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생활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 추이조사
A Transition of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Aged in Early Adulthood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3 no.2, 2009년, pp.199 - 206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 ,  김명자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health habi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early adulthood women in 1995, 2001, and 2007. Also, it was performed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Method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a tra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알 수 있었다. 건강습관의 형성을 위해 건강환경의 제공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습관과의 관련성을 간호 사정 혹은 간호중재에 활용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 Brunner (2006)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사회 . 문화적 특성과 교육 수준 및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건강에 대한 가치와 해석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고, 건강전문가들이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1995년 이후 우리 사회의 건강환경의 두드러진 변화가 개인의 건강에 대한 가치를 변화시키고 이것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예측하는 바이다. 또한, Choi(2005)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하게 평가된 집단이 건강에 대한 책임수준이 높다고 하였는데, 인지적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며 자기이미지가 건강증진행위의 가장 의미 있는 예측요인이고(Felton et al.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된 1995년 이후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1995년을 기준으로 6년 간격으로 2001년과 2007년에 반복 측정하여, 세 시점간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 상태를 비교분석하고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 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비교조사연구이다 .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된 1995년을 기준으로 6년 간격으로 2001년과 2007년에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반복 측정하여, 세 시점간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추이를 비교분석하고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된 1995 년 이후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 상태의 추이를 파악하고 건강습관과 주관적 건강 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건강환경의 변화에 따른 건강인지 및 습관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el, T. (1991). Measuring health life styles in a comparative analysis: Theoretical issues and empirical finding. Social Science and Medline, 32, 899-908. 

  2. Brunner, R. L. (2006). Do different factors explain self-rated health in men and women? Gender Medicine, 3(4), 295-308. 

  3. Choi, E. S., & Lee, M. R. (1999).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e, exercise-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9(6), 1254-1262. 

  4. Cho, H. S. (1994). Perceived weight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normal and over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6(2), 209-219. 

  5. Choi, C. H. (2005). An influence on the promotion behavior of health by the attitude toward health and the control behavior of health in adult people. Chosun University, Gwangju. 

  6. Choi. Y. S., Jang, S. B., Cho, H. S., Jang, C. J., Lee, N., Choi, Y. J., & Park, Y. S. (1994). Maternal health care, Hyunmoonsa, Seoul. 

  7. Edmonds, J. C. (2006). The relationship of weight, body image, self-efficacy, and stress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 study of college educated African American women. Unpublished Ph.D.,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8. Facione, N. C., & Facione, P. A. (2007). Perceived prejudice in healthcare and women's health protective behavior. Nursing Research, 56(3), 175-184. 

  9. Felton, G. M., Liu, Q., Parsons, M. A., & Geslani, G. P. (1998).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rural adolescent women. Women & Health, 27(4), 67-80. 

  10. Gillis, A. J. (1993). The relationship of definition of health,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parental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selected demographics to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adolescent females. Unpublished Ph.D.,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1. Holahan, C. K., & Suzuki, R. (2004). Adulthood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later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8(4), 289-313. 

  12. Jeong, S. E. (2001). A predictive model for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in Korea.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D. H. (200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a community. J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7(4), 250-259. 

  14. Kim, J. H. (2007). A study on factors relation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Injae University, Kim Hae. 

  15. Kim, M. H., & Jeon, M. Y. (2002). A study of health behaviors on adult women. J Korean Acad of Commminity Health Nurs, 16(2), 239-253. 

  16. Kim, M. 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e, personality, situational barrie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J Korean Acad of Adult Nurs, 16(3), 442-451.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Surveys/life table for Korea. 

  18. Lee, B. S., Kim, M. Y., Kim, M. H., & Kim, S. K. (2000).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30(1), 213-224. 

  19. Lee, S. Y. (1994). Structural modeling of health concern, health practice and health status of Koreans,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Y. H. (2006). Relationship among daily life stress, self-efficacy, hardiness, and health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8(5), 699-708.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Information of maternal and child public health care. 

  22.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Oh, J. J. (1997).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behaviour and related factors of the Korean elderly and non-elderly adults. J Korean Acad Adult Nurs, 9(2), 286-296. 

  24. Okun, M. A., & Karoly, P. (2007). Perceived goal ownership, regulatory goal cognition, and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 Health Behavior, 31(1), 98-109. 

  25. Reed, J., & Ainsworth, B. (2007).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supports on physical activity behaviors of university men and wome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 American College Health, 56(2), 199-204. 

  26. Santrock, J. W. (1999). Life-span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Inc. 

  27. Walker, S., Sechrist, K., & Pender, N. (Eds.).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maha: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28. Werch, C. E., Bian, H., Moore, M. J., Ames, S., DiClemente, C. C., & Weiler, R. M. (2007). Brief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s in a college student health care clinic. J Adolescent Health , 41(6), 577- 585. 

  29. Wood, M. H. (1991).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with health concep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steem in obese women. Unpublished Ph.D., Texas Woman's University. 

  30. Yu, S. J. (2007).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es on Health status.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