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in the Area of Mai Mountai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0 no.7, 2009년, pp.869 - 882  

노병섭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양우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 개발된 자료를 초등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나타난 반응을 분석하였다.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지역은 전북 진안군 마이산 도립공원 주변이며 규모가 큰 백악기 퇴적층이 공원 주변에 노두로 잘 나타나 있어 관찰하기가 용이하다. 이 퇴적층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퇴적암과 퇴적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백악기의 호수 퇴적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반암과 분지 경계 단층의 형성과정에서 생성된 변성암 및 변성구조와 현생 하천 주변의 제4기 하천 퇴적층도 관찰할 수 있다. 야외학습은 13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4 단계의 절차로 적용되었다. 질문지와 면담을 통한 연구 결과, (a) 야외지질 학습과 학습자료가 교사들의 과학 수업을 긍정적으로 증진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는 반응을 얻었고, (b) 학생들의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되는 체험학습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장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는 반응도 얻었다. 그러므로 교육기관은 초등 교사들이 초등학생들의 야외지질 체험학습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야외활동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around the area of Mai Mountain an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elementary teachers as to the application of fieldwork. The site of geological fieldwork, Mai Mountain area, is located around the Maisan Provincial P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 분야에서 야외 학습이 중요한 이유는? 이를 위해 초등과학의 대부분은 탐구 과정 및 활동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지구과학 분야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규모가 큰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야외 학습이 중요하다. 초등과학 교과에서 지질관련 단원은 주로 자연환경을 다루며 대부분이 탐구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등과학 교과에서 지질관련 단원은 주로 무엇을 다루고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특히 지구과학 분야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규모가 큰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야외 학습이 중요하다. 초등과학 교과에서 지질관련 단원은 주로 자연환경을 다루며 대부분이 탐구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등학생들에게 과학수업은 흥미와 호기심 및 과학적 사고력을 자극하며(허명, 1993), 특히 야외지질 체험학습은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조규성 외, 2002).
야외지질 학습의 장점은? 따라서 이 시기의 학생들은 직접적인 경험이 중요하며(서동욱, 2004), 그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프로그램들 중 하나가 야외지질 학습이다. 특히 야외 지질 학습은 과학에 대한 긍정적 방향, 호기심 증가, 자연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잠재력을 표출시키고 비판적 사고를 향상 시켜준다(Manner, 1995). 따라서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을 위해서 교사는 야외지질 학습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규봉, 최위찬, 황재하, 김정환, 1984, 한국지질도(1:50,000), 오수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38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초등학교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별책 02). 교육인적자원부, 296 p 

  3. 김정화, 조부경, 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617-631 

  4. 서동욱, 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86-594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6-1. 금성출판사, 서울, 192 p 

  6. 곽영순, 2003,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이 제안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4, 117-127 

  7. 맹승호, 2004, 야외 지질 학습 수업모형에 관한 고찰. 함께 하는 지구과학교육, 3, 55-64 

  8. 맹승호, 박명숙, 이정아, 김찬종, 2007, 야외 지질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학회지, 27, 818-831 

  9. 박경화, 조규성, 양우헌, 김은주, 2006, 전북지역 자연생태 탐구학습자료 개발. 전북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96 p 

  10.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 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47-761 

  11. 손치무, 1969, 한국의 지각변동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5, 167-210 

  12. 양일호, 김석민, 조현준, 2997,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 의 유형 분석. 한국교육과학회지, 27, 235-241 

  13. 유인창, 김부용, 곽원준, 김기현, 박세진, 2000, 황해 및 인접지역 퇴적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 한국석유지질학회지, 8, 1-43 

  14. 이병주, 노병섭, 이한조, 최재훈, 2005, 전북 지역의 지질학습장 개발과 이용을 위한 지도교사 워크샵 안내 자료. 지구를사랑하는사람들, 전주, 33 p 

  15. 이영엽, 1992, 백악기 진안분지의 층서, 퇴적환경 및 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7 p 

  16.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 258-272 

  17.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49-658 

  18.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901-921 

  19. 한국자원연구소, 1995, 한국지질도(1:1,000,000). 성지문화사 

  20. 허명,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85-92 

  21. 홍만섭, 윤선, 길영준, 1966, 한국지질도(1:50,000), 갈담 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1 p 

  22. Baag, C.B. and Baag, C.E., 1994, Aeromagnetic interpretation of the southern and western offshore Korea. Korean Society of Petroleum Geology, 2, 51-57 

  23. Choi, H.I., 1986, Sedimentation and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143, 29-40 

  24.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52, 175-235 

  25. Chun, S.S. and Chough, S.K., 1992, Tectonic history of Cretaceous sedimentary basins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nd Yellow Sea. In Chough, S.K. (eds.),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Korean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Special Publication, Seoul, 60-76 

  26. Kim, J.H. and Kee, W.S., 1994,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nchang Shear Zone, Korea. Journal of Southeast Asian Earth Science, 9, 417-428 

  27. Lee, S.H., 1995, Depositional architecture in the eastern part of Jinan Basin (Cretaceous), SW: Depositional model for differential along the strike-slip margi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7 p 

  28. Lee, S.H. and Chough, S.K., 1999, Progressive changes in sedimentary facies and stratal patterns along the strikeslip margin, northeastern Jinan Basin (Cretaceous), Southwest Korea: implications for differential subsidence. Sedimentary Geology, 123, 81-102 

  29.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30. Orion, N., 1989, Development of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31. Ryang, W.H., 2005, Channel-fill deposits of gravel-bed stream, southeastern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757-767 

  32. Ryang, W.H. and Chough, S.K., 1999, Alluvial-to-lacustrine systems in a pull-apart margin: Southwestern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Sedimentary Geology, 127, 31-46 

  33. Shimamura, S., 1925, Geological atlas of Chosen (Korea), no. 5, Jinan and Cheonju sheets (1:50,000). Geology Survey of Korea, 5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