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8 no.4, 2009년, pp.448 - 453  

김혜숙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구강모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서전규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강영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 잎 부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mu}g/mL$ 농도에서는 각각 3.9, 1.5배의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사멸 활성 측정법을 통한 항암활성 평가 실험에서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인 Hepa1c1c7 세포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꼭지와 줄기 잎 부위에서 높은 암세포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인체유래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꼭지와 줄기 잎 부위 모두 인체유래 간암 세포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지만, 특히 꼭지 부위는 최고농도에서 60.3%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보다 인체유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참외의 꼭지 추출물에서 QR 유도활성과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외 비가식 부위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parts, such as peel, flesh, placenta, seed, stalk and stem leaf of oriental melon.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effects of oriental melon extract were evaluated by detoxifying enzyme, quinone reductase (QR) inductive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참외의 암예방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 서는 대표적 암 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간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참외 추출물의 암예방 및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잎 부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µg/mL 농도에서는 각각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외는 무엇인가? 참외는 박과류에 속하는 식물로 원래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참외가 진해, 거담작용을 하고 풍담, 황달, 수종, 이뇨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Park 등, 2004). 참외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Shin 등 (2008a, 2008b)이 참외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저해활성 등에 대해 보고하였다.
참외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참외는 박과류에 속하는 식물로 원래 중앙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참외가 진해, 거담작용을 하고 풍담, 황달, 수종, 이뇨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Park 등, 2004). 참외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Shin 등 (2008a, 2008b)이 참외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저해활성 등에 대해 보고하였다. 그러나 참외의 암예방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실정이다.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잎 부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µg/mL 농도에서는 각각 3.9, 1.5배의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사멸 활성 측정법을 통한 항암활성 평가 실험에서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인 Hepa1c1c7 세포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꼭지와 줄기·잎 부위에서 높은 암세포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인체유래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꼭지와 줄기·잎 부위 모두 인체유래 간암 세포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지만, 특히 꼭지 부위는 최고농도에서 60.3%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보다 인체유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참외의 꼭지 추출물에서 QR 유도활성과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외 비가식 부위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tonio, F., B. D'abrosca, S. Pacifico, C. Mastellone, M. Scognamiglio, and P. Monaco. 2009.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antioxidant capacity of phytochemicals from kiwi fruits. J. Agric. Food Chem. 57:4148-4155 

  2. Bae, J.H., S.O. Yu, Y.M. Kim, S.U. Chon, B.W. Kim, and B.G. Heo.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tivity of cancer cell. J. Bio-Env. con. 18(1):67-73 

  3. Brenner, D.E. 2000. Multiagent chemopreventive agent combinations. J. Cell Biochem. Suppl. 34:121-124 

  4. Doll, R. 1992. The lessons of life. Cancer Research. 52:2024-2029 

  5. Drysdale, B.E., C.M. Zacharchuk, M. Okajima, and H.S. Shin. 1986. Assay of a cytocidal protein excreted by activated macrophages. Method. Enzymol. 132: 549-55 

  6. Fish, B. 1984. Clinical trials for the evaluation of cancer therapy. Cancer Res. 54: 609-615 

  7. Hamada, A. 2005.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therapy for establishing the optimal dosage by the pharmacokinetics profiles of anticancer agents. Yakugaku zasshi 125(8):631-637 

  8. Hwang, I.G., K.S. Woo, T.M. Kim, D.J. Kim, M.H. Yang, and H.S. Jeong.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8(3):342-347 

  9. Kelly, W., X. Wu, and R.H. Liu.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peels. J. Agric. Food Chem. 51(3):609-614 

  10. Kennelly, E.J., C. Gerhauser, L.L. Song, J.G. Graham, C.W.W. Beecher, J.M. Pezzuto, and A.D. Kinghorn. 1997.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by withanolides isolated from Physalis philadelphica (tomatillos). J. Agric. Food Chem. 45:3771-3777 

  11. Kim, H.Y., K.S. Woo, I.G. Hwang, Y.R. Lee, and H.S. Jeong.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2):166-170 

  12. Kim, J.S, Y.J. Nam, and T.W. Kwon. 1996.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by genistein, soybean isoflavone. Food Sci. Biotechnol. 5(1):70-75 

  13. Kim, H.J., M.H. Yu, S.O. Lee, J.H. Park, D.C. Park, and I.S. Lee. 2004. Effects of plum fruits extrac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1445-1450 

  14. Kim, Y.E., J.W. Yang, C.H. Lee, and E.K. Kwon.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5):555-560 

  15. Kinghorn, A.D., B. Cui, A. Ito, H.S. Chung, E.K. Seo, L. Long, and L.C. Chang. 2000. Fractionation of plants to discover substances to combat cancer. Biologically active natural products. Pharmaceuticals. CRC Press, Washington D.C., USA, pp. 17-24 

  16. Martin, A. and M. Clynes. 1993. Comparison of 5 microplate colorimetric assays for in vitro cytotoxicity testing and cell proliferation assays. Cytotechnology 11(1):49-58 

  17. Mehta, R.G., J. Liu, A. Constantinou, C.F. Thomas, M. Hawthorne, M. You, C. Gerhauser, J.M. Pezzuto, R.C. Moon, and R.M. Moriarty. 1995.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brassinin, a phytoalexin from cabbage. Carcinogenesis 16:399-404 

  1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public of Korea 

  19. Park, S.D., Y.S. Shin, S.G. Bae, Y.J. Seo, I.K. Yeon, and H.W. Do. 2004. Colletion of cultivation of oriental melon. Jae-Tak Youn. Seong 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Korea, pp. 7-13 

  20. Prochaska, H.J., M.J. De Long, and P. Talalay. 1985. On the mechanism of induction of cancer protective enzymes; A unifying proposal. Proc. Natl. Acad. Sci. USA 82(23):2832-2836 

  21. Prochaska, H.J. and A.B. Santamaria. 1998. Direct measureme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Anal. Biochem. 169(2):328-36 

  22. Shim, S.M., S.W. Choi, and S.J. Bae. 2001.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rveral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0(1):80-85 

  23. Shin, Y.S., J.E. Lee, I.K.Yeon, H.W. Do, J.D. Cheung, C.K. Kang, S.Y. Choi, S.J. Youn, J.G. Cho, and D.J. Kwoen.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J. Kor. Soc. Appl. Biol. Chem. 51(3):194-199 

  24. Shin, Y.S., J.E. Lee, I.K. Yeon, H.W. Do, J.D. Cheung, C.K. Kang, S.Y. Choi, S.J. Youn, J.G. Cho, and D.J. Kwoen. 2008.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extracts. J. Life Scien. 18(7): 963-967 

  25. Sporn, M.B. 1998. Carcinogenesis and cancer. Cancer Res. 51:6215-6218 

  26. Steinkellner, H., S. Rabot, C. Freywald, E. Nobis, G. Scharf, M. Chabicovsky, S. Knasmuller, and F. Kassie. 2001. Effects of cruciferous vegetables and their constituents on drug metabolizing enzymes involved in the bioactivation of DNA-reactive dietary carcinogens. Mutat. Res. 1:480-481 

  27. Talalay, P. and A.M. Benson. 1982. Elev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by anticarcinogenic antioxidants. Adv. Enzyme Reg. 20:287-300 

  28. Talalay, P., J.W. Fahey, W.D. Holtzclaw, T. Prestera, and Y. Zhang. 1995. Chemoprotection against cancer by phase 2 enzyme induction. Toxicol. Lett. 82(83): 173-179 

  29. Wefers, H., T. Komai, P. Talalay, and H. Sies. 1984. Protection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by NAD(P)H: quinone reductase induced by the dietary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Decreased hepatic low-level chemiluminescence during quinone redox cycling. FEBS Lett. 169(1):63-66 

  30. Yu, M.H., H.J. Lee, H.G. Im, S.O. Lee, and I.S. Lee. 2006.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Kor. J. Food Sci. Technol. 38(5):707-711 

  31. Zhang, Y., T.W. Kensler, C.G. Cho, G.H. Posner, and P. Talalay. 1994.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sulforaphane and structurally related synthetic norbornyl isothiocyanates. Proc. Natl. Acad. Sci. USA 91(8):3147-31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