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분 종류 및 소맥분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 in Extruded Pellet on the Growth and Apparent Digestibility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3, 2011년, pp.232 - 236  

김경덕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 ,  김동규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 ,  정재훈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 ,  김강웅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 ,  손맹현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 ,  이상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extruded pellets (HB1, HB1T, HB2 and HB2T) were prepared using two kinds of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5)의 연구에 사용된 사료는 실험용 건조사료 형태였으며, 사육기간이 치어기 (11-52 g)에 국한되어 있어서 실용 배합사료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인 면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넙치의 성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고품질 배합사료 개발을 위하여 어분 종류 및 소맥분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가 육성기 넙치의 성장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료내 단백질은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가요? 해산어류는 일반적으로 육상동물이나 담수어에 비해 육식성이 강하고 단백질 요구량이 높아 사료원료 중에서 단백질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NRC, 1993). 사료내 단백질은 어류의 성장과 사료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Lovell, 1989), 사료에 양질의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어류의 성장과 사료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RC, 1993). 소맥분은 양식용 배합사료의 탄수화물원으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료로써 사료 제조시 성형을 도와주는 점결제로도 작용하여 미세한 먼지 등의 부스러기를 없애주고 수중에서 사료의 풀림을 방지하여 사료의 수중 유실을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료에서의 소맥분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사료내 단백질은 어류의 성장과 사료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Lovell, 1989), 사료에 양질의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어류의 성장과 사료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RC, 1993). 소맥분은 양식용 배합사료의 탄수화물원으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료로써 사료 제조시 성형을 도와주는 점결제로도 작용하여 미세한 먼지 등의 부스러기를 없애주고 수중에서 사료의 풀림을 방지하여 사료의 수중 유실을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수화물원은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사료 단백질을 절약할 수 있으며, 단백질원 및 지질원에 비하여 가격이 낮아 양식 대상종에 대한 이용성이 연구되면 사료단가를 절감 할 수 있는 영양소이다 (Wilson, 1994).
어류의 탄수화물 이용성의 양면성과 그 양면성을 감안한 결론은? 어류의 탄수화물 이용성은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담수어에 비하여 해산어의 탄수화물 이용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ilson, 1994). 어류 사료에 비단백질 에너지원으로 적정 함량의 탄수화물 첨가는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감소시켜 사료의 단백질효율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NRC 1993). 하지만 사료 중에 적정 함량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는 섭취된 사료의 장통과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을 감소시켜 어류의 성장 및 사료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Falge et al., 1978; Jobling, 1981). 일반적으로 해산어용 배합사료 중에는 20% 이하의 탄수화물 첨가가 적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Wilson, 1994).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사료원료에 대한 넙치 육성 어의 영양소 소화율을 조사한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ksnes A and Mundheim H. 1997. The impact of raw material freshness and processing temperature for fish meal on growth, feed efficienc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Aquaculture 149, 87-106. 

  2. Anderson JS, Lall SP, Anderson DM and McNiven MA. 1993. Evaluation of protein quality in fish meal by chemical and biolocal assays. Aquaculture 115, 305-325. 

  3. Andrews JW and Page JW. 1974. Growth factors in the fish meal component of catfish diets. J Nutr 104, 1091-1096. 

  4. Cho CY, Slinger SJ and Bayley HS. 1982. Bioenergetics of salmonid species: energy intake, expenditure and productivity. Comp Biochem Physiol 73, 25-41. 

  5. Duncan DB. 195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6. Falge R, Schpanof L and Jurss K. 1978. Amylase, esterase and protease activity in the intestine content of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Rich. after feeding with feed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starch and protein. J Ichthyol 18, 283-287. 

  7. Jang HS, Kim KD and Lee SM. 2005. Effect of various commercial fish meals as dietary protein source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18, 267-271. 

  8. Jobling M. 1981. Dietary digestibility and the influence of food components on gastric evacuation in plaice Pleuronectes platessa L. J Fish Biol 19, 29-36. 

  9. Kim KD and Lee SM. 2004. Requirement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for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229, 315-323. 

  10. Kim KD, Kim DH, Kim KW, Son MH, Kang YJ, Baek JM and Lee SM. 2010. Effect od dietary wheat flour conten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Kor J Fish Aquat Sci 43, 747-750. 

  11. Lee SM, Cho SH and Kim KD. 2000.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World Aquacult Soc 31, 306-315. 

  12. Lee SM, Jeon IG and Lee JY. 1996. Comparison of various fish meal as dietary protein sources for Korea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 Korean Fish Soc 29, 135-142. 

  13. Lee SM, Kim KD and Lall SP. 2003. Utilization of glucose, maltose, dextrin and cellulose by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221, 427-438. 

  14. Lovell RT. 1989. Nutrition and Feeding of Fish. Van Nostrand-Reinhold, New York, U.S.A., 260. 

  15. McCallum IM and Higgs DA. 1989. Aspects of protein utilization in juvenile chinook salmon (Oncorhynchus tshawytscha). Nutritive value of marine protein sources considering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Aquaculture 77, 181-200. 

  16. Moksness E, Rosenlund G and Lie O. 1995. Effect of fish meal quality on growth of juvenile wolffish, Anarhichas lupus L. Aquacult Res 26, 109-115. 

  17.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3. Nutrient requirements fish,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114. 

  18. Pike IH, Andorsdottir G and Mundheim H. 1990. The role of fish meal in diets for salmonids. IAFMM Technical Bulletin No. 24, 2 College Yard, Lower Dagnall Street, St. Albans, herts. AL3 4PA, U.K., 1-35. 

  19. Romero JJ, Castro E, Diaz AM, Reveco M and Zaldivar J. 1994. Evaluation of methods to certify the 'premium' quality of Chilean fish meals. Aquaculture 124, 351-358. 

  20. Tacon AG and Jackson AJ. 1985. Utilisation of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protein sources in practical fish feeds. In: Cowey CB, Mackie AM and Bell JG. (ed.) Academic Press, London, U.K., 119-145. 

  21. Vergara JM, Lopez-Calero G, Robaina L, Caballero MJ, Montero D, Izquierdo MS and Aksnes A. 1999.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lipid content of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fed increasing lipid levels and fish meals of different quality. Aquaculture 179, 35-44. 

  22. Wilson RP. 1994. Utilization of dietary carbohydrate by fish. Aquaculture 124, 67-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