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냉각 챔버 제작용 구리합금의 열처리 전후 성형성 평가
Evaluation of Formability of Copper Alloy for Regenerative Cooling Chamber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7 no.12, 2009년, pp.1201 - 1208  

유철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소기팀) ,  이금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소기팀) ,  최환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소기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액체로켓 연소기의 재생냉각 챔버의 제작에 사용되는 구리합금의 성형성을 돔 장출 시험과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성형성 평가에 사용된 시편은 열처리 유무와 재료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여 고온 열처리와 재료의 방향성이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열처리 후 구리합금 재료의 성형한계 값은 열처리 전 시편의 성형한계 값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시편의 제작 방향에 따른 성형성의 차이는 열처리 영향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형성 평가 시험방법에 따라 성형한계 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들로부터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의 내측구조물에서 실린더 형상의 구조물을 벌징 공정으로 네킹이나 파손 없이 노즐 형상으로 성공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벌징 전 재료에 대한 고온열처리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방법이 성형성 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구리합금의 성형한계도는 이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 노즐의 구조설계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me stretching tests and tension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formability of a copper alloy used for manufacturing the regenerative cooling chamber. The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direction of specimens on the formability. The test result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인장시험형 시편으로 구한 한계 변형률 값들이 돔 장출 시험으로 구한 값들과 비교하였을 때 얼마나 정확하게 재료의 성형성을 나타내는지는 비교자료나 연구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돔 장출 시험으로 얻은 한계 변형률 값들과 인장형 시편에서 얻은 값들을 비교하여 시편의 형상 및 시험 방법에 따른 한계 변형률 값들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종류의 인장시험형 시편을 제작하여 한계 변형률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 5%로 인장-압축 변형률 영역에서의 차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재료를 봉 형상으로 제작하면서 발생된 재료의 방향성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Figure 8과 Fig.
  • 이러한 결과는 고온 열처리 후 재료의 성형성 또한 크게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열처리 후 구리합금의 성형성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벌징공정을 적용하는 내측구조물의 설계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고온 열처리 후 횡 방향과 종 방향 시편에 대하여 돔 장출 시험 결과 열처리 전 시편과 마찬가지로 폭이 넓고, 윤활을 한 시편의 경우 네킹이 시편의 중앙 쪽에서 발생하였으나, 시편의 폭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네킹 발생 위치가 블랭크 홀더 쪽으로 이동하였다[2,16].
  • 그리고 시험 결과 시편의 폭이 100 mm 이하의 시편들에서는 돔 장출 시험으로 한계 변형률 데이터들을 얻지 못 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폭이 작은 시편에서 돔 장출 시험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시편과 치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온 열처리가 재료의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징 공정이 매우 중요한 공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액체로켓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의 제작에서 벌징(bulging)은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이 벌징 공정을 수행할 때 재생냉각 채널이 가공된 내측 구조물(inner jacket)에 네킹(necking)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조물을 설계하고, 벌징 공정을 확립하는 것은 연소기 재생냉각 챔버의 무게를 경감시 키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내에서는 벌징노즐의 설계를 위하여 재생냉각 챔버에 사용되는 구리합 금에 대하여 돔 장출 시험(dome stretching test) 으로 성형성을 평가하였다[1].
연소기 챔버 형상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국내에서 재생냉각 챔버 의 제작 방식은 내측구조물과 외측구조물(outer jacket)을 기계가공한 후 조립하여 브레이징 (brazing)으로 접합하여 재생냉각 챔버를 제작한다. 연소기 챔버 형상은 직경이 일정한 연소실과 노즐목 전의 수축부와 노즐목부 그리고 노즐목 이후 콘(cone) 또는 벨(bell) 형상의 노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내측과 외측구조물을 브레이징 하기 위하여 조립할 때 내측구조물의 연소실 실린더부나 노즐부 직경이 노즐목보다 크기 때문 에 Fig.
액 체로켓 연소기 챔버는 노즐목에서 열하중이 가장 크기에 필요한 설계는 무엇인가? 액 체로켓 연소기 챔버는 노즐목에서 열하중이 가장 크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벌징된 노즐의 끝단부가 노즐목에서 가능한 멀리 떨어질수록 열 하중 뿐만 아니라 연소실 내부 압력이 낮아져서 재생 냉각 챔버가 구조적으로 더 안정하게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벌징되는 노즐의 최대 직경확대비를 크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나 직경확대비를 크게 설계하면 구조물에 발생되는 변형 또한 증 가하기 때문에 벌징공정에서 구조물에 네킹 또는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유철성, 이금오, 최환석, “재생냉각 연소기챔버 제작용 구리합금의 성형성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 37권 9호, 2009, pp. 939-945 

  2. F. Ozturk and D. Le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out-of-plane formability test”,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70, 2005, pp. 247-253 

  3. H. B. Campos, et al., "Theorical and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forming limit diagram for the AISI 304 stainless steel”, Journal of Material Processing Technology, Vol. 179, 2006, pp. 56-60 

  4. A. R. Ragab, "Forming Limit Curves: Out-of-plane and In-plane Stretching”, Journal of Mechnical Working Technology, Vol. 6, 1982, pp. 267-276 

  5. S. S. Hecker, "Simple technique for determining forming limit curves”, Sheet Metal Industries, 1975, pp. 671-676 

  6. V. Buakaew, S. Sodamuk and S. Sirivedin, "Formability Prediction of Automotive Parts Using Forming Limit Diagrams”, Journal of Solid Mechanics and Materials Engineering, Vol. 1, 2007, pp. 691-698 

  7. ASTM E 2218-02,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Forming Limit Curves, ASTM Standards (2002), pp. 1252-1266 

  8. T. Iguchi, "Ductile Forming Limit Stress in Sheet Forming Processes with Nonlinear Strain Path Involving Out-of-plane Forming”, ISIJ International, Vol. 47, 2007, pp. 502-509 

  9. T. Iguchi and J. Yanagimoto, "Measurement of Ductile Forming Limit in Non-linear Strain Paths and Anisotropic Yield Conditions for 11% Cr Steel Sheets”, ISIJ International, Vol. 47, 2007, pp. 122-130 

  10.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on Testig of Metalic Materials[Metric] (ASTM E 8 M) 

  11. S. P. Keeler and Backofen, "Plastic Instability and Fracture in Sheets Stretched over Rigid Punches”, Transaction of the ASM, Vol. 56, 1963, pp. 25-48 

  12. J. K. Lee, G. L. Kinzel and R. H. Wagoner(Eds), "NUMISHEET '96 3rd Int. Conference on Numerical Simulation of 3-D sheet Metal Forming Processes, Verification of Simulation with Experiments”, 29 September -3 October 1996, Dearborn, Michigan 

  13. 류철성, 최환석, "액체로켓 연소기 노즐의 벌징 공정”,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 36권 3호, 2008 

  14. M. M. Moshksar, S. Mansorzadeh, " Determination of the forming limit diagram for Al 3105 sheet”, Journal of Material Processing Technology, Vol. 141, 2003, pp. 138-142 

  15. M. Aghaie-Khafri, R. Mahmudi, "Predicting of plastic instability and forming limit diagrams”,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s, Vol. 46, 2004, pp.1289-1306 

  16. M. M. Moshksar, S. Mansorzadeh, "Determination of the forming limit diagram for Al 3105 sheet”,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41, 2003, pp. 138-142 

  17. R. Narayanasamy and C. Sathiya Narayanan, "Some aspects on fracture limit diagram developed for different steel sheet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Vol. 417, 2206, pp. 197-2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