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연안 영일만 조간대 해조류의 군집구조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Benthic Marine Algae in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2 no.6, 2009년, pp.664 - 673  

박규진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최창근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veget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Youngil Bay,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by quadrat method from February 2003 to January 2009. Marine algae identified from the area were 152 spe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동해안 영일만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하여 영일만 지역을 대상으로 변화된 해조군집을 6년간 계절별로 조사하였으며, 서식 해조류의 분포와 특성 등 시공간적 변화 양상과 같은 정량 자료를 확보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이전에 연구된 결과와 상호 비교, 고찰하여 해조류의 군집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일만 내외 지역의 출현종 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조류 문별 비교시 갈조류와 홍조류는 만내보다 만 바깥 쪽 지역에서 더 많았지만, 녹조류는 유사하게 출현하였다. 영일만 내외 지역 간에 나타난 출현종 수의 차이는 영일만내 지역이 도시에 인접하여 오염물질 농도가 높기 때문에 해조류 생육에 불리한 환경인 반면, 만 외부 해안은 외해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해조류 생육 환경이 연중 다양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Lee et al., 1997).
영일만이란? 영일만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하는 유일한 만 구조를 갖는 해안이며, 이 해역은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가 북상하여 영향을 미치는 곳이다 (Lee and Oh, 1986). 이 지역은 주변 해역에 암반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지만, 조간대 면적이 넓지 않고 조석 간만의 차는 0.
생태공학적인 복원을 할 경우 가장 우선으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 , 2002a, b). 생태복원 대상 해역을 선정하여 생태공학적인 복원을 실시할 경우에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이식 대상 종에 의한 생태적인 교란이 일어나지 않으며 (Ohno et al., 1983), 대상 지역에서 생육 또는 번식이 가능한 대상 생물종을 도입하는 것이다 (van Katwijk, 1998; Choi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o SM and Lee IK.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2. Boo SM. 1985.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intertidal algal community on a Kangreung rocky shore, east coast of Korea. Proc Nat Sci Res Inst KACN 1, 46-53 

  3. Cheney DP. 1977. R & 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4. Choi CG, Kim HG and Sohn CH. 2002a. Effect of transplanta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with adhesive glue. J Korean Fish Soc 35, 608-613 

  5. Choi CG, Kwak SN and Sohn CH. 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463-470 

  6. Choi CG, Takeuchi Y, Terawaki T, Serisawa Y, Ohno M and Sohn CH. 2002b. Ecology of seaweed beds on two types of artificial reef. J of Appl Phycol 14, 343-349 

  7. Choi CG. 2001. Marine communities around the experimental artificial reefs.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8. Choi HG. 2008.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23, 151-162 

  9. Chung HS, Lee HJ and Lee IK. 1991.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on a Gallam rocky shore of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6, 55-67 

  10.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11.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2.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13. Kim SK. 2008. Impact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oyster cultivation along Korea's west coast. Proceeding of World Aquaculture, Busan, Korea 

  14. Kim YH, Nam KW and Sohn CH. 1997. Intertidal benthic marine algae at Chumun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12, 117-130 

  15. Lee HB and Oh YS. 1986. A summer algal vegetation in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1, 225-240 

  16. Lee IK and Kang JW.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 311-325 

  17. Lee IK and Lee HB. 1982. A study on the algal vegetation in Garolim Bay, western coast of Korea. Bull KACN 4, 325-337 

  18. Lee JW and Lee HB. 1988. A floristic study on marine benthic algae of Youngil Bay and adjacent areas,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3, 165-182 

  19. Lee JW. Lee HB and Lee IK. 1993.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terdital marine benthic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Sokcho. Korean J Phycol 8, 67-75 

  20. Lee SY, Lee JW and Lee HB. 1997. Marine benthic algal flora of Youngil Bay and its adjacent areas, the eastern coast of Korea. Algae 12, 303-311 

  21. Lee YP and Kang SY.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22. Littler MM and Littler DS. 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 13-34 

  23. Lobban CS and Harrison PJ.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New York 

  24. Nam KW. 1986. On the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of Chuckdo in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1, 185-202 

  25. Ohno M, Kasahara H and Imoto Z. 1983. Physiological ecology of brown alga, Ecklonia on the coast of Tosa Bay, Southern Japan. Ⅱ. Transplanting experiment by adult fronds. Rep Usa mar biol Inst 5, 65-75 

  26. Park CS, Wee MY and Hwang EK. 2007. Summer algal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lgae 22, 305-311 

  27.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28. Sohn CH, Choi CG and Kim HG. 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22, 45-52 

  29. Sohn CH, Lee IK and Kang JW. 1982. Benthic marine algae of Dols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Publ Inst Mar Sci Nat Fish Univ Busan 14, 37-50 

  30. Sohn CH. 1987. Phytogeographic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lgal communities in Korea.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31. Taniguti M. 1962.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in Japan III. Tokyo, 83-129 

  32. van Katwijk MM, Schmitz GHW, Hanssen LSAM and den Hartog C. 1998. Suitability of Zostera marina populations for transplantation to the Wadden Sea as etermined by a mesocosm shading experiment. Aqua Bot 60, 283-305 

  33. Yoo JS. 2003.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Yeongil inner and outer Bay. Algae 18, 365-369 

  34. Yoshida T, Yoshinaga K and Nakajima Y.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Jpn J Phycol 43, 11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