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목 벌채 톱밥에 포함된 소나무재선충의 뿌리 감염 불가능성
Improbability of Root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in Sawdust Discharged from Chain Saw Lumbering of Infected Tre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6 no.3, 2010년, pp.299 - 305  

이승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박주용 (국립식물검역원 중부지소) ,  이총규 (국립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황진현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문일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전향미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허혜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계톱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를 통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멸균수와 세 가지 토양습도(15%, 22.5%, 30%, v/v)로 조절된 포트 토양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생존가능기간, 뿌리의 상처 유무를 정밀하게 조절한 곰솔 묘목에 대한 접종실험,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에 최적인 토양 습도 및 온도 조건에서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톱밥을 이용한 야외실연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토양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생존가능기간은 약 3일 정도이었으며, 충분한 토양습도 조건에서도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경우에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고,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벌채톱밥을 이용한 실연시험에서도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방제현장에서 기계톱에 의한 감염목 벌채 시 배출되는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다른 나무로의 이동하여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he sawdust discharged from infected trees cause pine wood disease or not. For this, survival time of PWN in soil was examined in which soil moisture was controlled as 15%, 22.5%, and 30% in volum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야외 실연시험. 본 실연시험은 벌채톱밥에 의한 뿌리 감염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인 경남 진주시 남부산림연구소 월아시험림에서 수행되었다. 실연시험에 사용된 나무는 북향의 동일사면에 위치하는 60본(3처리 × 20나무)으로 흉고직경은 평균 19.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이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실내에서 습도가 조절된 포트 토양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생존가능기간, 뿌리의 상처 유무가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절된 접종환경에서의 곰솔 묘목에 대한 접종실험,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에 최적인 토양 습도 및 온도 조건에서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톱밥을 이용한 야외실연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 야외 실연시험. 위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기초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벌채현장에서 고사목 벌채시 소나무재선충을 포함한 상태로 배출되는 톱밥에 의하여 뿌리감염이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방제현장에서의 실연적 검토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실연 시험이 수행된 2007년 여름은 강우가 많아 처리 전 이틀 동안 61.
  • 이 연구는 기계톱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를 통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멸균 수와 세 가지 토양습도(15%, 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재선충병은 언제, 어디서 처음 발견되었는가? 1988년 부산시 금정산에서 처음 발견된 소나무재선충병(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2005년의 발생면적 7,811 ha, 제거본수 862,542본을 기점으로 피해가 점차 감소추세에 있다(산림청, 2009a, 2009b; Shin, 2008). 그러나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제주도 등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등 아직도 우리나라 소나무림을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병해로 남아 있다(산림청 2009; Shin, 2008).
소나무재선충병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가? 1988년 부산시 금정산에서 처음 발견된 소나무재선충병(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2005년의 발생면적 7,811 ha, 제거본수 862,542본을 기점으로 피해가 점차 감소추세에 있다(산림청, 2009a, 2009b; Shin, 2008). 그러나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제주도 등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등 아직도 우리나라 소나무림을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병해로 남아 있다(산림청 2009; Shin, 2008).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으로 살선충제인 아바멕틴 유제 1.8%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유제 2.5%의 나무주사, 티아클로프리드 1,000배액의 항공살포, 소구역 모두베기, 감염목 소각 등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감염목을 벌채하고 Metam-sodium(25%)으로 훈증하는 방법이 방제현장에서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산림청, 2009).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현장의 담당자들 중에는 감염 목을 벌채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피해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기계톱을 이용하여 고사목을 베어낼 때 배출되는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토양으로 이동 후 뿌리를 통하여 주변 나무로 감염되고 이것이 소나무재선충병이 계속 확산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라는 의심을 갖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grios, G. M. 2005. Plant Pathology, 5th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922 pp. 

  2. Aikawa, T. 2008. Transmission biology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relation to its vector. In: Pine wilt disease. ed. by B. G. Zhao, K.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pp. 123-138. Springer, Tokyo, Japan. 

  3. Burgermeister, W., Metge, K., Brasch, H. and Buchbach, E. 2005. ITS-RFLP pattern for differentiation of 26 Bursaphelenchus. species (Nematoda: Parasitaphelenchidae) and observation on their distribution. Russian J. Nematology 13: 29-42. 

  4. Yang, B. 1991. Study on the spreading of pine wood nematode through pine wood chips. Forest Research. 4: 392-394. 

  5. Kitohara, T. and Tokushige, Y. 1971. Incubation experiments of a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p., onto pine trees. J. Jpn. For. 53: 210-218. 

  6. Mamiya, Y. and Shoji, T. 1989. Capability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to inhabit soil and to cause wilt of pine seedlings. Jpn. J. Nematology 18: 1-5. 

  7. 산림청. 2009a. 임업통계연보 제 39호. 산림청. 495 pp. 

  8. 산림청. 2009b. 2010년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계획. 산림청. 255 pp. 

  9. Shin, S. C. 2008. Pine wilt disease in Korea. In: Pine wilt disease. ed. by B. G. Zhao, K.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pp. 26-32. Springer, Tokyo, Japan. 

  10. 신상철 등. 2007. 소나무재선충병의 생태와 방제(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 속보 '07-22). 32 p. 웃고문화사, 서울, 한국. 

  11. Sinclair, W. A. and Lyon, H. A. 2005. Disease of trees and shrubs, 2nd ed.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and London. 660 p. 

  12. Tamura, H. 1983a. Pathogenicity of aseptic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associated bacteria to pine seedlings. Jpn. J. Nematology 13: 1-5. 

  13. Tamura, H. 1983b. Transmission of pine wilt disease through grafted root of pine seedlings. Trans. 27th Ann. Meet. Jpn. Soc. Appl. Ent. Zool. p. 163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