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per disc법을 통하여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 mg/mL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그람 음성균 중 S. liquefaciens, S. Typhimurium 및 P. aerogenosa에 대해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그람 양성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보였다. 특히, B. subtilis, C. perfringens 및 L. monocytogens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A. niger 및 P. expansum에는 항진균 효과가 없었으나 S. cerevisae에 대해서는 4 mg/mL 농도에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지충이 에탄올 조추출물에 대한 MIC test를 실시한 결과, 그람 음성균에 대한 MIC 값은 $0.6{\sim}0.8%$로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그람 양성 균주 중 C. perfringen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0.01 및 0.1%에서 두 균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열 및 pH 안정성 실험 결과,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에서 15분간의 열처리와 pH $2{\sim}8$ 처리에도 항균활성에 변화가 없어 이들 추출물 유래의 항균물질은 열 및 pH 변화에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의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분획물을 2개 또는 3개씩 1:1(또는 1: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클로로포름 및 에탄올 분획 혼합물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탄올 분획 혼합물에서 조 추출물 이상의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microbial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was determined by paper disc assay and minimum concentration inhibitor (MIC) test. A water extract of S. thunbergii did not show the antimicrobial activity, but an ethanol extract of S. thunbergii (SHE) inhibited Serratia liquefaciens, Salmonella Typh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지충이는 우리나라 남해안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 갈조류로 구충제, 식용, 사료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산화작용(18,28) 및 항암작용(29)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 해안에서 널리 자생하고 있는 지충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균활성을 조사하여, 천연보존료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생리활성 기능은?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육상의 동식물로부터 신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한계에 이르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해양 자원의 채집 기술, 양식 기술 및 분획 기술의 발달과 관련분야의 학문이 진보함에 따라 그 동안 미개척 분야인 해양생물 자원에도 눈을 돌리게 되었다. 그 중 해조류는 오랜 기간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다 최근 고지혈증 예방(13), 항암(14), 면역조절작용(15), 항바이러스 (16), 항염증(17), 항산화(18), 항혈액응고(19), 항균작용(20)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보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생리활성물질 중 현재까지 알려진 항균물질로는 홍조류인 빨간검둥이과(Rhodomelaceae) 해조류로부터 분리, 동정된 bromophenol(21), Dictyota dichotoma로부터 분리된 diterpene류인 dolabellane 유도체(22), Fucus versiculosus로부터 추출한 phloroglycin(23) 및 Dictyopteris zonarioides에서 추출한 hydroquinone 유도체(24) 등이 있다.
합성보존료를 지속적으로 섭취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한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러한 식품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 각종 합성 보존제나 일부 천연물질로부터 항균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benzoic acid, sorbic acid 및 염소제 등 다양한 형태의 상업적 제품이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다(2). 현재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는 총 14종의 화학합성품이 보존료로 허가되어 그 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데(3), 이들 보존료를 허용량 이하로 섭취할 경우의 안전성은 입증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섭취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한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시에는 체내 축적으로 인한 만성독성,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4). 또한 근래 소비자들의 건강욕구 증대에 따라 안전성에 대한 재고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어 합성보존료를 사용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피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에 따라 독성이 아주 낮거나 거의 없는 항미생물제 또는 식품 보존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식중독 발생을 일으키는 균주는?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고(2005)에 따르면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은 2000년 104건 7,269명, 2001년 93건 6,406명, 2002년 78건 2,980명, 2003년 135건 7,909명, 2004년 165건 10,388명으로 2002년에 잠시 주춤하였으나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균주별로는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1). 이러한 식품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장기간 저장하기 위해 각종 합성 보존제나 일부 천연물질로부터 항균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benzoic acid, sorbic acid 및 염소제 등 다양한 형태의 상업적 제품이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Statistics of outbreak of food poisoni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Cherry JP. 1999. Improving the safety of fresh produce with antimicrobials. Food Technol 53: 54-59 

  3. Chang DS, Shin DH, Chung DH, Kim CM, Lee IS. 2002. Food hygiene. Jungmoongak, Seoul. p 244-246 

  4. Ferrand C, Marc F, Fritsch P. 2000. Chemical and toxicological studies of products resulting from sorbic acid and methylamine interaction in food conditions. Amino Acids 18: 251-263 

  5. Buchanan RL, Shepherd AJ. 1981. Inhibi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by thymol. J Food Sci 46: 976-977 

  6. Yin MC, Cheng WS. 1998. Inhibition of Aspergillus niger and Aspergillus flavus by some herbs and spices. J Food Prot 61: 123-125 

  7. Montes-Belmont R, Carvajal M. 1998. Control of Aspergillus flavus in maize with plant essential oil and their components. J Food Prot 61: 616-619 

  8. Ouattara B, Simard RE, Holley RA, Piette GJP, Begin A. 1997.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ected fatty acids and essential oil against six meat spoilage organisms. Int J Food Microbiol 37: 155-162 

  9. Hwang JS, Han YS.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ND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59-1065 

  10. Choi HY, Han YS.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sam (Salivia miltiorrhiza Bun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2-28 

  11. Sim CJ, Lee GH, Jung JH, Yi SD, Kim YH, Oh M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linensis. Kor J Food Preserv 11: 63-70 

  12. Park UY, Kim SH, Kim JH, Kim YG, Chang DS. 1995.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or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J Fd Hyg Safety 10: 225-230 

  13. Awad NE, Selim MA, Saleh MM, Matloub AA. 2003. Seasonal variation of the lipoidal matters and hypolipidaemic activity of the red alga Corallina officinalis L. Phytother Res 17: 19-25 

  14. Ryu BH, Kim DS, Cho K, Sin DB.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agarne Sarcoma-180. Kor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15. Liu JN, Yoshida Y, Wang MQ, Okai Y, Yamachita UB. 1997. B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Int J Immunopharmac 19: 135-142 

  16. Iwashima M, Mori J, Ting X, Matsunaga T, Hayashi K, Shinoda D, Saito H, Sankawa U, Hayashi T. 2005.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of plastoquinone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micracanthum, and a new chromene derivative converted from the plastoquinones. Biol Pharm Bull 28: 374-377 

  17. Kim JY, Kim KH, Suh HS, Choi WC. 1997.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ew chemical compounds, HS-1580 series (HS-1580, HS-1581, HS-1582). J Life Sci 16: 1181-1187 

  18. Yang F, Wang Lin, Hu Qiuhui. 2005. Preparation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Sargassum thunbergii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26: 224-227 

  19. Lee HJ, Kim JH, Lee CH, Kim JS, Kwak ST, Lee KB, Song KS, Choi BW, Lee BH. 1999. Inhibitory activities of sea weeds on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coagulation. Kor J Pharmacogn 30: 231-237 

  20. Kuda T, Kunii T, Goto H, Suzuki T, Yano T. 2007. Varieties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cklonia kurome products harvested and processed in the Noto Peninsula, Japan. Food Chem 103: 900-905 

  21. Choi JS, Park HJ, Jung HA, Chung HY, Jung JH, Choi WC. 2000. A cyclohexanonyl bromophenol from the red alga Symphyocladia latiuscula. J Nat Prod 63: 1705-1706 

  22. Amico G, Oriente G, Piatelli M, Tringali C, Fattorusso E, Mango S, Mayol L. 1980. Diterpenes based on the dolabellane skeleton from Dictyota dichotoma. Tetrahedron 36: 1409-1414 

  23. Glombitza KW, Rosener HU, Vilter H, Rauwald W. 1973. Antibiotics from algae. 8. Phloroglucinol from Phaeophyceae. Planta Med 24: 301-303 

  24. Fenical W, Sims JJ. 1973. Zonarol and isozonarol, fungitoxic hydroguinones from the brown seaweed Dictyopteris zonarioides. J Org Chem 38: 2383-2386 

  25. Lim CW, Lee JS, Cho YJ. 2000. Structure and some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red alga, Symphyosladia latiscula. J Korean Fish Soc 33: 280-287 

  26. Kim SH, Lim SB, Ko YH, Oh MC, Park CS. 1994.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by solvents and their antimicrobial effects. Bull Korean Fish Soc 27: 462-468 

  27. Kim JH, Lee DS, Lim CW, Park HY, Park JH.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Fish Soc 35: 191-195 

  28. Seo Y, Lee HJ, Park KE, Kim YA, Ahn JW, Yoo JS, Lee BJ. 2004. Peroxynitrite-scavenging constituent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thunbergii. Biosci Biotech Eng 9: 212-216 

  29. Zhuang C, Itoh H, Mizuno T. 1995. Antitumor active fucoidan from the brown seaweed, umitoranoo (Sargassum thunbergii). Biosci Biotech Biochem 59: 563-567 

  30. Kang SY, Oh MJ, Shin JA.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marine algae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18: 147-156 

  31. Lee JH, Lee KH, Yoo HI, Zhou XL, Kim YS, Han GC, Nam KW.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Neorhodomela aculeata extracts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J Kor Fish Soc 39: 292-296 

  32. Val AG, Platas G, Basilio A, Cabello A, Gorrochategui J, Suay I, Vicente F, Portillo M, Rio MJ, Reina GG, Pelaez F. 2001.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in red, green and brown macroalgae from Gran Canaria (Canary islands, Spain). Int Microbiol 4: 35-40 

  33. Murakami M, Makabe K, Okada S, Yamaguchi K, Konosu S. 1988.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ity compounds in microalgae. Nippon Suisan Cakki Shi 54: 1035-1039 

  34. Nadal NGM, Casillias CM, Rodriguez LV, Rodriguez JR, Vera LT. 1966. Antibiotic properties of marine algae-III. Cymopolia barbara. Bot Marina 9: 121-126 

  35. Kubo I, Himejima M, Tsujimoto K, Muroi H, Ichikawa N. 1992. Antibacterial activity of crinitol and its potentiation. J Nat Prod 55: 780-785 

  36. EI-Shenawy MA, Marth EH. 1989. Behavior of Listeria monosytogenes in the presence of sodium propionate. J Food Microbiol 8: 85-92 

  37. Park CS, Cha MS. 2000.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on to th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Nutr 13: 36-44 

  38. Morales JL, Cantillo-Ciau ZO, Sanchez-Molina I, Mena-Rejon GJ. 2006. Screening of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six marine macroalgae from coasts of Yucatan Peninsula. Pharm Biol 44: 632-635 

  39. Magallanes C, Cordoba C, Orozco R.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arine algae from central coast of Peru. Rev Peru Biol 10: 125-132 

  40. Nakamura S, Kato AM, Kobayashi K. 1991. New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ysozyme-dextran conjugate. J Agric Food Chem 39: 647-650 

  41. Kim JH, Lee DS, Lim CW, Park HY, Park JH.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Fish Soc 35: 191-195 

  42. Yoon JW, Yoo MY, Choi JH, Lee MK, Oh DH.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ed and sub-fractionated materials from different parts of Quercus aliena Blu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10-914 

  43. Kong MY, Kang TS, Lee MK,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15-420 

  44. Seo YW, Park KE, Nam TJ. 2007. Isolation of a new chromene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thunbergii. Bull Korean Chem Soc 28: 1831-1833 

  45. Kim YH, Kim EH, Lee CH, Kim MH, Rho JR. 2007. Two new monogalactosyl diacylglycerols from brown alga Sargassum thunbergii. Lipids 42: 395-399 

  46. Chimenti F, Bizzarri B, Bolasco A, Secci D, Chimenti P, Carradori S, Granese A, Rivanera D, Lilli D, Zicari A, Scaltrito MM, Sisto F. 2007. A novel class of selective anti-Helicobacter pylori agents 2-one-2H-chromene-3-carboxamide derivatives. Bioorg Med Chem Lett 17: 3065-30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