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의 재배 및 가공단계 별 Azoxystrobin 잔류성
Residues of Azoxystrobin dur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Ginseng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4, 2009년, pp.232 - 240  

김종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김성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박홍열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지광용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이경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함헌주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  허장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해서 인삼 중 농약의 잔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의 감소계수와 가공계수를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농약은 인삼재배 중 사용등록 되어 있는 azoxystrobin으로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이천의 6년근 인삼포에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한 후 수삼을 수확하였으며,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시료는 KT&G의 협조를 받아 가공하였다. 시험결과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원주, 이천 수삼에서 각각 0.05, $0.03\;mg\;kg^{-1}$, 건삼에서 0.12, $0.14\;mg\;kg^{-1}$, 홍삼에서 모두 $0.05\;mg\;kg^{-1}$, 인삼 알코올 농축액 0.28, $0.33\;mg\;kg^{-1}$, 인삼 물 농축액에서 0.22, $0.16\;mg\;kg^{-1}$,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0.31, $0.20\;mg\;kg^{-1}$, 홍삼 물농축액에서 0.09, $0.11\;mg\;kg^{-1}$으로 모두 MRL수준 이하였다. Azoxystrobin의 가공계수는 건삼 3.25, 홍삼 1.34, 인삼 알코올 농축액 7.84, 인삼 물 농축액 4.63, 홍삼 알코올 농축액 6.15, 홍삼 물 농축액 2.56으로 산출되었으며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농축에 의해 농약 잔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소계수는 건삼 1.19, 홍삼 0.51, 인삼 알코올 농축액 3.41, 인삼 물 농축액 1.91, 홍삼 알코올 농축액 2.74, 홍삼 물 농축액 1.00으로 약제가 초기 잔류량과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for ginseng and its commodities during ginseng processing to obtain inform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ginseng. For this study, azoxystrobin was used in two field containing 6 years old ginseng plants. Ginsengs were har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이천의 6년근 인삼 포장에 azoxystrobin을 살포한 후 인삼 가공단계 별 농약의 잔류량,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인삼 중 농약 관련기준의 재·개정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이란 무엇인가? 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한방에서는그 뿌리를 인삼(Ginseng, radix)이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이, 1994).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말리지 않은 인삼인 수삼,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홍삼, 수삼을 햇볕, 열풍 또는 기타 방법으로 익히지 않고 말린 건삼(백삼), 수삼을 물에 익혀 말린 태극삼, 홍삼 및 건삼으로부터 물이나 주정 또는 물과 주정을 혼합한 용매로 추출여과하여 농축한 인삼 및 홍삼 농축액 등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 수삼 45%, 홍삼 33%, 건삼 20%, 태극삼 2%로 유통되어 가공을 통한 소비가 많은 농산물 중 하나이다(KFDA, 2006;농림수산식품부, 2009).
인삼은 연작에 의한 병충해가 많은 작물로서 방제를 위해 무엇에 의존하는가? 특히 연작 시 병해 발생율이 매우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Kang et al., 2007), 병충해 역시 발생된 후의 구제가 다른 작물에 비해 어려워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전적으로 농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신 등, 2005). 이에 국내에서는 1996년부터 인삼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2009년 현재 수삼 및 인삼 가공품에 59종의 농약에 대해서 관리하고 있으며(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미국, 유럽,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도 인삼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인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한방에서는그 뿌리를 인삼(Ginseng, radix)이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이, 1994). 인삼은 가공방법에 따라 말리지 않은 인삼인 수삼,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홍삼, 수삼을 햇볕, 열풍 또는 기타 방법으로 익히지 않고 말린 건삼(백삼), 수삼을 물에 익혀 말린 태극삼, 홍삼 및 건삼으로부터 물이나 주정 또는 물과 주정을 혼합한 용매로 추출여과하여 농축한 인삼 및 홍삼 농축액 등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 수삼 45%, 홍삼 33%, 건삼 20%, 태극삼 2%로 유통되어 가공을 통한 소비가 많은 농산물 중 하나이다(KFDA, 2006;농림수산식품부,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ang, S.W., B.Y. Yeon, G.S. Hyeon, Y.S. Bae, S.W. Lee and N.S. Seong (2007)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injury ratio by progress years of post-harvest in continuous cropping soils of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3):157-161 

  2. KFDA (2006)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FDA. Seoul, Korea. p.45-55 

  3. 김장억, 김태화, 김영환, 이주희 김진수, 백승경, 최수연, 윤영남, 유용만 (2008)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된 살균제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및 Difenoconazole의 인삼 중 잔류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6(6):390-396 

  4. 농림수산식품부 (2009) 2008 인삼통계자료집. p.2-45 

  5. 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2008 농림수산삭품 수출동향. p.3 

  6. 식품의약품안전청 (2004) 식품의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 및 관리 개선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8(1):632-637 

  7.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p.2-120 

  8. 신영민, 손영욱, 이선화, 정지윤, 원영준, 이창희, 김우성, 채갑용, 홍무기 (2005) 인삼농축액의 잔류농약 제거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약과학회지 9(1):41-50 

  9. 이재열 (1994) 인삼과 건강. 한림출판사. p.104 

  10.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최동미, 장문익, 정지윤, 이경진, 윤원감, 홍무기, 우건조 (2006) 인삼 가공 중 잔류농약의 감소계수연구(I). 한국농약과학회지 10(1):22-27 

  11.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이경진, 장문익, 윤원갑, 최우종, 유광수, 홍무기 (2007) 홍삼 가공중 azoxystrobin, fenhexamid 및 cyprodinil 농약의 감소율. 한국식품과학회지 39(5):575-579 

  12. 장은경 (2006) 인삼 가공 중 농약 감소율 산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p.40-43 

  13. 한국작물보호협회 (2008) 농약안전사용지침서. p.150-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