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삼 중 azoxystrobin과 difenocoanzole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 3년근 수삼에 시험농약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2년간 살포한 후 잔류량을 분석하였으며, 시험농약의 정량한계는 0.003 mg/kg이었다. 회수율이 87.58-112.79%임을 감안할 때 수삼 중 잔류농약 분석법은 적합하였다. 3년근 및 4년근 수삼 중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각각 0.004-0.011 mg/kg과 0.007-0.016 mg/kg이었으며, difenoconazole은 3년근과 4년근 수삼에 0.003-0.007 mg/kg과 0.007-0.01 mg/kg 잔류하여 누적잔류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fresh ginseng. Test pesticides were sprayed onto ginseng both in 2009 for 3-year-old ginseng and in 2010 for 4-year-old ginseng according to their pre-harvest intervals (PHIs). Limit of quantit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인삼류의 소비형태를 보면 수삼 45%, 홍삼류 33%, 백삼류 20%로 국내 생산되는 인삼 중 수삼이 가장 많이 소비 되고 있다(MIFAFF, 2010). 따라서 이 연구는 농약의 살포 횟수와 수확전 살포일 등을 달리하여 살포한 후 수삼 중 잔류 특성 및 누적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zoxystrobin과 difenoconazole이란? 시험농약인 azoxystrobin과 difenoconazole은 인삼에 등록 되어 점무늬병 방제에 널리 사용되는 살균제이며, 침투이행성인 농약이기 때문에 작물에 잔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농약이다. 또한 인삼류의 소비형태를 보면 수삼 45%, 홍삼류 33%, 백삼류 20%로 국내 생산되는 인삼 중 수삼이 가장 많이 소비 되고 있다(MIFAFF, 2010).
수삼의 azoxystrobin과 difenocoanzole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3년근 및 4년근에 대한 실험의 결과는? 79%임을 감안할 때 수삼 중 잔류농약 분석법은 적합하였다. 3년근 및 4년근 수삼 중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각각 0.004-0.011 mg/kg과 0.007-0.016 mg/kg이었으며, difenoconazole은 3년근과 4년근 수삼에 0.003-0.007 mg/kg과 0.007-0.01 mg/kg 잔류하여 누적잔류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인삼이 3년에서 5년간 한 곳에서 재배되는 특성 떄문에 어떤 병해충으로부터 취약한가? 인삼은 3년에서 5년간 한 곳에서 재배되어 점무늬병, 뿌리 썩음병 및 잿빛곰팡이병 등의 병해충으로부터 취약하기 때문에 방제가 중요하여 일부 관행재배농가에서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농약을 매년 살포하기 때문에 농약이 누적되어 부적합으로 판정받는 경우가 있다(Hwang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erjee K., D. P. Oulkar, S. H. Patil, S. Dasgupta, P. G. Adsule (2008) Degradation kinetics and safety evaluation of Tetraconazole and Difenoconazole residues in Grape, Pest Management Science 64(3):283-289. 

  2. Bursic V., S. Lazic, V. Stojsin, F. Bagi, F. Balaz (2007) Determination of Azoxystrobin residues in Cucumber, 8th Slovenian Conference on Plant Projection pp. 257-260. 

  3. Elkins E. R. (1989) Effect of commercial processing on pesticide residue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J. Assoc. off. Anal. Chem. 72(3):533-535. 

  4. Kang H. S., O. S. Kim, S. Kim (2008) Survey on pesticide use by ginseng growers and monite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fresh Ginseng at Gangwon Farmland, Korean J. Weed Sci. 28(1):50-51. 

  5. Kim J. E., T. H Kim, Y. H. Kim, J. H. Lee, J. S. Kim, S. K. Paek, S. Y. Choi, Y. N. Youn, Y. M. Yu (2008) Residue of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6):390-396. 

  6. Kim J. G. (2009) Residual Study of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dur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Ginseng, Master thesi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7.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09) Pesticide Use Guideline. p. 83. 

  8.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1) Pesticide Use Guideline. p. 93. 

  9. Hwang J. I., Y. H. Jeon, H. Y. Kim, J. H. Kim, J. W. Ahn, K. S. Kim, Y. M. Yu, J. E. Kim (2011) Residue of fungicide boscalid in Ginseng treated different spraying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5(4):366-373.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0) 2009 Statistics of Ginseng p. 17. 

  11.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NAQS) (2010) 2009 Annual Report fo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pp. 28-40. 

  12. Noh H. Y., K. H. Lee, J. Y. Lee, E. Y. Lee, Y. S. Park, H. K. Park, J. H. Oh, M. H. Im, Y. J. Lee, I. H. B, K. S. Kyung (2012)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factors of Difenoconazole in fresh Ginseng and processed Ginseng products. not,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1):35-42. 

  13. Park J. D (1996)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4):389-415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Pesticide Act, Instruction and Directory. 

  15. Song B. H. (1996) Safe Use of Pesticide and Residue Problems in Food, Life and Pesticide pp. 28-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