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xtruded pellet (EP) diet compared with a raw fish moist pellet (MP) diet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 field feeding experiments in Jeju area. The experimental EP diet (juvenile, growing and adult) was prepared based on the former studies on nutrient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사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실용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넙치의 영양요구 및 사료원료 이용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배합사료를 설계, 제조하여 넙치 치어부터 상품크기까지의 제주도 양식장 현장에서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품질배합사료 개발과 더불어 실제양식현장에서 습사료 와의 비교 사육실험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08). 현재 배합사료가 개발되었더라도 대상어종에 부적합하여 성장 및 사료효율 측면에서 생사료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있지 않거나 가격 면에서도 비싸기 때문에 양식 사양가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식 현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배합사료 개발과 더불어 실제양식현장에서 습사료 와의 비교 사육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해산어 양식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어종은 무엇인가? 최근 양식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해산어 양식 생산량은 1990년 3천 톤에서 2008년 99천 톤으로 계속하여 증가하였으며, 그 중 넙치와 조피볼락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넙치 양식 생산량은 농림수산식품부 자료를 토대로 1988년 10여톤으로 처음 보고된 이래 2008년에 46천 톤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2008년 기준, 해산어 양식 생산량은 얼마인가? 최근 양식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해산어 양식 생산량은 1990년 3천 톤에서 2008년 99천 톤으로 계속하여 증가하였으며, 그 중 넙치와 조피볼락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넙치 양식 생산량은 농림수산식품부 자료를 토대로 1988년 10여톤으로 처음 보고된 이래 2008년에 46천 톤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am MS, Teshima SI, Kosiho S and Ishikawa M. 2002. Arginine requirement of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stimated by growth and biochemical parameters. Aquaculture 205, 127-140 

  2. Azzaydi M, Martines FJ, Zamora S, Sanchez-Valzquez and Madrid JA, 2000. The influence of nocturnal vs. diurnal feeding condition under winter condition on growth and feed conversion of European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L.). Aquaculture, 182, 329-338 

  3. Cho SH, Lee SM and Lee JH. 2005. Effects of the extruded pellet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lichthys olivaceus for 10 months. J Aquaculture 18, 60-65 

  4. Doughty CR and Mcphall CD. 1995.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consent compliance of freshwater fish farms. Aquaculture Research 26, 557-565 

  5. Hardy RW, Fairgrieve WT and Scott TW. 1993. Periodic feeding of low-phosphorus diet and phosphorus retention in rainbow trout. In: Kaushik S J & Luquet P (eds.). Fish Nutrition in Practice. pp. 403-412. INRA Press, Paris 

  6. Kikuchi K, Furuta T and Honda H. 1997. Use of Meat and Bone Meal as a protein source in the diet of juvenile japanese flounder. Fisheries Science 63, 29-32 

  7. Kim KD and Lee M. 2004. Requirement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for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229, 315-323 

  8. Kim KW, Wang XJ and Bai SC. 2002. Reevaluation of the Dietary Protein Requirement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research 33, 673-679 

  9. Kim KW, Kang YJ, Kim KM, Lee HY, Kim KD and Bai SC. 2005b. Long-term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 diets compared to raw fish moist pellet diet for growing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18, 225-230 

  10. Kim KW, Kang YJ, Choi SM, Wang XJ, Choi YH, Bai SC, Jo JY and Lee JY. 2005a. Optimum dietary protein levels and protein to energy ratio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World Aquaculture Research 36, 165-178 

  11. Kim KW, Kang YJ, Lee HY, Kim KD, Choi SM, Bai SC and Park HS. 2006. Commercial scale evaluation of practical extruded pellet feed for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Korean Fish Soc 39, 100-105 

  12. Kim KD, Kang YJ, Lee JY, Nam MM, Kim KW, Jang MS and Lee SM. 2008. Evalution of extruded pellet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th of sub-adult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21, 102-106 

  13. Lee SM, Seo JY, Lee YW, Kim KD, Lee JH and Jang HS. 2005. Evaluation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 commercial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ing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18, 287-292 

  14. Peres H and Oliva-Teles A. 1999. Effect of dietary lipid level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by European sea bass juvenile (Dicentrarchus labrax). Aquaculture 179, 325-334 

  15. Seo JY, Lee JH, Kim GU and Lee SM. 2005. Effect of extruded and moist pellets at different feeding rat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18, 26-30 

  16. Tsevis N, Klaoudatos S and Conides A. 1992. Food conversion budget in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fingerlings under two different feeding frequency patterns. Aquaculture 101, 293-3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