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외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8 no.4, 2009년, pp.442 - 447  

김혜숙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홍미정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강인영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정지윤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김혜경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신용습 (경북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전하준 (대구대학교 원예학과) ,  서전규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강영화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외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외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mg/mL 농도에서 껍질 부위가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생체 중 100g 당 각각 134.5mg, 159.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은 태좌, 과육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는 다르게 태좌 부위에서 40.7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참외껍질 부위에서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외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페놀성물질일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껍질 부위의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oriental melon were obtained and antioxidant property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including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total vitamin C were examin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and ABTS method. Peel part of oriental melon showed the m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참외는 장구한 재배역사에도 불구하고 참외의 기능성 성분이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외의 생리활성을 탐색함으로써 참외의 건강 기능성을 발굴하고자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법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고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페놀,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외란? 참외는 박과류(Cucurbit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인 멜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전부터 참외가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며, 각 지방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품종의 재래종 참외가 재배되었다(Shin 등, 2008).
합성 항산화제를 다량 섭취 시 어떻게 되는가?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그 효과는 우수하나 다량 섭취시 간, 신장,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과 발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Branen, 1975).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된 생체 내 DNA의 산화적 손상은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Chiu 등, 2008).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참외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외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mg/mL 농도에서 껍질 부위가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생체 중 100g 당 각각 134.5mg, 159.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은 태좌, 과육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는 다르게 태좌 부위에서 40.7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M.S., M.S. Seo, and H.J. Kim.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trus unshju peel extracts. Kor. J. Food Culture. 22(4):454-461 

  2. Ames, B.N., M.K. Shigenaga, and T.M. Hagen.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7915-7922 

  3. Block, G., B. Patterson, and A. Subar. 1992. Fruit, vegetables, and cancer prevention: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 Cancer. 18:1-29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2 

  5.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2):59-63 

  6. Chiu, J.F., A.T Lau, and Y. Wang. 2008. Reactive oxygen species: current knowledge and applications in cancer research and therapeutic. J. Cell Biochem. 104(2):657-667 

  7. Cho, S.Y., Y.B. Han, and K.H. Shin.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133-137 

  8. Choi, S.Y., S.H. Lim, J.S. Kim, T.Y. Ha, S.R. Kim, K.S. Kang, and I.K. Hwang.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7(4):549-556 

  9. Chun, H., Y.H. Choi, Y.C. Um, Y. Paek, I.H. Yu, H.Y. You, T.S. Hyun, M.Y. Yon, and Y.S. Shin. 2008. Folate Content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cultivated in greenhouse covered with different films and varieties. J. Bio-Env. Con. 17(1):32-37 

  10. Hazra, B., S. Biswas, and N. Mandal. 2008.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ondias pinnata. BMC Complement Altern. Med. 8:63 

  11. Hwang, B.H., J.H. Cho, S.S. Ham, and H.Y. Kang. 2000.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6-9 

  12. Hwang, T.Y., Y.J. Park, and K.D. Moon. 2005. Effects of ozone-water washing on the quality of melon. Kor. J. Food Preserv. 12(3):252-256 

  13. Jansen, M.C., M. Klerk, F.J. Kok, and P.V. Veer. 2000.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prevention of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ublic Health Nutr. 3(1):103-107 

  14. Jeffrey, A.M. and G.M. Williams. 2000. Oxidative DNA damage: Endogenous and chemically induced. Regul. Toxicol. Pharmacol. 32(3):283-292 

  15. Kang, H.M., I.L. Choi, and I.S. Kim. 2008. Effect of cultural regions or methods on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qaprika fruits. J. Bio-Env. Con. 17(4):325-329 

  16. Kim, B.S., M.J. Kim, and J.H. Choi. 2003. Effects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peaches (Mibaek). Kor. J. Food Sci. Technol. 35(6):1233-1236 

  17. LI, H.B. and C. Feng. 200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water-soluble vitamins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 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J. Sep. Sci. 24(4):271-274 

  18. Maria, A. Anagnostopoulou, P. Kefalas, P. Vassilios, Papageorgiou, N. Andreana, Assimopoulou, and D. Boskou. 2006.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and fractions of sweet orange peel (Citrus sinensis). Food Chem. 94(1):19-25 

  19.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public of Korea 

  20. Okawa, M., J. Kinjo, T. Nohara, and M. Ono. 200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obtained from some medicinal plants. Biol. Pharm. Bull. 24(10): 1202-1205 

  21. Padayatty, S.J., A. Katz, Y. Wang, P. Eck, O. Kwon, J.H. Lee, S. Chen, C. Corpe, A. Dutta, S.K. Dutta, and M. Levine. 2003. Vitamin C as an antioxidant: Evaluation of its role in disease prevention. J. Am. College Nutr. 22(1):18-35 

  22. Park, S.D., Y.S. Shin, S.G. Bae, Y.J. Seo, I.K. Yeon, and H.W. Do. 2004. Colletion of cultivation of oriental melon. Jae-Tak Youn. Seong 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Korea, pp. 7-13 

  23. Park, Y.K., S.H. Choi, S.H. Kim, J.G. Han, and H.G. Chung. 2007.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 J. Plant Res. 20(5):461-465 

  24.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5. She, G.M., Y.J. Zhang, and C.R. Yang. 2009. Phenolic constituents from Balanophora laxiflora with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Chem. Biodivers. 6(6):875-880 

  26. Shin, Y.S., J.E. Lee, I.K. Yeon, H.W. Do, J.D. Cheung, C.K. Kang, S.Y. Choi, S.J. Youn, J.G. Cho, and D.J. Kwoen.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J. Kor. Soc. Appl. Biol. Chem. 51(3):194-199 

  27. Youn, A.R., K.H. Kwon, B.S. Kim, S.H. Kim, B.S. Noh, and H.S. Cha. 2009. Changes in quality of muskmelon (Cucumis melo L.)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 J. Food Sci. Technol. 41(3):251-257 

  28. Zhishen, J.,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4):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