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성분 강화염이 본태성 고혈압쥐와 정상혈압쥐의 혈압, 혈청 중 미네랄 함량 및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Salts Fortified with Seaweed Components on Blood Pressure, Serum Minerals, and Hematochemica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2 = no.204, 2009년, pp.196 - 202  

김영명 (한국식품연구원) ,  변지영 (한국식품연구원)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남궁배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조성분 강화염을 본태성 고혈압쥐(SHR)와 정상혈압쥐(WKY)에게 6주간 급여하면서 혈압, 무기질 및 혈청 생화학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처리는 laver salt, fucoidan+laver salt(high/low dose), refined salt(대조염)의 4처리로 하였고, 실험동물(SHR/WKY)은 완전임의배치법으로 각각 8마리, 6마리씩 배치하였다. 식염량은 1일 16g을 기준으로 하여, +20% (고염식), -20%(저염식)으로 설정하였으며, 식염은 음용수 형태로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수축기 혈압은 해조성분강화염 급여 후 3주까지는 상승하다가 이후 종료시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fucoidan+laver salt) 또는 감소하였으며(laver salt), 대조염군(정제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마지막 주에 다소 감소하였다. 실험종료시 A군과 D군의 혈압차는 약 24mmHg로 나타났고, 기준혈압대비 종료시 혈압상승율은 D군의 17.6%에 비해 A군과 C군이 각각 8.2, 7.4%로 낮았다. WKY의 실험 6주의 D군과 C군의 혈압차는 8.5 mmHg로 나타났고, 기준혈압 대비 종료시 혈압감소율은 D군보다 C군에서 더 크게 나타나서 SHR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 미네랄 중 $Na^+$ 함량은 SHR과 WKY모두 실험군간 차이가 없었고, $K^+$은 SHR에서 fucoidan+laver salt 고염식군(B)이 높았으며, $Mg^{++}$은 WKY에서 해조성분강화염군(A, B, C)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당과 총 빌리루빈함량은 SHR에서 대조염군보다 해조성분강화염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WKY 역시 혈당치는 해조성분강화염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알부민은 SHR과 WKY 모두 laver salt군(A)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SGOT와 SGPT활성은 두 동물종 모두 해조성분강화염에서 낮았다. 혈청지질 중 TC농도는 대조염군보다 해조성분강화염군에서 통계적으로 낮았고, TG농도는 해조성분강화염 중 A군과 C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HDL 및 LDL농도는 A군이 유의하게 높거나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해조성분강화염중 laver salt는 대조염군과 같은 양의 식염을 섭취했음에도 미네랄 대사와 혈청 지질성분의 긍정적인 변화 등으로 인해 혈압상승을 적절하게 억제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salts fortified with seaweed functional components on blood pressure, serum minerals, and hematochemica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NCrj) and normotensive rats (WKY/NCrj) were investigated. SHR and WKY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with 8 and 6 rats in each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조성분 강화염을 본태성 고혈압쥐(SHR)와 정상혈압쥐(WKY)에게 6주간 급여하면서 혈압, 무기질 및 혈청 생화학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처리는 laver salt, fucoidan+laver salt(high/low dose), refined salt(대조염)의 4처리로 하였고, 실험동물(SHR/WKY)은 완전임의배치법으로 각각 8마리, 6마리씩 배치하였다.
  • 비만남성을 대상으로 fucoidan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20% 정도 혈압저하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fucoidan의 항혈액응고 작용에 기인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23). 본 연구는 해조성분 강화염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본태성 고혈압쥐(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SHR)와 정상혈압쥐(Normotensive rats: WKY)에게 해조유래의 기능성분을 함유한 식염 2종을 음용수 형태로 6주간 급여하면서 혈압, 무기질 및 혈청 생화학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금은 체내에서 어떤 기능과 관련이 있는 필수적 물질인가? 소금은 음식의 맛 조절과 식품의 저장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고(1), 체내에서 세포막의 전압조절과 혈압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관련이 있는 필수적인 물질이다. 한국인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짜게 먹는 경향이 있어서(2,3) 생리적인 소금 요구량보다 더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비만을 비롯한 뇌졸중, 동맥경화증, 고혈압 등 성인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4)나트륨과 고혈압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식사 중 소금섭취의 제한이 필요하다(5).
한국인의 많은 소금 섭취량은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소금은 음식의 맛 조절과 식품의 저장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고(1), 체내에서 세포막의 전압조절과 혈압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관련이 있는 필수적인 물질이다. 한국인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짜게 먹는 경향이 있어서(2,3) 생리적인 소금 요구량보다 더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비만을 비롯한 뇌졸중, 동맥경화증, 고혈압 등 성인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4)나트륨과 고혈압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식사 중 소금섭취의 제한이 필요하다(5).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인 순환기계 질환은 고혈압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중 본태성고혈압은 유전적 요인 외에 스트레스, 식이섭취량, 비만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6-8).
해조류 중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분을 활용한 기능성 소금의 생리적 활성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해조류는 고염의 해양생태계에서 생육하는 특성 때문에 해수중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칼륨, 칼슘 및 요오드 등 생리적으로 유익한 미네랄 성분을 조체내(藻體內)에 축적하고 있다(15). 이와 같은 해조류 중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분을 활용한 기능성 소금의 생리적 활성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실정으로서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를 보면 시판 소금의 일반적 품질특성(16), 소금 종류별 무기물 조성(17,18), 소금 결정의 외형구조에 관한 연구(19) 등 단편적인 연구가 보고되었다. 한편, 해조 다당류의 혈청 지질과 혈압에 미치는 연구로는 이미 1960년대 fucoidan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20)과 평균 혈압의 감소효과(21)가 보고된 바 있고, fucose함유 다당의 고혈압자연발증흰쥐에 대한 영향에서 fucoidan식이군의 혈압 저하경향은 분변 중 나트륨 배설량의 증가와 혈장 중 칼륨량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im DH, Lee SB, Rhim JW. Characteristics of seaweed salt prepared with seawee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7-942(2004) 

  2. Park RS, Kim SJ, Lee LH. Survey on sodium content of low salt diet at 27 hospitals. Korean J. Nutr. 10: 38-43 (1997) 

  3. Chung KR. A survey on the sodium chloride content of common restaurant meal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475-479 (1987) 

  4. Kim HS, Yu CH. The effect of Ca supplementation on the metabolism of sodium and potassium and blood pressur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0: 32-39 (1997) 

  5. Lee JE. Salt and hypertension. Korean J. Nephrol. 11(Suppl. 6):56-60 (1992) 

  6. Moore MA. Hypertension in ambulatory patient. Am. Fam. Physician 16: 188-194 (1977) 

  7. Thiele VF. Clinical Nutrition. Mosby Elsevier Ltd., NC, USA. p.174 (1980) 

  8. Hong MB, Suh JG. Physical and clinical study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the Korean.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J.,Korea 9: 55-67 (1978) 

  9. Joossens JV, Geboers J. Dietary salt and risks to health. Am J. Clin. Nutr. 45: 1277-1283 (1987) 

  10. Houston MC. Sodium and hypertension. A review. Arch Intern. Med. 146: 179-185 (1986) 

  11. Tobin L. The relationship of salt to hypertension. Am J. Clin. Nutr. 32: 2739-2748 (1979) 

  12. Battarbee HD, Neneely GR. Nutrient toxicities in animal and man: sodium In: Effect of nutrient excesses and toxicities in animal and man. Rchcigel M Jr(ed). CRC Handbook Series in Nutrition and Food. CRC Inc., Boca Raton, FL, USA. p. 119(1978) 

  13. Cho KH, Park MA, Kim ES. Differences between estimated and analyzed contents of sodium and potassium in the salt-restricted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 406-414 (1996) 

  14. Lee YK, Sung CJ, Choi MK, Lee YS. Effect of sodium intake on blood pressure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 normal adult women. Korean J. Nutr. 35: 754-762 (2002) 

  15. Kang YJ, Ryu KT, Kim HS. Preparation of cellular liquid from brown seaweeds for functional tonic products. J. Korean Soc.Food Nutr. 25: 94-103 (1996) 

  16. Jeong KJ. The production system of tol salt at guom village in Cheju island -A Microscopic approach to one of the past geographical phenomena-. J. Korean Bull. Geography 32: 87-104(1998) 

  17. Jo EJ, Shin DH.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 13: 360-64 (1998) 

  18.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K, Nam SH, Jung ST.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2000) 

  19. Ha JO, Park KY. Compositi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148 (1998) 

  20. Fahrenbach MJ, Riccardi BA, Grant WC.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of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in White Leghorn cockerels. P. Soc. Exp. Biol. Med. 123: 321-326 (1966) 

  21. Ren D, Noda H, Amano H, Nishino T, Nishizana K. Study on and antihypertensive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arine algae. Fish. Sci. 60: 83-88 (1994) 

  22. Yamata N. Science of Seaweed Fucoidan. Sungsandang Publishing Co., Tokyo, Japan. p. 112 (2006) 

  23. Yamata N. Science of Seaweed Fucoidan. Sungsandang Publishing Co., Tokyo, Japan. p. 107 (2006)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3nd report). Available from: http:// knhanes.cdc.go.kr. Accessed Mar. 24, 2009 

  25. Kim YM, Byun JY, Namgung B, Jo JH, In JP. Studies on functional salt fortified with seaweed compon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52-157 (2007) 

  26.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98) 

  27. Han CK, Lee BH, Song KS, Lee NH, Yoon CS. Effect of antihypertensive. Diets mainly consisting of buckwheat, potato and perilla seed on blood pressures and plasma lipids in normotensive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Nutr. 29: 1087-1095 (1996) 

  28. Kynast-Gales S, Massey L. Effect of dietary calcium from dairy products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men. J. Am. Diet Assoc. 92: 1497-1501 (1992) 

  29. Ayachi S. Increased dietary calcium lowers blood pressure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Metabolism 28: 1234-1238 (1979) 

  30. Hatton D, Muntzel M, Absalon J, Lashley D, McCarron D. Dietary calcium and iron : Effects on blood pressure and hematocrit in young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m. J. Clin. Nutr.53: 542-546 (1991) 

  31. Jung HS, Song YS. Effect of dietary leek (Allium tuberosum)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bstract no P11-06). In: Abstracts: 44th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abetes mellitus and nutrition. November 21, Mokpo Natl. Univ., Mokpo,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 and Nutr., Pusan, Korea (1998) 

  32. Go MK, Park GY, Song YO, Song YS. Effect of different salt in 

  33. Lee YK, Sung CJ, Choi MK, Lee YS. Effect of sodium intake on blood pressure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 normal adult women. Korean J. Nutr. 35: 754-762 (2002) 

  34. Yoon CG, Jeong SW, Cha SE. An effect of methanethiol treatment on the liver function of rats previously fed low or high protein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2: 15-18 (1993) 

  35. Cho MK, Choe SY, Hong SM, Kim BS. Effect of scoparone on liver fun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44-349 (1998) 

  36. Joossens JV. Dietary salt restriction. The case in favour. p. 243 In: The Therapeutics of Hypertension. Robertson JIS, Pickering GW, Caldwell ADS (eds). Congress and symposium series, NO.26. Academic Press and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London, UK (1980) 

  37. Jang AR, Cho YJ, Lee JI, Shin JH, Kim IS, Lee MH. The Effect of beef peptide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J. Anim. Sci. Technol.46: 107-11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