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후추의 주요 성분인 piperine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의 항암 효과를 밝히기 위해 piperine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Piperine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40{\mu}M$)로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한 경우 piperine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고, 세포사멸이 증가하였다. 이는 piperine이 HT-29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Piperine의 세포사멸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사멸 조절인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iperine에 의해 anti-apoptotic Bcl-2 family 단백질인 Bcl-2와 Mcl-1 단백질 수준은 감소하였고, BH3-only 단백질인 Bid 단백질 수준은 감소하였으나, Bik 단백질 수준은 증가하였다. 또한 piperine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이 증가하였고,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이 증가하였다. 또한 piperine 처리에 의해 caspase의 활성형인 cleaved caspase-8, -9, -7, -3 단백질 수준이 증가하였고, PARP의 불활성형인 cleaved PARP 수준이 증가하였다. Cas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세포사멸억제단백질 중의 하나인 survivin 단백질 발현이 piperine에 의해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대장암세포인 HT-29 세포에서 piperine이 Bcl-2 family 단백질 발현 변화를 초래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 증가시키고 cytochrome c 방출을 증가시키고, casp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survivin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piperine이 대장암에 강한 항암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나 향후 암예방 및 암치료제로서 piperine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동물실험임상실험 등 다양한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perine is an alkaloid-amine found in pepper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rcinogenic properti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piperine has cancer chemopreventive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in colon cancer, we examined whether piperine inhibits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핵에 존재하고, DNA 수선에 관여하여 세포의 생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PARP는 caspase-3의 주요한 표적 단백질로 caspase-3에 의해 분절되면 불활성화 되어 세포의 분해를 촉진하여 세포사멸을 야기한다(34). Piperine에 의해 caspase-3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므로 piperine이 PARP의 분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iperine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PARP의 불활성 형태인 cleaved PARP 단백질 수준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piperine을 40 μM로 처리한 경우 piperine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cleaved PARP수준이 29.
  • 세포사멸억제단백질 중 survivin은 다른 세포사멸억제단백질과는 달리 태아기에 발현이 증가하다가 정상 성인에서는 발현이 거의 되지 않지만 여러 악성 종양에서 현저하게 재발현이 되고 암 환자에 있어 생존기간, 예후, 치료에 대한 저항성 및 암 재발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Piperine이 세포사멸억제단백질인 survivin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ig.
  • 2A). Sub G1기에 머무른 세포수의 증가는 세포사멸의 특징으로 간주되므로(32) piperine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이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T-29 세포의 세포 배양액에 piperine을 첨가하여 세포를 72시간 배양한 후 Hoechst H 33258로 염색하여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 여러 연구 보고를 통해 piperine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나, piperine이 대장암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기전에 대해 연구된 바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이 대장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기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후추의 주요 성분인 piperine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의 항암 효과를 밝히기 위해 piperine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Piperine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40 μM)로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한 경우 piperine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고, 세포사멸이 증가하였다.
  • 후추의 주요 성분인 piperine은 강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대장암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된 바가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를 사용하여 piperine이 대장암세포의 증식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작용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 Caspase는 initiator caspase와 effector caspase로 구분되며, initiator caspase는 death-inducing signal에 의해 활성화되어 effector caspase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effector caspase는 lamin A, α-fodrin, DNA fragmentation factor와 PARP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한다(16).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항암 성분은 caspase의 활성을 조절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어(23-26)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이 casp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aspase의 활성화된 형태인 cleaved caspase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perine의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후추에서 분리된 다양한 phytochemical들은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alkaloid-amine 성분인 piperine이 대표적이다. Piperine은 항산화 활성(6), 간세포 보호 효과(7), 뇌세포 보호 효과(8) 등의 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되었으며, Pradeep과 Kuttan(9)은 piperine이 B16F-10 melanoma cell에서 염증과 관련된 NF-kB, c-Fos, CREB, ATF-2 및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고하였다. Piperine은 benzo(a)pyrene을 투여하여 폐암을 유도한 동물에서 강한 암예방 효과를 나타냈고(10,11), in vivo에서 B16F-10 melanoma cells의 폐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12), Sarcoma 180에 의한 고형암 형성을 억제하였다(13). Duessel 등(14)이 대장암세포인 DLD-1 세포의 증식이 piperine에 의해 억제되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이 연구를 제외하면 현재까지 piperine이 대장암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세포사멸은 무엇인가? 세포사멸(apoptosis)은 선택적인 세포 소실을 일으키는 생리적인 과정으로 조직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조절 작용이다(15). 세포사멸은 세포 내․외적인 세포사멸 신호에 의해 시작되어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Bcl-2 family 단백질, caspases, 세포사멸억제단백질(inhibitors of apoptosis protein)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16-19).
후추의 주요 성분인 piperine의 항암 효과를 밝히기 위해 piperine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기전을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piperine의 항암 효과를 밝히기 위해 piperine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Piperine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40 μM)로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한 경우 piperine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고, 세포사멸이 증가하였다. 이는 piperine이 HT-29 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Piperine의 세포사멸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사멸 조절인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iperine에 의해 anti-apoptotic Bcl-2 family 단백질인 Bcl-2와 Mcl-1 단백질 수준은 감소하였고, BH3-only 단백질인 Bid 단백질 수준은 감소하였으나, Bik 단백질 수준은 증가하였다. 또한 piperine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이 증가하였고,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이 증가하였다. 또한 piperine처리에 의해 caspase의 활성형인 cleaved caspase-8, -9, -7, -3 단백질 수준이 증가하였고, PARP의 불활성형인 cleaved PARP 수준이 증가하였다. Cas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세포사멸억제단백질 중의 하나인 survivin 단백질 발현이 piperine에 의해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대장암세포인 HT-29 세포에서 piperine이 Bcl-2 family 단백질 발현 변화를 초래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 증가시키고 cytochrome c 방출을 증가시키고, casp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survivin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emal A, Siegel R, Ward E, Murray T, Xu J, Thun MJ. 2007.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 43-66 

  2. Kim WS, Lee RA, Hwang DY, Hong YJ, Hong SI. 2004. Histoculture drug response assay in colorectal cancer specimen. J Korean Surg Soc 66: 109-115 

  3. Maroun JA, Anthony LB, Blais N, Burkes R, Dowden SD, Dranitsaris G, Samson B, Shah A, Thirlwell MP, Vincent MD, Wong R. 2007.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emptherapy-induced diarrhea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 consensus statement by the canadian working group on chemotherapy-induced diarrhea. Curr Oncol 14: 13-20 

  4. de Gramount A, Figer A, Seymour M, Homerin M, Hmissi A, Cassidy J, Boni C, Cortes-Funes H, Cervantes A, Freyer G, Papamichael D, Le Bail N, Louvet C, Hendler D, de Braud F, Wilson C, Morvan F, Bonetti A. 2000. Leucovorin and fluorouracil with or without oxaliplatin as first-line treatmet in advanced colorectal cancer. J Clin Oncol 18: 2938-2947 

  5. Parmar VS, Jain SC, Bisht KS, Jain R, Taneja P, Jha A, Tyagi OD, Prasad AK, Wengel J, Olsen CE, Boll PE. 1997. Phytochemistry of the genus Piper. Phytochemistry 46: 597-673 

  6. Mittal R, Gupta RI. 2000.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piperine.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22: 271-274 

  7. Singh J, Reen RK, Wiebel FJ. 1994. Piperine, a major ingredient of black and long peppers, protects against AFB1-induced cytotoxicity and micronucliei formation in H4IIEC3 rat hepatoma cells. Cancer Lett 86: 195-200 

  8. Lee CS, Han ES, Kim YK. 2006. Piperine inhibition of 1-methyl-4-phenylpyridinium-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cell death in PC12 cells. Eur J Pharmacol 537: 37-44 

  9. Pradeep CR, Kuttan G. 2004. Piperine is a potent inhibitor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s-Fos, CREP, ATF-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 in B16F-10 melanoma cells. Int Immunopharmacol 4: 1795-1803 

  10. Selvendiran K, Banu SM, Sakthisekaran D. 2004. Protective effect of piperine on benzo(a)pyrene-induced lung carcinogenesis in Swiss albino mice. Clin Chim Acta 350: 73-78 

  11. Selvendiran K, Singh JPV, Sakthisekaran D. 2006. In vivo effect of piperine on serum and tissue glycoprotein levels in benzo(a)pyrene induced lung carcinogenesis in Swiss albino mice. Pulm Pharmacol Ther 19: 107-111 

  12. Pradeep CR, Kuttan G. 2002. Effect of piperine on the inhibition of lung metastasis induced B16F-10 melanoma cells in mice. Clin Exp Metastasis 19: 703-708 

  13. Bezerra DP, Castro FO, Alves AP, Pessoa C, Moraes MO, Silveira ER, Lima MA, Elmiro FJ, Costa-Lotufo LV. 2006. In vivo growth-inhibition of Sarcoma 180 by piplartine and piperine, two alkaloid amides from piper. Braz J Med Biol Res 39: 801-807 

  14. Duessel S, Heuertz RM, Ezekiel UR. 2008. Growth inhibi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s by plant compounds. Clin Lab Sci 21: 151-157 

  15. Hengarth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6 

  16. Jin Z, El-Deiry WS. 2005. Overview of cell death signaling pathways. Cancer Biol Ther 4: 139-163 

  17. Yao J, Jiang Z, Duan W, Huanq J, Zhanq L, He L, Li F, Xiao Y, Shu B, Lin C. 2008. Involvement of mitochondrial pathway in triptolide-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normal liver L-02 cells. Biol Pharm Bull 31: 592-597 

  18. Ambrosini G, Adida C, Altieri DA. 1997. A novel anti-apoptosis gene, survivin, expressed in cancer and lymphoma. Nat Med 3: 917-921 

  19. Altieri DC, Marchisio PC. 1999. Survivin apoptosis: an interloper between cell death and cell proliferation in cancer. Lab Invest 79: 1327-1333 

  20. Reed JC. 2004. Apoptosis mechanisms: implications for cancer drug discovery. Oncology 18: 10-20 

  21. Frankfurt OS, Krishan A. 2003. Apoptosis-based drug screening and detection of selective toxicity to cancer cells. Anticancer Drugs 14: 555-561 

  22. Lowe SW, Lin AW. 2000. Apoptosis in cancer. Carcinogenesis 21: 485-495 

  23. Kim EJ, Park SY, Hong J, Shin M, Lim SS, Shin HK, Park JHY. 2007.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1-438 

  24. Kim EJ, Park H, Lim SS, Kim JS, Shin HK, Park JHY. 2008. Effect of the hexane extracts of Saussure lapp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7-214 

  25. Kim EJ, Park SY, Shin HK, Kwon DY, Surh YJ, Park JHY. 2007. Activation of caspase-8 contributes to 3,3'-diindolymethane-induced apoptosis in colon cancer cells. J Nutr 137: 1-6 

  26. Kim EJ, Lee YJ, Shin HK, Park JHY. 2006. A study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6-523 

  27. Denizot F,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28. Kim EJ, Shin HK, Cho JS, Lee SK, Won MH, Kim HW, Park JHY. 2006.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inhibits the G1-S cell cycle progression in DU145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J Med Food 9: 293-299 

  29. Jung JI, Lim SS, Choi HJ, Cho HJ, Shin HK, Kim EJ, Chung WY, Park KK, Park JH. 2006. Isoliquiritigenin induces apoptosis by depolarizing mitochondrial membranes in prostate cancer cells. J Nutr Biochem 17: 689-696 

  30. Eguchi Y, Srinivasan A, Tomaselli KJ, Shimizu S, Tsujimoto Y. 1999. ATP-dependent steps in apoptotic signal transduction. Cancer Res 59: 2174-2181 

  31. Sunila ES, Kuttan G. 2004.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activity of Pier longum Linn. and piperine. J Ethnopharmacol 90: 339-346 

  32. Yu Z, Li W. 2006. Induction of apoptosis by puerarin in colon cancer HT-29 cells. Cancer Lett 238: 53-60 

  33. Luo X, Budihardjo I, Zou H, Slaughter C, Wang X. 1998. Bid, a Bcl2 interacting protein, mediates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ell surface death receptors. Cell 94: 481-490 

  34. Oliver FJ, de la Rubia G, Rolli V, Ruiz-Ruiz MC, de Murcia G, Murcia JM. 1998. Importanc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its cleavage in apoptosis. Lesson from an uncleavable mutant. J Biol Chem 273: 33533-33539 

  35. Budihardjo I, Oliver H, Lutter M, Wang X. 1999. Biochemical pathways of caspase activation during apoptosis. Annu Rev Cell Dev Biol 15: 269-290 

  36. Ashkenazi A, Dixit VM. 1998. Death receptor: signaling and modulation. Science 281: 1305-1308 

  37. Nijhawan LP, Budihardjo D, Srinivasula I, Ahmad SM, Alnemri M, Wang X. 1997. Cytochrome c and dATP-dependent formation of Apaf-1/caspase-9 complex initiates an apoptotic protease cascade. Cell 91: 479-489 

  38. Baker SJ, Reddy EP. 1998. Modulation of life and death by the TNF receptor superfamily. Oncogene 17: 3261-3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