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분말을 첨가한 다식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Dasik Prepared with Added Sangwang Mushroom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2, 2009년, pp.227 - 233  

강재희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신성대학 호텔조리제빵계열) ,  김지응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신성대학 호텔조리제빵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gwang Mushroom powder at different levels (0 %, 5 %, 10 %, 15 %, 20 %). roximate moisture composition of the powder was 9.22 %. As powder level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asik increased the L, a, and b valu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지닌 상황버섯분말로 다식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황버섯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다음 품질특성과 기호도를 알아봄으로서 다식제조에 있어 상황버섯분말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고, 전통식품의 이용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실험에서 상황버섯다식에 대한 관능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상황버섯분말 다식의 정량적 묘사분석 검사는 검사방법과 평가특성에 대해 충분히 교육을 시킨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연구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료는 흰색 폴리에틸렌 1회용 접시에 담아 제공하였고 한 개의 시료를 먹고 난 다음에 반드시 물로 입안을 헹군 뒤 질문지에 패널로 하여금 관능특성의 강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칸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관능적 특성의 평가항목은추 등(Choo SJ 등 2000)의 결과와 예비실험을 통하여 색 (color), 상황버섯분말의 향(flavor of Sanghwang Mushroom Powder), 맛(Taste),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씹히는 정도(Chewiness)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특성의 강도는 7점 항목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특성의 강도가 커지는 것으로 하였다(김우정과 구경형 2001, 김광옥 등 2004).
다식은 무엇인가? 다식(茶食)은 한과(漢果) 중 하나로 곡물가루, 한약재가루, 종실, 견과류 등을 날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대로, 날로 먹을 수 없는 것은 호화시켜서 꿀을 넣고 반죽 하여 다식판에 넣어 수복강녕(壽福康寧), 부귀다남(富貴多男)의 글귀와 꽃과 문양 그리고 무병장수(無病長壽)를 뜻하는 물고기, 거북, 새들의 모양으로 박아서 한입에 먹어 복을 얻고자 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 과자이다(이효지 1998, 황혜성 등 1989, 염초애 등 1992). 또한 다식은 차를 마시는 풍습과 함께 숭상되었던 과정류의 하나로(윤숙자 2001) 고려시대에는 팔관회, 연등회 등 연회의식에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왕실의 의식과 민간의 의식에도 사용된 한과이다(Lee GC와 Chung HM 1999).
다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행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다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행 연구로는 치자 청색소(Choo SJ 등 2000), 참당귀(Lee SR와 Kim GH 2001), 송화(Cho MZ 1995), 참깨(Cho MZ와 Bae EK 2005), 오디즙(Lee JH 등 2005), 뽕잎(Jung EJ와 Woo KJ 2005), 녹차(Yun GY 등 2005, Kim HS 등 2007), 홍삼(Yun GY 와 Kim MA 2006), 도토리(Lee MY와 Yoon SJ 2006), 누에(Kim JE 2008), 커피(Chung ES과 Park GS 2002), 유자청(Lee YS 등 2008)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2000. 한국음식대관 3. 한림출판사. 서울. pp 293-389 

  2.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2004.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p 161-211 

  3.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서울. pp 25-40 

  4. 송문섭, 영조, 조신섭, 김병청. 1989. SAS를 이용한 통계자료 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pp 61-84 

  5.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pp 311-312 

  6. 이철호, 채수규, 이진근, 고경희, 손헤숙. 1999. 식품평가 및 품질관리론. 유림문화사, 서울. pp 65-178 

  7. 윤숙자. 2001. 한국이 떡.한과.음청류. 지구문화사. 서울. pp 236-239 

  8.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1992. 한국음식. 효일문화사. 서울. p 271 

  9. 황혜성, 한복려, 한복자, 1989.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서울. p 487 

  10. Cho MZ. 1995. Study on sensory evaluation for the Dasik with Pine Pollen. Korean J Soc Food Sci 11(3):233-236 

  11. Cho MZ, Bae EK. 2005. Variation of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sesame Dasik. Korean J Food & Nutr 18(1):1-3 

  12. Choo SJ, Yoon HH, Hahn TR. 2000. Sensory characteristics of Dasik containing gardenia blue pigments.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6(3):255-259 

  13. Chung ES, Park GS. 2002. Effects of additive material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225-231 

  14. Chung KS, Kim SS, Kim HS, Kim KY, Han MW. 1994. Antitumor activity of Kp, a protein-polysaccharide from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Yakhak Hoeji 38(2):158-165 

  15. Chung LN, Lee HY, Yang IS 2007.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Attitudes and Intention of Repurchase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ccording to the Product Categori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344-351 

  16. Jung EJ, Woo KJ. 2005.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by addition of Chitosan Oligosacchari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00-305 

  17. Kang TS, Lee MY, Baek SH, Jeong HS, Park HJ, Kong YJ, Jung IS. 2005. Effects of Oat soluble $\beta$ -glucan on Glucose dialysis Retardation and blood glucose in diabetic rats. Food Engineering Progtess 9:88-96 

  18. Kim DH, Choi HJ, Bae EA. 1998. Effect of artificially cultured Phelinus linteus on harmful intestinal bacterial enzymes and rat intestinal α-glucocidases. J Fd Hyg Safety 13(1):20-23 

  19. Kim EH, Maeng YS, Woo SJ. 1993.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cereals and pulses. Korean J Nutrition 26(1):98-106 

  20.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 18(5):295-303 

  21.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a.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579-583 

  22. Kim HR, Hong JS, Kim TY, Kim SB, Cho SM, Chun HK. 2005b. Properties of Ramyon (Deep fried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wh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928-932 

  23. Kim HS, Chung HH, Lee YS, Kim HY.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Oligosaccharide. Korean J Food Culture 22(5):615-620 

  24. Kim JE.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ith added Silkworm Pow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2):221-225 

  25. Kim JS, Jeong JW, Jeong YK 2005. The Study of Perception and Preferences on Dasik of the Old People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1(3):138-150 

  26. Kim JY, Song HJ, Park SS 2005.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iacement(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S Department Store in Kang-nam, Seoul.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8(2):137-154 

  27. Kim SH. Song YS, Kim SK, Kim BC, Lim CJ, Park EH. 2004. Anti-inflammatory and related pha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n-BuOH subfraction of mushroom Phellinus linteus. J Ethnopharmacol 93:141-146 

  28. Kim YD, Kim NS, Eom SY, Kim SH, Kang JW, Lee SW. 2008.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Mushroom Keumsa Sangwhang (Phellinus linteus) on fasting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Human. Korean J. food culture 23(1):68-72 

  29. Kwoen DJ, Youn SJ, Cho JG, Choi UK, Kang SC.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 Soc Appl Biol Chem 49:91-96 

  30. Kwon SH, Kim CN, Kim CY, Kwon ST, Park KM, Hwangbo SH 2003. Antitumor activities of protein bound polysaccahrie extracted from mycelia of mushroom. Kor J Food Ntur 16:15-21 

  31.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ulinary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4):395-403 

  32.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y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629-636 

  33. Lee MY, Yoon SJ. 2006.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asik with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49-854 

  34. Lee SR, Kim GH. 2001.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snack, Dasik using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421-425 

  35. Lee YS, Kim AJ, Rho JO.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494-500 

  36. Minolta. 1993. Spectrophotometer CM-3500d communication manual. Minolta Co Ltd. japan 

  37. Pyo MY, Hyun SM, Yang KS 2001. Effects of Phelinus linteus extract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J Appl Pharmacol 9:194-2000 

  38. Rhee, YK, Han MJ, Park SY, Kim D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inus linteus. Kor J Food Sci Technol 32:477-480 

  39. Ryu, HY, Kum EJ, Bae KH. Kim YK, Kwun, Sohn HY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 bosis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238-244 

  40. SAS. 198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U.S.A. 

  41. Shin TY, Shin HY, Kim SH, Kim DK, Chae BS, Oh CH, Cho MG, Oh SH, Kim JH, Lee TK, Park JS, Kim SY. 2006. Phellinus baumii inhibits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Nat Product Sci 12:232-236 

  42. Texture Analyser. 1997. TA-XT2i operating manual(version 6.10 and 7.10) 1. Stable Micro Systems. England 

  43. Yun GY, Kim AM, Hyun JI. 2005.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ulture 20:532-537 

  44. Yun GY, Kim MA. 2006. The effect of Red Ginseng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ulture 21(3):325-3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