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처리 가공조건에 따른 씀바귀 침출차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Ixeris dentata Roo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4, 2009년, pp.496 - 501  

이가순 (충남농업기술원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관후 (충남농업기술원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현호 (충남농업기술원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은수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혜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만진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각각의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증숙처리 후 열풍건조한 것이 98%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천일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열풍건조의 순으로 높았으며, 침출액의 SOD유사활성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씀바귀뿌리 추출물에서 $35.61{\pm}0.67%$의 활성을 보였다. ACE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0%로 가장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고, 증숙 처리 후 열풍건조한 처리구가 가장 낮아 28.89%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1%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증숙처리 후 열풍건조의 순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를 한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이 모든 pH 구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ea prepared by various thermal processing methods from Ixeris dentata root in order to elevate utilization of Ixeris dentata root as food. These methods included natural drying (ND), hot-air drying (HAD, $7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씀바귀뿌리를 이용한 식품활용의 범위를 넓히고자 Lee 등(20)은 열처리에 따른 씀바귀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바 건강식품으로 활용하기에 적당한 소재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열처리 가공조건에 따라 제조한 씀바귀 침출 차에 대하여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는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씀바귀뿌리를 이용하여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건조온도및 처리조건을 달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각각의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증숙처리 후 열풍건조한 것이 98%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천일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열풍건조의순으로 높았으며, 침출액의 SOD유사활성은 열풍건조 후 볶음 처리한 씀바귀뿌리 추출물에서 35.61±0.67%의 활성을보였다. ACE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0%로 가장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고, 증숙 처리 후 열풍건조한 처리구가 가장 낮아 28.89%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천일건조한 것이 44.61%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열풍건조 후 볶음처리>증숙처리 후 열풍건조의 순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열풍건조 후 볶음처리를 한 씀바귀뿌리 침출차의 침출액이 모든 pH 구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볼 수 있었다.
씀바귀의 뿌리는 영양적으로 무엇을 함유하고 있는가? 씀바귀(Ixeris dentata)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오래전부터 뿌리와 잎을 나물의 형태로 식용하여 왔는데 잎이나 뿌리를 자르면 쓴맛을 내는 유액상의 즙이 나오 므로 고채, 황과채, 쓴 나물, 씸배 나물 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에는 흰 씀바귀, 뻗은 씀바귀, 갯 씀바귀, 좀 씀바귀, 선 씀바귀 등 7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씀바귀의 뿌리는 영양적으로 탄수화물 18.0%, 지질 0.3%, 회분 0.8%, 섬유소 1.8%를 함유하고 있으며, 무기질로서는 K가 0.34%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 riboflavin, thiamin 등이 풍부한 채소로 알려져 있어(2) 주로 김치나 샐러드 형태로 식용되고, 민간요법에서는 건위, 진정, 소염제, 식욕증진, 이뇨, 종창 등의 한약재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생즙은 당뇨병이나 간장병과 같은 성인병 치료에도 사용하였다(3). 이러한 씀바귀에는 aliphatics, cynaroside, triterpenoide, sesquiterpene lactone 등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4,5)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Chung 등(6)은 한국산 씀바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6종의 flavonoid를 분리하고 luteolin핵에 glucose가 결합된 luteolin-7-O-β-d-glucoside가 주된 flavonoid라고 보고한 바 있다.
씀바귀는 무엇인가? 씀바귀(Ixeris dentata)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오래전부터 뿌리와 잎을 나물의 형태로 식용하여 왔는데 잎이나 뿌리를 자르면 쓴맛을 내는 유액상의 즙이 나오 므로 고채, 황과채, 쓴 나물, 씸배 나물 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에는 흰 씀바귀, 뻗은 씀바귀, 갯 씀바귀, 좀 씀바귀, 선 씀바귀 등 7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씀바귀의 뿌리는 영양적으로 탄수화물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ook CS. 1997. Colo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Inc., Seoul, Korea. p 547 

  2.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2006.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Korea, p 138-139 

  3. Hukutarou. 1988. Colored Wild Medicinal Plants. Tokyo. p 1068 

  4. Arai Y, Kusumoto Y, Nagao M, Shiojima L, Ageta H. 1963. Composite constituents: Aliphatics and triterpenoides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Ixeris debilis and I. dentata. Yakugaku Zasshi 103: 356-359 

  5. Young HS, Im KS, Choi JS. 1992. The pharmaco-chemical study on the plant Ixeris spp. 2. Flavonoids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Ixeris sonchifolia. J Korean Soc Food Nutr 21: 296-301 

  6. Chung KH, Yoon KR, Kim JP. 1994. Flavonoidal constituent in Korean Lactuca dentata Makino. Korean J Dietary Culture 9: 131-136 

  7. Kim SH. 1995. Inhibitory effects of Ixeris dentata on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1,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and growth of MG-63 human osteosarcoma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4: 305-312 

  8. Young HS, Suh SS, Lee KH, Lee JH, Choi JS. 1992. The pharmaco-chemical study on the plant Ixeris spp. 1. Anti-hypercholesterolemic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J Korean Soc Food Nutr 21: 291-295 

  9. Lim SS, Lee JH. 1997.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3-129 

  10.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on contractility and vasodilation of cardiovascula and endothelial cell in hyperlipidemic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00-307 

  11. Kim MJ, Kim JS, Cho MA, Kang WH, Jeong DM, Ham SS. 2002. Biological activity of Ixeris dentata Nakai jui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24-930 

  12. Kim MJ, Kim JS, Kang WH, Jeong DM. 2002. Effect on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of Ixeris 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139-143 

  13. Kim MJ, Kim JS, Jeong DM, Ham SS, Yu CY. 2002.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Ixeris 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222-229 

  14.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2004.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12-217 

  15. Yoo KM, Kim CE, Kim DI, Huh D, Hwang IK.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54-359 

  16. Joo SJ, Choi KJ, Kim KS, Park SG, Kim TS, Oh MH, Lee SS, Ko JW. 2002.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9: 400-405 

  17. Ryu KC, Chung HW, Kim KT, Kwon JH. 1997. Optimization of roasting conditions for high quality Polygonatum odoratum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76-783 

  18. Park NY, Jeong YJ, Kwon JH. 2006. Changes in flavor compound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99-103 

  19. Chung HS, Kim JK, Youn KS. 2006.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phycochemical properties of Job's tears (Coix lachryma jobi L. var ma-yeun) powder an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477-482 

  20. Lee KS, Kim GH, Kim HH, Kim ES, Park HM, Oh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dried Ixeris dentata root. Korean J Food Preserv 15: 524-531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4 

  22.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3.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4.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 3981: 517-519 

  25. Gray JI, Dugan JLR. 1975. Inhibition of N-nitroso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26. Shin SR, Hong JY, Nam HS, Yoon KY, Kim KS.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7-191 

  27.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Kim SB. 1995. Antioxidative effects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28.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29.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 Kang MH.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91-1497 

  30. Noh H, Song K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the javanica. Agric Chem Biotechnol 44: 98-99 

  31. Oh SJ, Kim SH, Kim SK, Baek YJ, Cho KH. 1997. Angiotensin-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the K-casein fragments hydrolyzated by chymosin, pepsin, and trysin.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32. Funayama S, Hiki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Tokyo) 27: 2865-2868 

  33. Lee SH, Kim SY, Kim JJ, Jang TS, Chung SY. 1999. The isolation of the inhibitory constituents on melanin polymer formation from the leaves of Cercis chinensis. Korean J Pharmacogn 30: 397-403 

  34.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83-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