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the food characteristics of seven melania snail species in Korea, the detailed proximate, fatty/amino acid, mineral composition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range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were 70.1-81.0%, 11.6-16.9%, 0.4-1.6% and 1.9-3.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7종의 모든 다슬기를 수집하여 이에 대한 식품으로서의 성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과 chlorophyll 함량을 분석하였고, 또한 종류에 따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슬기의 분포 국가는? 다슬기는 고등 (포두면), 소래고등 (밀양), 갈고등 (완도), 민물고등 (전남구례)으로 불리는 패류로 하천, 개울 또는 호수 등에서 집단적으로 서식하며 물살이 센 계류지역에서 주로 살지만 깊은 강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특히 기호도가 높은 유용한 수산자원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Chu and Chu, 1987). 한국산 다슬기는 1905년 Melania sculpta에 의해 1속 15종 3아종으로 분류된 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3속 7종 1아종, 3속 6종 및 1아종으로 정리하고 있다 (Martens, 1905; Choi and Yoon, 1997; Kwon et al.
다슬기란? 다슬기는 고등 (포두면), 소래고등 (밀양), 갈고등 (완도), 민물고등 (전남구례)으로 불리는 패류로 하천, 개울 또는 호수 등에서 집단적으로 서식하며 물살이 센 계류지역에서 주로 살지만 깊은 강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특히 기호도가 높은 유용한 수산자원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Chu and Chu, 1987). 한국산 다슬기는 1905년 Melania sculpta에 의해 1속 15종 3아종으로 분류된 후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3속 7종 1아종, 3속 6종 및 1아종으로 정리하고 있다 (Martens, 1905; Choi and Yoon, 1997; Kwon et al.
한국산 다슬기의 분포 지역은? , 2003). 다슬기의 분포를 살펴보면 곳체 다슬기는 주로 강원도와 경기도의 남, 북한강 수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염주알 다슬기와 띠구슬 다슬기는 강원도의 남한강 수계와 경상북도 낙동강 수계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 알려진 참다슬기는 강원도와 경기도 지역에서 대부분 곳체 다슬기와 공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좀주름 다슬기는 주로 남부 해안 지방에 분포하고 일부는 중부 내륙지방에도 분포하며 다슬기는 제주도를 포함하여 강원도의 동해항 지역과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Le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69-74 

  2. Cha YJ, Lee EH and Park DC. 1988.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jam -. Bull Korean Fish Soc 21, 42-49 

  3. Choi BR and Yoon SH. 1997 Mollusca In : List of animal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Seoul, Korea 

  4. Chu JK and Chu JP. 1987. Classification of Semisulcospira in Korea. Bulletin of Nat. Chonbuk Univ. Dep of Agr 31, 471-489 

  5. Dongailbo Womandonga. 1987. The encyclopedia for ladies. Samasung Publishing Co., pp. 70 

  6. Duncan, DB. 199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7. Hwang GD, Kim LO, Park JH, Bang IC, Lim KD, Jang HS and Lee SM. 2003. Utilization of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in different types of diets for juvenil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J Kor Fish Soc 36, 454-457 

  8. Je YK, Yu YB, Kim GE, Lee JH and Jung BC. 1997. Flavor compounds of dried shellfishes. 2. Changes of reducing sugars,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during drying process. J Kor Fish Soc 30, 72-78 

  9. Je YK, Kim YS, Lee JH and Jung BC. 1996. Flavor compounds of dried shellfishes. 1. Changes of nitrogenous compounds in shellfishes during drying process. J Kor Fish. Soc 28, 546-555 

  10. Jo KS and Park YH. 1985.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1.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top shell, hard clam, abalone and their boliled-dried products. Bull Kor Fish Soc 18, 227-234 

  11. Jo KS and Park YH. 1985.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2.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oyster, sea-mussel, baby clam, hen clam and their boliled-dried products. Bull Kor Fish Soc 18, 417-423 

  12. Kamata Y and Yamada M. 1975. Studies on the extractive of 'Uri'-Ⅳ. Taste of each component in the extractives. Bull Japan Soc Fish 30, 749-756 

  13. Kang DS, Kim HS, Lee YJ, Kwak JM and Kim HR. 2001. Processing conditions of Corbicula elatior Broth by hot water extraction. Korean J Life Sci 11, 203-210 

  14. Kim JS, Oh KS and Lee JS. 2001.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between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nd sea eel (Muraenesex cinerens). J Korean Fish Soc 34, 678-684 

  15. Kim YH, Lee TK and Cha YS. 1985. Studies on the nutritive component of black snail. Bulletin of Nat Chongbuk Univ Dep of Agr 16, 101-105 

  16. Kozukue N and Freidman MT. 2003. Chlorophyll, $\beta$ -carotene and lycopene content in tomatoes during growth maturation. J Sci Food Agric 83, 1-6 

  17. Kwon OK, Min DK, Lee JS, Jee JG and Choe BL. 2003. Korean mollusks with color illustration. Hanguel Publishing Co., Busan, Korea 

  18. Lee EH and Heo WD. 1980. The taste compounds of Corbicula elatior. Bull Nat Fish Univ Busan 20, 31-46 

  19. Lee JS. 2003. Distribution of Family Pleuroceridae in Korean. 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J Kor Fish Soc 378-379 

  20. Martens EV. 1905. Koreanische Susswasser Mollusken. Zoologichen Jahrbucher Supplement 8, 23-70 

  21. Pyeun JH, Park YH and Lee KH. 1977. Factors involved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Bull Korean Fish Soc 10, 125-135 

  22. Shim TH, Han KS, Lee TJ, Cheong EH and Lee HK. 1994. Composition of lipid and amino acid in Semisulscospira gorrschei tissue. J Fd Hyg Safety 9, 81-87 

  23. Shimma Y and Taguchi H. 1964. A comparative study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shellfish. Bull Japan Soc Sci Fish 30, 153-160 

  24. Yoon HD, Byun HS, Chun SJ, Kim SB and Park YH. 1986. Lipid composition of oyster, arkshell and sea-mussel. Bull Korean Fish Soc 19, 321-326 

  25. You YS and Ko YS. 1985. Studies on the Taste components of shellfishes. J Kor Home Eco Ass 23, 74-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