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조직 성과관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f Nursing Department in a Hospital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1, 2009년, pp.106 - 115  

강경화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한용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score of nursing organizational level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s (PMIs) in the nursing department in a hospital. Methods: The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ages. Stage I: The strategies based on 4 perspectives of Bal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가 인지하는 성과관리지표의 조직수준별 기여도를 파악한다.
  •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들과 비교 검토해야하나 대부분의 연구가 성과관리지표를 선정하는 단계까지만 진행하여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성과관리지표에 대한 기여도 파악은 간호사들이 부여한 기여도 점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병원의 간호사들은 18개 성과관리지표 중 13개의 지표에서 간호부서의 기여정도가 가장 높으며 간호단위, 간호사(개인) 순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고객관점의 장비사용율과 병상이용율의 경우는 앞의 대부분의 지표와 마찬가지로 간호부서의 기여정도가 가장 높지만 그 다음으로 기여하는 정도가 간호단위보다 간호사가 기여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조직의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해 성과관리지표의 선정과 함께 중요한 것은 성과관리지표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조직의 성과관리 뿐만 아니라 이를 근거로 부서별, 개인별 성과에 따른 보상에도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김희경과 성은숙, 2001; Rampersad,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과관리지표의 책임소재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방법론 상 보완되어야할 부분이 있으며 기초적인 접근을 하였으나 이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를 이용하여 병원 간호조직 성과관리 지표를 도출하고 각 성과관리지표별로 조직수준별 기여도 또는 책임정도를 파악하여 병원의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조직의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해 균형성과표의 기본 틀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부서의 성과관리지표를 개발하고 성과관리지표의 조직수준별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3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 병원 간호조직의 전략적 목표 확인하였고 2단계에서 병원간호조직의 성과관리지표 도출하였으며 3단계에서 간호사가 인지하는 성과관리지표의 조직수준별 기여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조직의 조직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성과관리지표를 도출하고 성과관리지표에 대해 조직의 수준별로 성과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일 종합전문병원을 대상으로 병원 간호조직 성과관리를 위해 균형성과표에 기초한 성과관리지표를 개발하고 각 성과관리지표의 조직수준별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다음 3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과관리 도구로써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균형성과표의 기본 틀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조직의 성과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균형성과표를 처음 세상에 소개한 Norton and Kaplan(1992)의 성과관리지표개발 과정을 따랐는데 크게 3단계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병원경영의 최대 화두는 무엇인가? 최근 병원경영의 최대 화두는 전략적 성과관리이다. 전략적 성과관리(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란 조직의 바람직한 미래상인 비전에 도달하기 위해 조직의 전략 목표와 하부 조직의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조직 및 구성원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지원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이기형, 2004).
전략적 성과관리란? 최근 병원경영의 최대 화두는 전략적 성과관리이다. 전략적 성과관리(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란 조직의 바람직한 미래상인 비전에 도달하기 위해 조직의 전략 목표와 하부 조직의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조직 및 구성원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지원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이기형, 2004).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느 조직이든 조직과 구성원에 대해서 능력, 업무 또는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경화 (2003).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병원 간호단위 성과평가표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희경, 성은숙 (2001). BSC 실천매뉴얼, 서울 : 시스마인사이트. 

  3. 김인숙, 이명하, 하나선, 장금성, 홍윤미, 이태화, 강선주 (2003). 최신간호관리학. 개정판, 서울 : 현문사. 

  4. 김인숙, 이해종, 강경화, 장수정 (2005). 병원 간호조직의 성과 평가지표에 관한 조사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1(4). 385-399. 

  5. 류지인 (2001). 균형성과표(BSC)를 이용한 수술실 간호부서의 성과관리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신혜 (2004). 조혈모세포이식 간호단위의 성과측정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주희 (2007). 핵심경영전략-전략체계도(BSC) 중심-, 서울 : 대학서림. 

  8. 이기형 (2004). 전략적 성과관리제도에 관한 연구-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병숙 (1995). 복부수술환자간호의 질평가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희원, 유승흠, 이해종, 박창일 (1999). S병원성과관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5(1), 1-23. 

  11. 최승준, 이수일, 백윤정, 정은미, 정진철 (2005). 인적자원관리론. 서울 : 학술정보. 

  12. 최윤정, 임지영, 이영휘, 김화순 (2008).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중환자실 간호부서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5), 656-666. 

  13. 홍윤미, 황경자, 김미자, 박창기 (2008). 대학병원 간호조직 균형성과지표의 적합성 검증. 대한간호학회지, 38(1), 45-54. 

  14. Drucker, P., et al. 저/현대경제연구원 (1999). 성과측정, 서울 : 21세기북스. 

  15. Kaplan, S., & Norton, P. 저/송경근과 성시중 옮김 (1998). 가치실현을 위한 통합경영지표 BSC: Balanced Score Card. 서울 : 한언. 

  16. Niven, P. (2002).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Maximizing performance and maintaining results.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17. Norton, P., & Kaplan, S. (1992). The balance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 71-79. 

  18. Kaplan, S., & Norton, P. (2000).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Co. 

  19. Rampersad, H. (2006). Personal balanced scorecard: The way to individual happiness, personal integ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