rule of three", 채택서명, 내용/매체/수록매체 유형 적용 등이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RDA를 위한 목록규칙 및 KORMARC 개정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RDA) was published in 2008, reflecting IFLA IME ICC's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ICP), conceptual model for cataloging of Functional Requirement for Bibliographic Records(FRBR), and conceptual model for authority data of Functional Requirement for Authority ...

주제어

참고문헌 (16)

  1. Ed Jones, "The Shape of things to come: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RDA)," Serials Librarian, Vol.52, No.3/4(2007), pp.281-289. 

  2. Alison Hitchens and Ellen Symons, "Preparing catalogers for RDA Trainin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7(2009), pp.691-707. 

  3. IME ICC, 영미권의 차세대 목록규칙 자원의 기술과 접근, 도서관연구소 역, 2009, [cited 2010. 3. 2]. 

  4.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2008, [cited 2009. 12. 23]. 

  5.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FRBR to RDA mapping, 2009, [cited 2009. 12. 23]. 

  6.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RDA to FRBR mapping, 2009, [cited 2009. 12. 23]. 

  7. Tom Delsey, "FRBR and FRAD as implemented in RDA," Presented at ALCTS Preconference RDA, 2009, [cited 2010. 4. 23]. 

  8. 조재인, "RDA 구현 시나리오와 서지제어의 장래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2009. 9), pp.85-105. 

  9. Jan Pisanski and Maja Zume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an investigation of two prototype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Vol.41, No.4(2007), pp.400-417. 

  10. Matthew Mayernik, "The Distributions of MARC Fields in Bibliographic Records," Library Resources Technical Services, Vol.54, No.1(2010), pp.40-54. 

  11. William E. Moen, "Data-driven evidence for core MARC records," Presented at NISO Webinar(2009), [cited 2010. 4. 23]. 

  12. Karen Smith-Yoshimura, et. al., Implicatons of MARC tag usage on library metadata practices(Ohio : OCLC, 2010). 

  13. Barbara B. Tillet, "Changes from AACR2 for texts," Presented at ABA Supervisors' Forum, 2009, [cited 2010. 4. 23]. 

  14. Lynne C. Howarth and J. Weihs, "Enigma Variations: parsing the riddle of main entry and the rules of three from AACR2 to RD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6, No.2(2008), pp.201-220. 

  15. Jean Weihs and Lynne C. Howarth, "Uniform titles from AACR to RD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64, No.4(2008), pp.362-384. 

  16. Philip Hider, "A Comparison between the RDA Taxonomies and End-User categorizations of content and carrier,"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7(2009), pp.544-5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