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및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류는 barley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및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염과 낙엽(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그리고 수입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로 timothy, tall fescue hay, annual ryegrass, klinegrass 및 alfalfa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우, 평균체중 $25{\pm}2.1kg$) 1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은 유산양은 충남 금산군 추부면 유산양목장에서 수행하였다. CP,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및 IVDMD는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조사료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은 혼합목초(mixed grasses) 와 두과목초인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나알팔파(alfalfa) 등을 즐겨 채식하였으나, 콘포볏짚(baled rice straw)이나 호밀사일리지 (rye silage) 등은 거의 채식하지 않았다. 유산양이 즐겨 채식한 조사료원은 NDF나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IVDMD는 높은 조사료를 주로 선택하여 채식하는 습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Saanen)은 화본과 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및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류는 barley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및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염과 낙엽(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그리고 수입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로 timothy, tall fescue hay, annual ryegrass, klinegrass 및 alfalfa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우, 평균체중 $25{\pm}2.1kg$) 1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은 유산양은 충남 금산군 추부면 유산양목장에서 수행하였다. CP,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및 IVDMD는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조사료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은 혼합목초(mixed grasses) 와 두과목초인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나알팔파(alfalfa) 등을 즐겨 채식하였으나, 콘포볏짚(baled rice straw)이나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등은 거의 채식하지 않았다. 유산양이 즐겨 채식한 조사료원은 NDF나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IVDMD는 높은 조사료를 주로 선택하여 채식하는 습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Saanen)은 화본과 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4- hairy vetch, wheat 4-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browse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 (timothy hay, tai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dairy goats (Saanen)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25kg).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dairy goats farm at Geumsan-Cun in Chungnam provinc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dairy goats was observed like this: mixed grasses, white clover, alfalfa and the lower intake species order was baled rice straw and rye silages. The dairy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he goat's favorite roughage were grasses and legumes (34.6%) among the trial species. Based on the result, it is reconfirmed that the food habit of dairy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at of grat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4- hairy vetch, wheat 4-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browse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 (timothy hay, tai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dairy goats (Saanen)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25kg).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dairy goats farm at Geumsan-Cun in Chungnam provinc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dairy goats was observed like this: mixed grasses, white clover, alfalfa and the lower intake species order was baled rice straw and rye silages. The dairy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he goat's favorite roughage were grasses and legumes (34.6%) among the trial species. Based on the result, it is reconfirmed that the food habit of dairy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at of grat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한편, 유산양(Saanen)은 전보(이와 이, 2007)에서의 보고에 의하면 초류채식형 (grazers)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조사료 원을 달리한 실증시험을 통하여 이러한 습성이 재현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안 방법
browse), 벚나무 낙엽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밤나무 낙엽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및 수입 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는 티머시 건초 (timothy hay), 톨 페스큐 짚 (tall fescue straw), 일년생 라이그라스 짚 (annual ryegrass straw), 클라인그라스 건초 (klinegrass hay) 및 알팔파 건초 (alfhlfh hay)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혼합목초의 경우는 오차드그라스+톨 페스큐+켄터기 블루그라스 (kentucky 비uegrass) 등 (66%)과 화이트 클로버 (34%)가 혼생한 혼파 초지에서 오차드그라스의 출수기를 기준으로 수확한 1번초(5월 8일)를 양건 후 공시하였고, 오차드그라스와 tall fescue는 1번초를 수잉기 (5월 2일)에 각각 예취하였으며,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1번초를 개화초기 (5월 13일)에 수확하여 양건 후 공시하였다. 혼합야초는 망초 + 쑥+토끼풀+개밀+억새+ 새 등이 혼생되어있는 야산지에서 2008년 5월 26일 수확하였고, 기타 야초는 2008년 5월 29일 수확하여 양건하여 공시하였다.
Rye silage는 TMR공장 (논산)에서 2007년도에 제조한 시료를, barley silage와 baled rice straw는 논산군 연산면 소재젖소농장에서 공급받은 원료를 양건 후 이용하였다. 혼합수엽은 5월 23일 채취한 갈참(70%) + 졸참(20%) +상수리(10%)나무 잎을 건물 기준으로 혼합하여 공시하였다. 벚나무와 밤나무낙엽은 2007년 11월 24일에 수집한 것을 공시하였다.
5 kg 이 었으며 , 공시 된 유산양 10두가 채식하고도 남을 양이였다. 시료는 자유 채식 방법으로 수행하였는데, 25종 시료의 배치는 시료의 특성을 고려하고 놓는 위치에 따른 채식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화본과 및 두과 목초야초 및 잡초-사료작물 -수엽 및 낙엽-수입 건초의 순으로 1초종씩을 교대로 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5번까지 배치하였다. 유산양의 채식량 조사는 각각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및 20시에 6회 실시하였다.
시료는 자유 채식 방법으로 수행하였는데, 25종 시료의 배치는 시료의 특성을 고려하고 놓는 위치에 따른 채식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화본과 및 두과 목초야초 및 잡초-사료작물 -수엽 및 낙엽-수입 건초의 순으로 1초종씩을 교대로 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5번까지 배치하였다. 유산양의 채식량 조사는 각각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및 20시에 6회 실시하였다. 채식량은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어 기록하였다.
혼합야초는 망초 + 쑥+토끼풀+개밀+억새+ 새 등이 혼생되어있는 야산지에서 2008년 5월 26일 수확하였고, 기타 야초는 2008년 5월 29일 수확하여 양건하여 공시하였다. 청보리+헤어리 베치와 밀+헤어리베 치는 각각 혼파 후 수확하였는데 (건물비율 보리와 밀 66%: hairy vetch 34%) 수확시기는 보리와 밀을 기준으로 황숙기 (5월 29일) 에수확하여 양건하였다. Rye silage는 TMR공장 (논산)에서 2007년도에 제조한 시료를, barley silage와 baled rice straw는 논산군 연산면 소재젖소농장에서 공급받은 원료를 양건 후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 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 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로는 국내 산회 본과와 두과목초류는 혼합목초 (mixed grasses), 오차드그라스 (<xchard罗aes), 톨 페스큐 (tall fescue), 알팔파 (alfalfa) 및 화이트 클로버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 류는 혼합야초 (mixed native grasses), 억 새 (Miscanthus sinensis Anderss), 새 [Arundinella hirta (Thunb.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로는 국내 산회 본과와 두과목초류는 혼합목초 (mixed grasses), 오차드그라스 (<xchard罗aes), 톨 페스큐 (tall fescue), 알팔파 (alfalfa) 및 화이트 클로버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 류는 혼합야초 (mixed native grasses), 억 새 (Miscanthus sinensis Anderss), 새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바랭이 (barnyard grass)및 둑새풀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 hay, silages and straw)류는 청보리 + 헤어 리베치 건초 (barley + hairy vetch hay), 밀 + 헤 어리 베치 건초 (wheat + hairy vetch hay), 호밀 사일리 지 (rye silage), 청보리 사일리지 (barley silage) 및 곤포볏짚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엽과 낙엽 (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혼합수엽 (mixed browse), 갈참나무수엽 (oriental white oak browse), 졸참나무 수엽 (Queracus serrata Thunb. browse), 벚나무 낙엽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밤나무 낙엽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및 수입 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는 티머시 건초 (timothy hay), 톨 페스큐 짚 (tall fescue straw), 일년생 라이그라스 짚 (annual ryegrass straw), 클라인그라스 건초 (klinegrass hay) 및 알팔파 건초 (alfhlfh hay)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혼합목초의 경우는 오차드그라스+톨 페스큐+켄터기 블루그라스 (kentucky 비uegrass) 등 (66%)과 화이트 클로버 (34%)가 혼생한 혼파 초지에서 오차드그라스의 출수기를 기준으로 수확한 1번초(5월 8일)를 양건 후 공시하였고, 오차드그라스와 tall fescue는 1번초를 수잉기 (5월 2일)에 각각 예취하였으며,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1번초를 개화초기 (5월 13일)에 수확하여 양건 후 공시하였다.
혼합목초의 경우는 오차드그라스+톨 페스큐+켄터기 블루그라스 (kentucky 비uegrass) 등 (66%)과 화이트 클로버 (34%)가 혼생한 혼파 초지에서 오차드그라스의 출수기를 기준으로 수확한 1번초(5월 8일)를 양건 후 공시하였고, 오차드그라스와 tall fescue는 1번초를 수잉기 (5월 2일)에 각각 예취하였으며,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1번초를 개화초기 (5월 13일)에 수확하여 양건 후 공시하였다. 혼합야초는 망초 + 쑥+토끼풀+개밀+억새+ 새 등이 혼생되어있는 야산지에서 2008년 5월 26일 수확하였고, 기타 야초는 2008년 5월 29일 수확하여 양건하여 공시하였다. 청보리+헤어리 베치와 밀+헤어리베 치는 각각 혼파 후 수확하였는데 (건물비율 보리와 밀 66%: hairy vetch 34%) 수확시기는 보리와 밀을 기준으로 황숙기 (5월 29일) 에수확하여 양건하였다.
청보리+헤어리 베치와 밀+헤어리베 치는 각각 혼파 후 수확하였는데 (건물비율 보리와 밀 66%: hairy vetch 34%) 수확시기는 보리와 밀을 기준으로 황숙기 (5월 29일) 에수확하여 양건하였다. Rye silage는 TMR공장 (논산)에서 2007년도에 제조한 시료를, barley silage와 baled rice straw는 논산군 연산면 소재젖소농장에서 공급받은 원료를 양건 후 이용하였다. 혼합수엽은 5월 23일 채취한 갈참(70%) + 졸참(20%) +상수리(10%)나무 잎을 건물 기준으로 혼합하여 공시하였다.
혼합수엽은 5월 23일 채취한 갈참(70%) + 졸참(20%) +상수리(10%)나무 잎을 건물 기준으로 혼합하여 공시하였다. 벚나무와 밤나무낙엽은 2007년 11월 24일에 수집한 것을 공시하였다. 수입 건초는 2007년 미국에서 수입한 것을 공급받아 공시하였다.
벚나무와 밤나무낙엽은 2007년 11월 24일에 수집한 것을 공시하였다. 수입 건초는 2007년 미국에서 수입한 것을 공급받아 공시하였다. 건초를 제외한 모든 시료는 시멘트포장 운동장에서 5~6일간 양건 시킨 후 2 cm 내외로 세절한 뒤 비닐 주머니에 담아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급여량은 건물 기준으로 시료 당 500g 씩을 급여하였다. 분석용 시료는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시료를분소U하여 분석재료로 사용하였다 (Willey mill, 1mm screen). 공시 죽은 유산양 (Saanen 우, 평균 체중 25±2.
분석용 시료는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시료를분소U하여 분석재료로 사용하였다 (Willey mill, 1mm screen). 공시 죽은 유산양 (Saanen 우, 평균 체중 25±2.1kg) 10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일 시는 유산양은 2008년 6월 21일 충남 금산군추부면 소재 유산양 농장에서 수행하였고, 물은 자유 채식시켰다.
1kg) 10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일 시는 유산양은 2008년 6월 21일 충남 금산군추부면 소재 유산양 농장에서 수행하였고, 물은 자유 채식시켰다. 시료는 20kg 용량의 4각 고무 통에 각각 건물기준으로 500 g씩 담아 공시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시료양은 건물 기준으로 총 12.
시험일 시는 유산양은 2008년 6월 21일 충남 금산군추부면 소재 유산양 농장에서 수행하였고, 물은 자유 채식시켰다. 시료는 20kg 용량의 4각 고무 통에 각각 건물기준으로 500 g씩 담아 공시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시료양은 건물 기준으로 총 12.5 kg 이 었으며 , 공시 된 유산양 10두가 채식하고도 남을 양이였다. 시료는 자유 채식 방법으로 수행하였는데, 25종 시료의 배치는 시료의 특성을 고려하고 놓는 위치에 따른 채식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화본과 및 두과 목초야초 및 잡초-사료작물 -수엽 및 낙엽-수입 건초의 순으로 1초종씩을 교대로 시계방향으로 1번에서 25번까지 배치하였다.
데이터처리
Hemicellulose는 NDF와 ADF의 차이로, in vitro 건물소화율 (IVDMD)은 Tilley 와 Terry (1963)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AS (Institute Inc. Cary. NC., 2002)로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처리간의 차이는 최소유의차(LSD) 값으로 구하였다.
이론/모형
채식량은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어 기록하였다. Crude protein (CP) 은 AOAC(1999) 방법으로,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및 lignin 은 Goermg 과 Van Soest (1970) 방법으로, cellulose는 Crampton과 Maynard (1938)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Hemicellulose는 NDF와 ADF의 차이로, in vitro 건물소화율 (IVDMD)은 Tilley 와 Terry (1963)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Crude protein (CP) 은 AOAC(1999) 방법으로,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및 lignin 은 Goermg 과 Van Soest (1970) 방법으로, cellulose는 Crampton과 Maynard (1938)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Hemicellulose는 NDF와 ADF의 차이로, in vitro 건물소화율 (IVDMD)은 Tilley 와 Terry (1963)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AS (Institute Inc.
성능/효과
Ⅳ.DMD가가장 높았고 (p<0.05),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0.05),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던 반면에 tall 亿scue는 CP 함량과 IVDMD 가 가장 낮았고 (p<0.05), 반대로 NDF 와 ADF 함량은 가장 높은 결과를 가져왔으며 (p<0.05),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대체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대체적으로 두과목초인 white clover와 alfefa가 화본과 목초인 orchardgrass나 tall fescue에 비하여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높은 편이었고,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혼합목초는 둘 사이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야초 및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류의화학적 성분 및 건물소화율은 역시 초종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둑새풀 (Short awn)의 CP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IVDMD는 혼합야초(mixed native grasses)가 높았으며, NDF와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그러나 4| (Miscanthus sinensis Anderss)는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낮은 반면에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높은 양상을 보여 대조를 보였다 (”0.05). 혼합야초는 IVDMD는 높은 편이었으나 (p<0.
05). 혼합야초는 IVDMD는 높은 편이었으나 (p<0.05), CP함량과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중간정도이었다.
05),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청보리 사일리지(barley silage)는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낮은 반면에 NDF와 ADF 함량,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비교적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p<0.05). 그러나 곤포볏짚 (baled rice straw)은 청보리 사일리지보다는 품질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호밀 사일리지와 함께 품질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청보리와 호밀 사일리지는 2007년도에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저장기간 및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낙엽 간에는 이들 성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수엽 중에서는 혼합수엽 (mixed browse) 이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높았으며(p<0.05),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5). 그러나 닉.
엽은 모두 CP 함량과 Ⅳ.DMD가현저히 낮았을 뿐 아니라 NDF 와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수입건초 (imported hay and straw)류의 화학적 성분 및 건물소화율은 역시 초종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건초와 짚 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알팔파 건초 (alfalfh hay)는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높았고,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p<0.
05). 알팔파 건초 (alfalfh hay)는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높았고,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그러나 일년생 라이그라스 (annual ryegrass)와 톨 페스큐 (fall fescue) 와 같은 짚 (straw)류는 상대적으로 CP 함량과 IVDMD가 현저히 낮은 반면에 NDF, ADF, cellulose 및 hgnm 함량은 상당히 높은 결과를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p<0.05).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는 전보(이 및 이, 2007)에서 밝힌바와 같이 조사료원의 채취장소, 초종생육단계 및 채취시기에 따라 CP, NDF,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 및IVDMD 등이 달라질 수 있었다는 보고와 부합되는 것이었다.
채식량이 가장 높았던 조사료는 혼합목초 (mixed grasses) 로급여 4시간 후에 전량을 채식하여 채식 비율과 채식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화이트클로버 (white clover, 500g)로 6시간 후에, 알팔파 (alfalfa, 500g)는 8시간 후에 전량을 채식하여 채식비율과 순위가 높았으며 혼합수엽 (mixed browse, 436g)이 다음 순으로 채식비율과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곤포볏짚(baled rice straw, 6g), 호밀 사일리 지 (rye silage, 13g) 등은채식량이 50g 미만으로 채식비율과 순위가 가장 낮았으며, 억 새 (Miscanthus sinensis Anderss, 81g), (Arundinella hirta (Thunb.
) Tanaka,93g)도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가 낮은 편으로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혼합목초와 같이 채식량이 높은 조사료는 Table 1에서와 같이 NDF,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CP 함량과 IVDMD는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곤포볏짚과 같이 채식량이 낮은 조사료는 NDF, ADF와 같은 섬유소 물질의 함량이 높았던 반면에 Ⅳ.
각각의 조사료 원별 5종간의 채식량과 채식비율은 조사료 원에 따라 차이를 보여, 화본과와 두과목초(grasses and legumes)류는 혼합목초(mixed grass)의 채식량과 채식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에 tall fescue는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야초와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 류는 혼합야:초 (mixed native grasses)가 가장 높았던 반면에 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s)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야초와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 류는 혼합야:초 (mixed native grasses)가 가장 높았던 반면에 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s)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료작물과 볏짚 (forage crops and straw)류는 청보리 + 헤어리베치 (barley+hairy vetch) 가 높았던 반면에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가가장 낮았으며, 수엽과 낙엽 (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혼합수엽 (irHxed browse)0] 높은 반면에 벚나무 낙엽 (OHental cherry fallen leaves) 이 가장 낮았다.
야초와 잡초 (native grasses and weeds) 류는 혼합야:초 (mixed native grasses)가 가장 높았던 반면에 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s)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료작물과 볏짚 (forage crops and straw)류는 청보리 + 헤어리베치 (barley+hairy vetch) 가 높았던 반면에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가가장 낮았으며, 수엽과 낙엽 (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혼합수엽 (irHxed browse)0] 높은 반면에 벚나무 낙엽 (OHental cherry fallen leaves) 이 가장 낮았다. 수입건초 (imported hay and straw)류는 티머시 건초 (timothy hay)가 높은 반면에 클라인 건초 (klinegrass hay)가 가장 낮은결과를 나타내었다.
꽃사슴 (이와 이, 2008a)의 채식 습성과는 달리 오히려 초본류를 즐겨 채식하는 초류채식형 (grazers)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Belanger, 1986; Holecheck와 Herbel, 1989).따라서 본 시험결과에서도 유산양 (Saanen) 의 채식 습성은 화본과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이와 이 (2007)가보고한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
사료작물과 볏짚 (forage crops and straw) 류의화학적 성분 및 건물소화율은 청보리+ 헤어리벳치 (barley + hairy vetch)가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높았고, 반대로 NDF와 ADF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pO.05),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청보리 사일리지(barley silage)는 CP 함량과 IVDMD가 가장 낮은 반면에 NDF와 ADF 함량, cellulose 및 lignin 함량도 비교적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p<0.
참고문헌 (17)
이인덕, 이형석. 2007.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유산양(Saanen)의 채식 습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 27(4):313-322
Belanger, J. 1986. Raising milk goats the modern way. Garden Way Pub. Pownel pp. 1-8
Crampton, F.W. and LA. Maynard. 1938. The relati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e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 15:383-395
Du1phy, J.P. 1979. The intake of conserved forage. Forage conservation in the 80'S. Occasional Symposium No.II, British Grassl. Soei. pp. 107-121
Gall, C. 1981. Goat production. Academic press. London. pp. 236-237
Go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RS . USDA. Washington, DC
Homann, R.R. 1983. Digestive physiology of the deer-their morphphysiological specialization and adaptation. In; Biology of deer production. Eds. Fennessy, P.F., and Drew. F.R.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pp. 393-407
Holecheck. J.L and M. Vavra. 1982. forage intake by cattle on forest and grassland ranges. J. Range Managt. 35(6):737-74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