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Natural Seaweed Bed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4, 2017년, pp.338 - 346  

박규진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주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최옥인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울진, 부산 일대에서 천연 해조장 및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총 96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녹조류 9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4종이었다. 강릉의 경우, 미끈뼈대그물말(D. divaricata)이 정점별로 $173.2{\sim}613.8g\;m^{-2}$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가는보라색우무(S. linearis)가 $360.8{\sim}520.4g\;m^{-2}$, 미역(U. pinnatifida)이 $25.9{\sim}470.8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울진에서는 참곱슬이(P. telfairiae)가 $5.5{\sim}256.2g\;m^{-2}$, 구멍쇠미역(A. clathratum)이 $46.8{\sim}241.5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부산에서 높은 생물량을 보인 해조류는 큰잎모자반(S. coreanum)으로 $388.1{\sim}6,972.4g\;m^{-2}$였고, 감태(E. cava)도 $194.9{\sim}958.5g\;m^{-2}$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체량 비율의 경우, 강릉에서 0.0 ~ 55.5 %로 평균 19.2 %를 나타내 울진과 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울진에서는 36.8 ~ 73.3 %으로 평균 63.8 %를 보였으며, 부산은 평균 48.5 %였다. 갯녹음 비율은 강릉에서 평균 46.7 %의 비율을 나타냈고, 울진에서는 평균 91.1 %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번 연구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식성 동물의 밀도는 강릉에서 평균 6.0 개체/$m^2$로 분석되었고, 울진에서는 7.0 개체/$m^2$를 나타냈으며 부산에서 2.0 개체/$m^2$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조식성 동물 밀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종조성, 출현비율, 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안개발 등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오염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seaweed beds and habitat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rom May to December 2015 at 3 sites in Gangneung, Uljin, and Busa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In total, 9 green, 23 brown, and 64 red algal taxa were identified. The biomass of the sea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해조상과 군집 구조를 분석하고 군집의 분포 특성 및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해역의 해조군집 및 서식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추후 이와 관련한 연구에 연속성을 부여하고 천연 해조장의 유지 및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보다 많은 해역의 천연 해조장을 모니터링하고, 해양생태계 1차 생산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해양생태계 내에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 생태계에서 해조류의 역할은? , 2008). 해조류는 연안 생태계 에서 중요한 일차 생산자로서 물질순환의 중심적인 역할을할 뿐만 아니라, 어류, 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산 생물의 산란장, 은둔처 등 서식공간으로서 해양생물 군집의 이차생산력을 높여주어 자원을 조성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Bates and DeWreede, 2007). 이 외에도 공업용, 사료용, 의약용 등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Choi et al.
해조장이란? 해조장은 대형 갈조류를 비롯한 다양한 해조류로 구성된 해조군락을 말하며 흔히 바다숲, 해조숲, 해중림 등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모두 동일한 의미로 통용된다 (Choi et al., 2003; Connell et al.
고부가가치 산업소재로서 해조류의 이용은 어떤 분야에서 이뤄지나? 해조류는 연안 생태계 에서 중요한 일차 생산자로서 물질순환의 중심적인 역할을할 뿐만 아니라, 어류, 무척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산 생물의 산란장, 은둔처 등 서식공간으로서 해양생물 군집의 이차생산력을 높여주어 자원을 조성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Bates and DeWreede, 2007). 이 외에도 공업용, 사료용, 의약용 등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Choi et al., 2008; Dawes, 1998), 오염 해역의 용존 무기영양염 흡수를 통한 연안 환경개선과 해조장 조성을 통한 해양생물 서식지 복원 등 해양 생태계에서의 다양한 기능으로 해조류의 중요성이 조명받고 있다(Terawa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tes, C. R. and R. E. DeWreede(2007), Do changes in seaweed biodiversity influence associated invertebrate epifauna?,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344, pp. 206-214. 

  2. Boo, S. M.(1987),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from shore area of Kangwon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Vol. 2, pp. 223-235. 

  3. Choi, C. G.(2007),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Algae, Vol. 22, pp. 313-318. 

  4. Choi, C. G., H. G. Kim and C. H. Sohn(2003), Transplantation of young fronds of Sargassum horneri for construction of seaweed beds,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6, pp. 469-473. 

  5. Choi, C. G., J. H. Kim and I. K. Chung(2008), Temporal variation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Yokjido, Gyeongnam Province, Algae, Vol. 23, pp. 311-316. 

  6. Choi, C. G., M. T. H. Chowdhury, I. Y. Choi and Y. K. Hong(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Kijang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The Sea, Vol. 15, pp. 133-139. 

  7. Choi, C. G., S. N. Kwak and C. H. Sohn(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1, pp. 463-470. 

  8. Connell, S. D., B. D. Russell and D. J. Turner(2008), Recovering a lost baseline: missing kelp forests from a metropolitan coas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360, pp. 63-72. 

  9. Dawes, C. J.(1998),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628. 

  10. Eriksson, B. K., G. Johansson and P. Snoeijs(2002), Long-term changes in the macroalgal vegetation of the inner Gullmar Fjord, Swedish Skagerrak coast, Journal of Phycology, Vol. 38, pp. 284-296. 

  11. Foster, M. S.(1975), Regulation of algal community development in a Macrocystis pyrifera forest, Marine Biology, Vol. 32, pp. 331-342. 

  12. Guiry, M. D. and G. M. Guiry(2012), Algaebas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Available from: http://www.algaebase.org (Accessed May 19, 2014). 

  13. Kang, J. W.(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pp. 465. 

  14. Kang, P. J., Y. S. Kim and K. W. Nam(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Vol. 23, pp. 317-326. 

  15. Kim, D. K.(2006),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marine forests using artificial reef in the barren grounds along the coast of Jeju,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pp. 115. 

  16. Kim, M. K and K. T. Kim(2000), Studies on the seaweeds in the islands of Ullungdo and Dokdo: I. Decrease of algal species compositions and changes of marine algal flora, Algae, Vol. 15, pp. 119-124. 

  17. Kim, M. K., J. K. Shin and J. H. Cha(2004),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lgae and whitening in the coast of Dokdo island during summer, Algae, Vol. 19, pp. 69-78. 

  18. Kim, Y. D., M. S. Park, H. I. Yoo, B. H. Min and H. J. Jin(2012), Seasonal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t the subtidal zone of Bihwa on the East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5, pp. 262-270. 

  19. Kim, Y. H. and J. K. Ahn(2006), Effects of heated effluents on the intertidal macroalgal community near Wolseong,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1, pp. 453-461. 

  20. Korpinen, S. and V. Jormalainen(2008), Grazing effects in macroalgal communities depend on timing of patch coloniz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360, pp. 39-46. 

  21. Lee, I. K. and J. W. Kang(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Vol. 1, pp. 311-325. 

  22. Lee, Y. P. and S. Y. Kang(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p. 662. 

  23. Nam, K. W. and Y. S. Kim(1999),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 dong area in Pusan,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2, pp. 374-384. 

  24. Nam, K. W.(1986), On the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of Chuckdo in Eastern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Vol. 1, pp. 185-202. 

  25. Norderhaug, K. M. and H. C. Christie(2009), Sea urchin grazing and kelp re-vegetation in the NE Atlantic, Marine Biology Research, Vol. 5, pp. 515-528. 

  26. Ohno, M., S. Arai and M. Watanabe(1990), Seaweed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on different bottom substrata,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Vol. 2, pp. 327-332. 

  27. Russell, B. D., J. I. Thompson, L. J. Falkenberg and S. D. Connell(2009),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stressors: CO2 and nutrient-driven change in subtidal rocky habitats, Global Change Biology, Vol. 15, pp. 2153-2162. 

  28. Shinmura, I.(1983), Series for construction of seaweed beds. 5. Technique and problem for construction of seaweed beds in southern coast of Japan, Suisankenkyu, Vol. 2, pp. 67-71. 

  29. Terawaki, T., S. Arai and Y. Kawasaki(1995), Methods of submarine forest formation considering local limiting factors of distribution, Fisheries Engineering, Vol. 32, pp. 145-154. 

  30. Thompson, R. E., B. J. Wilson, M. L. Tobin, A. S. Hill and S. J. Hawkins(1996), Biologically generated habitat provision and diversity of rocky shore organisms at a hierarchy of spatial scal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202, pp. 73-84. 

  31. Yoo, J. S.(2003a),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organisms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Busan, Algae, Vol. 18, pp. 225-232. 

  32. Yoo, J. S.(2003b),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The Sea, 8, pp. 420-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