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신체상 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및 영양불균형 신체증상
Perceived Body Image, Intentional Caloric Restriction and Physical Manifestations of Unbalanced Nutri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5 no.4, 2009년, pp.359 - 366  

김보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분비내과학교실) ,  최지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perceived body image, intentional caloric restriction and physical manifestations of unbalanced nutrition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ata coll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시 소재 초등학교 2개교의 5∙6학년 151명을 대상으로 학령기 아동의 신체상 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및 영양불균형 신체증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체질량 지수와의 관계를 비교한 연구로 학령기 아동의 영양∙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올바른 신체상 인지로 인한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도모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체질량 지수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신체상 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및 영양불균형 신체증상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신체상 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영양불균형 신체증상 실태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신체상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및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신체증상 실태를 확인함으로서 올바른 식습관 형성으로 인한 아동의 건강 유지 중요성을 보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학령기 아동의 체질량 지수분포를 확인하고, 체질량 지수에 따른 신체상 인지, 의식적 식이제한 및 영양불균형 신체증상을 비교하는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올바른 신체상 인지 확립, 건강한 식습관 형성 및 건강 유지 증진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과잉은 어떠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가? 이러한 학령기 아동의 불균형적인 영양 상태는 다양한 질병의 신체적 증상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양과잉은 체중과다 및 비만, 소아 당뇨병과 같은 건강문제들을 유발하여(Shin, 2005; Sung, 2005)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지방간,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의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미래 성인기 건강상태를 위협한다(Speiser et al., 2005).
우리나라 아동의 영양상태의 양극화로 나타난 비만과 저체중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이는 현재 우리나라 아동의 영양상태의 양극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비만아동의 수적 증가와 더불어 저체중아동의 수적 증가가 공존하고 있는 실태를 보인다. 이러한 아동의 양극화된 체질량 지수 분포의 한 요인인 비만은 먹거리의 변화로 인한 과도한 영양섭취와 전자오락이나 TV 시청 등과 같은 비활동적인 실내 활동의 증가로 인한 활동량의 감소가 주요 원인이며(Lee & Oh, 1997), 반면 또 다른 요인이 되는 저체중은 매스미디어의 급속한 발달과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풍조의 만연으로 과체중이나 비만을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외모적 손상이나 질병으로 취급하는 부정적인 인식의 직간접적인 주입이 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Kim, 2007; Moon, 2008; Park & Oh, 2000). 이러한 양극화현상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아동의 비만과 그에 동반된 원인 및 문제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 대두된 아동의 저체중 현상 연구들은 적어 이에 따른 원인 및 문제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의식적 식이제한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아동의 신체상 인지와 의식적 식이제한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의식적 식이제한이란 대상자가 의도적으로 의식적인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여 먹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데(Kim & Kim, 1997), 여러 연구에서 많은 수의 아동들은 자신이 과체중이라는 잘못된 신체상 인지를 하고 있어 의식적으로 식이를 제한하고 있었다. 실제로 64%의 학령기 아동이 자신의 체형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의 체형을 통통한 체형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었으며(Sung, 2005), 7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I. S., Kim, M. W., Park, I. H., Ryu, H. S., & Kang, S. Y. (2009). Health promotion life profile of normal-weight and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61-70. 

  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NY: Academic Press. 

  3. Doo, M. A., & Kim, Y. H. (2007).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40, 658-666. 

  4. Healthline Networks. (2008). Malnutrition information on healthline. Retrieved April 9, 2008, from http://www.healthline.com/galecontent/malnutrition. 

  5. Hur, H. K., Park, S. M., Kim, G. Y., Kim, C. B., Ahn, J. S., Song, H. Y., et al. (2003). A cross-sectional study of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 among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Wonj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159-172. 

  6. Kang, H. W., & Lee, S. S. (2006). Obesity and weight control preva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rea.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39, 674-683. 

  7. Kim, G. N., & Kim, Y. H. (2004). Factors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 83-97. 

  8. Kim, J. S. (1997).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aged and percentage change of obesity children. Journa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8, 373-384. 

  9. Kim, M. S., & Kim, S. S. (1997). The three dimensions of eating behavior: Development of scale for assessing cognitive restraint of eating, disinhibition, and hung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377-388. 

  10. Kim, T., Park, J., Park, T., Kim, H., Park, C., Choi, M., et al. (2007). Effects of aerobic exercise combined with nutrition educ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sulin resistance markers in obese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11, 123-128. 

  11. Kim, Y. J. (2007). Weight control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hildren: A gender-based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 113-122. 

  12. Kwon, M. S., & Hwang, K. S. (2007).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for obes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68-575. 

  13. Lang, J. E., Feng, H., & Lima, J. J. (2009). Body mass index-percentile and diagnostic accuracy of childhood asthma. Journal of Asthma, 46, 291-299. 

  14. Lee, S. S., & Oh, S. H. (1997). Prevalence of obesity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 486-495. 

  1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08). Eating disorders: Symptoms. Retrieved April 9, 2008, from http:// www.mayoclinic.com/health/eating-disorders/DS00294/DSECTIONsymptoms 

  16. Meyer, T. A., & Gast, J. (2008). The effects of peer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4, 36-42. 

  17. Moon, S. H. (2008).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361-369. 

  18. NG, D. K., Chow, P., Chan, C., Kwok, K., Cheung, J. M., & Kong, F. Y. (2006). An update on childhood snoring. Acta Paediatrica, 95, 1029-1035. 

  19. Park, J. H., & Oh, K. O. (2000).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betwee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3, 1-14. 

  20. Park, M. J., & Ryu, S. H. (2001). A study on the body type and meal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14, 127-138. 

  21. Ryu, H. K. (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at Miryang cit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 197-205. 

  22. Shin, Y. H. (2005). A review of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240-245. 

  23. Speiser, P. W., Rudolf, M. C., Anhalt, H., Camacho-Hubner, C., Chiarell, F., & Eliakim, A. (2005). Consensus statement: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0, 1871-1887. 

  24. Stunkard, A., & Messick, S. (1985). The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to measure dietary restrain, disinhibition, and hung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9, 71-83. 

  25. Sung, M. H. (2005). Relationships between BMI,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and self-esteem among fifth grade and si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282-289. 

  26. Tak, Y., An, J., Kim, Y., & Woo, H. (2007).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ehavior modification combined intervention (PABMintervention)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02-913. 

  27. Yon, M. H., & Hyun, T. S. (2009).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2, 38-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