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스트패션(Fast Fashion)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해석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Fast Fashion Phenomen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3, 2009년, pp.27 - 41  

노주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preting the phenomenon of Fast fashion that is prevalent these day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pares the frame which suggests the vision to read the trend of 2000s and analyzes the property of phenomenon of Fast Fashion in the connection with society and culture. The so[io-cultu...

주제어

참고문헌 (55)

  1. 신지은 (2008.6.28.). 막 사입고 막 벗는다 불황 속 열풍 '패스트패션'.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08.8.18, 자료출처 http://www.chosun.com 

  2. Ruth La Ferla (2007.5.10.). faster fashion, cheaper chic, New York Times. 자료검색일 2008.8.8, 자료출처 from http://www.nytimes.com 

  3. 국경님 (2008.9.1). fast fashion에서 faster fashion으로,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08.9.5,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m 

  4. 김현진 (2004.5.13.). Issue View: 패스트패션 시대. 자료검색일 2008.9.10, 자료출처 http://www.firstviewkorea.com 

  5. 장애란 (2007). 소비자 니드를 위한 한국형 SPA의 FAST FASHION. 한국생활과학희, 16(5), pp. 997-1006 

  6. 김선희 (2007).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에 대한 고찰(제1보)(제2보). 복식문화연구, 15(5), pp. 875-901 

  7. Doeringer. Peter, & Crean, Sarah (2006). Can fast fashion save the U.S. apparel industr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3), Special Issue: Fast Fashion 

  8. Pankaj Ghemawat. & Jose Luis Nueno (2003). ZARA: Fast Fashion, Harvard Business School, from http://www.hbsp.harvard.edu 

  9. 국립국어원의 신어 자료집. 자료검색일 2008.6.10, 자료출처 http://www.korean.go.kr 

  10. 장애란 (2007). 위의 논문, p. 998 

  11. 김선희 (2007) 위의 논문, pp. 876-877 

  12. Simona Segre Reinach (2005). China and Italy: Fast Fashion versus Pret a Porter. Towards a New Culture of Fashion, Fashion Theory, 9(1), Oxford: Berg, pp. 43-56 

  13. Ritzer, George (2000). The McDonalization of Society.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김종덕 역 (2004).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시유시, pp. 37-42. 

  14. 김난도 (2007). 사치의 나라 럭셔리 코리아, 미래의 창, pp. 215-216 

  15. eugenie@yna.co.kr (2008.4.28). 불경기 맞은 미국 여성들 '패션 양극화' 연합뉴스, 자료 검색일, 2008.9.10, http://www.yonhapnews.co.kr 

  16. 김난도 (2007). 위의 책, pp. 215-216 

  17. Popcorn, Faith, & Hanft, Adam (2001). Dictionary of the future, 인트랜스번역원 역 (2006). 미래생활사전, 을유문화사, p. 255 

  18. 박동배 편저 (2005). 소비자 시장의 2010 메가트렌드-어떻게 대응 할 것인가-. 한국경제신문 한경BP 

  19. 박동배 편저 (2005). IBM 비즈니스 가치연구소 분석. 2004, 재인용, 위의 책, p. 16 

  20. Horx, Matthias (1999). Die acht Spharen der Zukunft, 백종유 역 (2002). 미래를 읽는 8가지 조건. 청림출판, p. 98 

  21. 호경업 (2008.1.25). 2008 대한민국 11대 소비 트렌드 (서울대 트렌드 분석센터공동기획).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08.8.30, http://www.chosun.com 

  22. Attali, Jacques (1998). Dictionnaire du xxle siecle, 편혜원. 정혜원 역 (1999). 21세기 사전, 중앙M&B. p. 116 

  23. 하인호 (2006). 한국인의 힘 7가지 미래창조 메가트렌드. 인간사랑, pp. 21-22 

  24. Popcorn, Faith, & Hanft, Adam (2001). 위의 책, p. 270 

  25. 김종덕 역 (2004). 위의 책, pp. 37-42 

  26. Horx. Matthias (1999). 위의 책, pp. 275-276 

  27. Naisbitt. John, & Aburdene, Patricia (1990). Mega-trends 2000, 김홍기 역 (1990). 메가트렌드2000. 한국경제신문사, pp. 135-177 

  28. Attali, Jacques (1998). 위의 책, p. 280 

  29. Naisbitt, John. & Aburdene. Patricia (1990). 위의 책, pp. 146-149 

  30. Horx, Matthias (1999). 위의 책, pp. 295-296 

  31. 이영철 엮음 (1999). 21세기 문화 미리보기. 시각과 언어, pp. 499-537 

  32. 하인호 (2006). 위의 책, pp. 68-69 

  33. about H&M, 자료검색일 2008.9.10, 자료출처 http://www.hm.com 

  34. who we are, 자료검색일 2008.9.10, 자료출처 http://www.inditex.com 

  35. H&M facts 2008, 자료검색일 2008.8.10, 자료출처 http://www.hm.com 

  36. Popcorn, Faith. & Hanft, Adam (2001). 위의 책, p. 175 

  37. 김현진 (2004.5.13) 패스트 패션 시대[Issue Review], 자료검색일 2008.10.1. 자료출처 http://www.firstviewkorea.com 

  38. press release,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hm.com 

  39. press release,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hm.com 

  40. shop by trends, 자료검색일 2008.9.20, 자료출처 http://www.forever21.com 

  41. trends, 자료검색일 2009.3.18, 자료출처 http://www.zara.com 

  42. 박동배 편저 (2005). 위의 책, pp. 71-73 

  43. English, Bonnie (2007). A Cultural history of fashion in the twentieth century-from the catwalk to the sidewalk-, Berg: Oxford, New York, pp. 93-95 

  44. collection: A costura: livro e DVD, 자료검색일 2008.8.8, 자료출처 http://www.jumnakao.com 

  45. 우주형 (2006). 21세기 패션의 휴대가능성 시스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22 

  46. Popcorn, Faith, & Hanft, Adam (2001). 위의 책, p. 451 

  47. 자료검색일 2008.3.7. 자료출처 http://en.wikipedia.org/wiki/Letizia._Princess_of_Asturias. http://www.theroyalforums.com 

  48. fashion,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hm.com 

  49. uniqlo stylebook,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uniqlo.com 

  50. strategic environment plan, zara project 2008,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inditex.com 

  51. Kim, Anderson, & Jim, Lovejoy (2006). Fast Fashion evolves: Zara becomes and industry model for redesigning the supply chain. 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AATCC review), 6(8), pp. 13-18 

  52. 회사정보,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uniqlo.com 

  53. Store Image: Shanghai, Chlna, 자료검색일 2008.9.11, 자료출처 http://www.hm.com 

  54. 고현진 (2006). 컨버전스 트렌드에 의한 패션 디자인. 복식, 56(7). pp. 148-162 

  55. 전혜정, 하지수 (2007).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메가 트렌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7(4), pp. 110-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