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9 no.5, 2009년, pp.233 - 239
정동원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박순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강정탁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 김준범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The electrocatalytic behavior of the PtCo catalyst supported on th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has been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Pt/C catalyst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PEMFC). A PtCo/MWNTs electrocatalyst with a Pt:Co atomic ratio of 79:21 was synthesize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내연기관에 비해 효율이 높고 배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해자동차의 동력원으로 매력적이다.1-2)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지만 양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과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Pt), 루테늄(Ru)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상용화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
탄소나노튜브가 가지는 특성은 무엇인가? | 그래서 최근에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촉매 담지체로 사용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11) CNT는 1991년 처음 보고된 이후, 특이한 형상에 따른 높은 비표면적과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전기전도성, 전계전자방출 성질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12-13) | |
연료전지는 어떠한 장치인가?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내연기관에 비해 효율이 높고 배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해자동차의 동력원으로 매력적이다.1-2)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지만 양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과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Pt), 루테늄(Ru)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상용화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3) |
F. Barbir and T. Gomez, Int. J. Hydrogen Energy, 21, 891 (1996)
D. Knights, K. M. Colbow, J. St-Pierre and D. P. Wilkinson, J. Power Sources, 127, 127 (2004)
V. Mehta and J. S. Cooper, J. Power Sources, 114, 32 (2003)
H. Tang, Z. G. Qi, M. Ramani and J. F. Elter, J. Power Sources, 158, 1306 (2006)
S. A. Grigoriev, E. K. Lyutikova, S. Martemianov, V. N. Fateev, Int. J. Hydrogen Energy, 32, 4438 (2007)
Y. Shao, G. P. Yin, Y. Z Gao and P. F. Shi, J. Electrochem. Soc. 153, A1093 (2006)
K. C. Lee, J. J. Zhang, H. J. Wang and D. P. Wilkinson, J. Appl. Electrochem., 36, 507 (2006)
M. M. Shaijumon, Ramaprabhu and N. Rajalakshmi, Appl. Phys. Lett., 88, 253105 (2006)
J. M. Tang, K. Jensen, M. Waje, W. Z. Li, P. Larsen, K. Pauley, Z. W. Chen, P. Ramesh, M. E. Itkis, Y. S. Yan and R. C. Haddon, J. Phys. Chem. C, 111, 17901 (2007)
G. W. Yang, G. Y. Gao, G. Y. Zhao and H. L. Li, Carbon, 45, 3036 (2007)
J. J. Niu and J. N. Wang, Electrochim. Acta, 53, 8058 (2008)
S. Iijima, Nature, 354, 56 (1991)
L. Li and Y. C. Xing, J. Power Sources, 178, 75 (2008)
F. A. de Bruijin, V. A. T. Dam and G. I. M. Janssen, Fuel Cells, 8, 3 (2008)
Y. S.-Horn, W. C. Sheng, S. Chen, P. J. Ferreira, E. F. Holby and D. Morgan, Top Catal., 46, 285 (2007)
L. Li and Y. C. Xing, J. Electrochem. Soc., 153, A1823 (2006)
X. Li, Principles of Fuel Cells, p.13-14, 149, Taylor & Francis, New York (2006)
Y. Wang, J. Ren, K. Deng, L. Gui and Y. Tang, Chem. Mater., 12, 1622 (2000)
Y. Mu, H. Liang, J. Hu, L. Jiang and L. Wan, J. Phys. Chem. B, 109, 22212 (2005)
Z. Liu, L. M. Gan, L. Hong, W. X. Chen and J. Y. Lee, J. Power Sources, 139, 73 (2005)
T. B. Massalski, Binary Alloy Phase Diagram, vol.1, p.791, Co-Pt Phase Diagram, American Society for Metals (1986)
E. Antolini, J. R. C. Salgado, M. J. Giz and E. R. Gonzalez, Int. J. Hydrogen Energy, 30, 1213 (2005)
R. O'Hayre, S. W. Cha, W. Colella and F. B. Prinz, Fuel Cell Fundamentals, p.212-223,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6)
A. Pozio, M. De Francesco, A. Cemmi, F. Cardellini and L. Giorgi, J. Power Sources, 105, 13 (2002)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