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나노튜브에 담지된 PtCo 촉매 제조 및 PEMFC Cathode 전극 특성
Synthesis of Carbon Nanotubes Supported PtCo Electrocatalysts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the Cathode Electrode of PEMFC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9 no.5, 2009년, pp.233 - 239  

정동원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박순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강정탁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  김준범 (울산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ocatalytic behavior of the PtCo catalyst supported on th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has been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Pt/C catalyst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PEMFC). A PtCo/MWNTs electrocatalyst with a Pt:Co atomic ratio of 79:21 was synthesi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리고 단위전지의 성능비교를 위해 수소극, 산소극 모두 20 wt.% Pt/C 촉매로 하여 위와 동일한 Pt량을 로딩한 MEA를 제조하였다.
  • MEA의 수소극 전극은 20 wt.% Pt/C(BASF) 상용화 촉매를 사용하여 산소극 측과 동일한 방법으로 PEM의 다른 쪽면에 코팅하였다. 이 때 수소극과 산소극에서 전극의 단위면적 당 Pt 로딩 량은 각각 0.
  • 단위전지를 조립할 때 제조된 MEA와 유체흐름판 사이에 20 wt.%의 테프론으로 방수 처리된 탄소섬유종이(Toray, TGP-H-090)를 GDL(Gas Diffusion layer)로 배치하여 단위전지를 구성하였다. 수소극과 산소극 측에 사용한 반응가스는 각각 수소와 공기이며 버블형 가습기를 사용하여 상대습도 100%로 맞추고 유량조절기(Kofloc, 3660)를 사용하여 수소극측은 양론비 1.
  • MEA의 오믹 접촉, 수소극, 산소극 저항은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Gamry, PC14)를 사용하여 in situ 방식으로 0.1 Hz - 10 kHz사이에서 측정하였다.
  • MWNT에 부착된 PtCo 나노입자의 크기와 분산도는 TEM(JEM-2010, JEOL)으로 확인하였으며 PtCo의 원자 조성은 EDS(Oxford Ltd.)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작한 MEA의 수소극과 산소극 전극은 FE-SEM(Jeol, JSM-6500F)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t/C와 PtCo/MWNT촉매의 전기화학적 촉매활성면적을 비교하고 촉매 표면에서 수소와 산소의 흡·탈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V(Cyclic Voltammetry, WonAtech GWPG100HP)분석을 하였다.
  • PtCo/MWNT촉매는 XRD(X-Ray Diffraction, Rigaku, RAD-3C)분석을 통하여 PtCo 나노입자의 결정구조를 분석하고 입자크기 및 격자상수를 계산하였다. XRD는 Cu Kα(λ=1.
  • PtCo/MWNT촉매를 산소극에 적용하여 제작한 MEA의 EIS를 200 mA/cm2와 400 mA/cm2의 전류밀도에서 측정하였다. Fig.
  • 여기에 1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산도를 약 pH 10으로 맞춘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교반되고 있는 에틸렌글리콜 + MWNT 용액이 110 ℃가 되면 여기에 PtCo 용액을 천천히 섞은 다음 2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교반시켜서 PtCo/MWNT 촉매를 제조하였다.
  • 22)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EIS 결과에는 촉매의 활성화 손실 외에 멤브레인의 프로톤 전달저항과 MEA의 오믹 저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차이로 촉매자체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그래서 PtCo/MWNT 촉매와 Pt/C 촉매의 전기화학적 촉매활성면적을 비교하기 위하여 CV를 측정하였다. 연료전지의 과전압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ORR에서 높은 교환전류 밀도를 가지는 촉매를 사용하고 촉매활성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활성화 과전압을 낮추는 것이다.
  • )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작한 MEA의 수소극과 산소극 전극은 FE-SEM(Jeol, JSM-6500F)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 Nafion 용액, Dupont) 용액을 넣은 다음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초음파분산처리를 10분간 실시하고 30분 이상 교반해서 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 촉매와 이오노머가 완전히 분산되도록 하였다. 이때 촉매와 Nafion은 고체 상태에서 질량비가 3:1이 되게 하였다.
  • 산한 Pt와 PtCo 합금의 격자상수는 각각 3.92 Å과 3.81 Å제조된 PtCo/MWNT 촉매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EDS와 XRD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1과 2에 나타내었다.
  • %의 테프론으로 방수 처리된 탄소섬유종이(Toray, TGP-H-090)를 GDL(Gas Diffusion layer)로 배치하여 단위전지를 구성하였다. 수소극과 산소극 측에 사용한 반응가스는 각각 수소와 공기이며 버블형 가습기를 사용하여 상대습도 100%로 맞추고 유량조절기(Kofloc, 3660)를 사용하여 수소극측은 양론비 1.5로 산소극 측은 2.0로 하여 1 atm의 압력으로 공급하였다. 전자부하장치(DC electric load)는 Prodigit 사의 3311D(60 V/60 A, 300 W)를 사용하였다.
  • 18) 또한 ORR이 연료전지의 전체반응을 지배하기 때문에 PEMFC의 촉매개발에서 산소극 전극 촉매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이 실험에서는 촉매담지체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를 사용하여 PtCo/MWNT 촉매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PEMFC 단위전지의 산소극 전극에 적용하여 연료전지 성능을 평가하였다.
  • 전극제작을 위한 촉매슬러리 제조와 스프레이 공정 전에 PEM의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EM은 Nafion 112 멤브레인(Dupont)이 사용되었다.
  • 제조된 PtCo/MWNT 촉매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EDS와 XRD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1과 2에 나타내었다. EDS 분석결과, Pt/Co가 합금을 형성하고 있었고 Pt/Co의 at.
  • 이때 촉매와 Nafion은 고체 상태에서 질량비가 3:1이 되게 하였다. 제조된 촉매 잉크는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H+ 상태로 처리된 PEM의 표면에 코팅해서 MEA의 산소극 전극을 제조하였다. MEA의 수소극 전극은 20 wt.
  •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촉매 제조를 위한 MWNT의 전처리를 위해 4 M H2SO4, 4 M HNO3에 MWNT를 넣고 1시간 초음파 분산처리를 한 후 4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로 전처리를 하였다. 전처리 후 유리섬유필터로 여과 후 증류수로 수차례 세척한 다음 60 ℃에서 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 % PtCo/MWNT 촉매를 제조하였다. 촉매특성을 분석하고 CCM방법으로 막전극접합체를 제조하여 단위전지 성능평가와 전기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 여기에 1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산도를 약 pH 10으로 맞춘 다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교반되고 있는 에틸렌글리콜 + MWNT 용액이 110 ℃가 되면 여기에 PtCo 용액을 천천히 섞은 다음 2시간 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교반시켜서 PtCo/MWNT 촉매를 제조하였다.
  • MEA의 단위전지 성능 평가를 위해 Fuel Cell Technology사의 단위전지를 사용하였다. 유체흐름판은 흑연재질의 S자형 가스흐름장이 성형되어 있으며 25 cm2의 전극 활성면적을 가지고 있다.
  • 전극제작을 위한 촉매슬러리 제조와 스프레이 공정 전에 PEM의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EM은 Nafion 112 멤브레인(Dupont)이 사용되었다. 먼저 적당한 크기의 PEM을 90 ℃정도의 5 % H2O2 용액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여 PEM 표면의 유기물,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증류수로 세척 후 1시간 동안 끓여서 잔류 H2O2를 제거하였다.
  • 0로 하여 1 atm의 압력으로 공급하였다. 전자부하장치(DC electric load)는 Prodigit 사의 3311D(60 V/60 A, 300 W)를 사용하였다. 단위전지의 성능 측정온도는 수소극/전지/산소극을 70/70/70 ℃ 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실험하였다.

이론/모형

  • MEA(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는 PEM에 촉매 슬러리 잉크를 직접 코팅하는 CCM(Catalyst Coated Membrane)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촉매 슬러리 잉크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 PtCo/MWNT 촉매의 제조는 에틸렌글리콜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자세한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18-19) Pt/Co의 원자량비가 3/1의 조성이 되고 MWNT에 대한 PtCo의 중량비가 20 wt.
  • 의 주사속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Pt(220)의 회절피크를 사용하여 PtCo 나노입자의 평균크기를 Scherrer 공식20)으로 계산하였다.
  • 81 Å이였으며, Table 1에 실었다. 한편, Pt와 PtCo 결정입자의 평균크기는 Pt(220) 회절피크 값을 이용하여 다음의 Scherrer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내연기관에 비해 효율이 높고 배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해자동차의 동력원으로 매력적이다.1-2)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지만 양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과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Pt), 루테늄(Ru)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상용화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가지는 특성은 무엇인가? 그래서 최근에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촉매 담지체로 사용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11) CNT는 1991년 처음 보고된 이후, 특이한 형상에 따른 높은 비표면적과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전기전도성, 전계전자방출 성질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12-13)
연료전지는 어떠한 장치인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내연기관에 비해 효율이 높고 배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해자동차의 동력원으로 매력적이다.1-2)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지만 양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과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Pt), 루테늄(Ru)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상용화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 Barbir and T. Gomez, Int. J. Hydrogen Energy, 21, 891 (1996) 

  2. D. Knights, K. M. Colbow, J. St-Pierre and D. P. Wilkinson, J. Power Sources, 127, 127 (2004) 

  3. V. Mehta and J. S. Cooper, J. Power Sources, 114, 32 (2003) 

  4. H. Tang, Z. G. Qi, M. Ramani and J. F. Elter, J. Power Sources, 158, 1306 (2006) 

  5. S. A. Grigoriev, E. K. Lyutikova, S. Martemianov, V. N. Fateev, Int. J. Hydrogen Energy, 32, 4438 (2007) 

  6. Y. Shao, G. P. Yin, Y. Z Gao and P. F. Shi, J. Electrochem. Soc. 153, A1093 (2006) 

  7. K. C. Lee, J. J. Zhang, H. J. Wang and D. P. Wilkinson, J. Appl. Electrochem., 36, 507 (2006) 

  8. M. M. Shaijumon, Ramaprabhu and N. Rajalakshmi, Appl. Phys. Lett., 88, 253105 (2006) 

  9. J. M. Tang, K. Jensen, M. Waje, W. Z. Li, P. Larsen, K. Pauley, Z. W. Chen, P. Ramesh, M. E. Itkis, Y. S. Yan and R. C. Haddon, J. Phys. Chem. C, 111, 17901 (2007) 

  10. G. W. Yang, G. Y. Gao, G. Y. Zhao and H. L. Li, Carbon, 45, 3036 (2007) 

  11. J. J. Niu and J. N. Wang, Electrochim. Acta, 53, 8058 (2008) 

  12. S. Iijima, Nature, 354, 56 (1991) 

  13. L. Li and Y. C. Xing, J. Power Sources, 178, 75 (2008) 

  14. F. A. de Bruijin, V. A. T. Dam and G. I. M. Janssen, Fuel Cells, 8, 3 (2008) 

  15. Y. S.-Horn, W. C. Sheng, S. Chen, P. J. Ferreira, E. F. Holby and D. Morgan, Top Catal., 46, 285 (2007) 

  16. L. Li and Y. C. Xing, J. Electrochem. Soc., 153, A1823 (2006) 

  17. X. Li, Principles of Fuel Cells, p.13-14, 149, Taylor & Francis, New York (2006) 

  18. Y. Wang, J. Ren, K. Deng, L. Gui and Y. Tang, Chem. Mater., 12, 1622 (2000) 

  19. Y. Mu, H. Liang, J. Hu, L. Jiang and L. Wan, J. Phys. Chem. B, 109, 22212 (2005) 

  20. Z. Liu, L. M. Gan, L. Hong, W. X. Chen and J. Y. Lee, J. Power Sources, 139, 73 (2005) 

  21. T. B. Massalski, Binary Alloy Phase Diagram, vol.1, p.791, Co-Pt Phase Diagram, American Society for Metals (1986) 

  22. E. Antolini, J. R. C. Salgado, M. J. Giz and E. R. Gonzalez, Int. J. Hydrogen Energy, 30, 1213 (2005) 

  23. R. O'Hayre, S. W. Cha, W. Colella and F. B. Prinz, Fuel Cell Fundamentals, p.212-223,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6) 

  24. A. Pozio, M. De Francesco, A. Cemmi, F. Cardellini and L. Giorgi, J. Power Sources, 105, 1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