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본태성 고혈압쥐와 정상쥐의 혈압과 미네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izikia Mineral Salts on Blood Pressure and Mineral Metabolism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nd Normotensiv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2 = no.204, 2009년, pp.203 - 209  

김영명 (한국식품연구원) ,  변지영 (한국식품연구원)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남궁배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과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는 고 저 염식군(Hizikia mineral salt)과 대조군(정제염)의 세가지 처리군으로 하였고,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NCrj)와 정상쥐(WKY/NCrj)에 음용수의 형태로 식염을 급여하였다. SHR에서는 시험 6주째 수축기혈압(SBP)이 C군보다 고 저염식군(A, B)이 각각 17,24 mmHg 낮았고, 기준혈압(RBP)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2, 4, 21%로 B군이 가장 낮았다. WKY의 경우 시험 6주째 SBP는 A군과 C군에서 각각 165, 164 mmHg인 반면, B군은 148 mmHg로 훨씬 낮았다. RBP 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7, 7, 19%로 B군이 가장 낮았다. 소변과 분변 중의 미네랄은 SHR/WKY 종에서 무기 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Na^+$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지만 $K^+$함량은 무기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유의하게 또는 대체로 높았다. 소변과 분변 중 미네랄함량은 다소간 차이가 있었지만 대변보다 소변으로 더 많이 배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경우 SHR은 $K^+$을 제외한 $Na^+$, $Ca^{++}$$Mg^{++}$ 함량은 무기성분강화 염군보다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WKY에서 $Na^+$ 함량은 고염식군(A)이 가장 높았고, 신장에서 SHR의 $Na^+$ 함량은 정제염군이 무기성분강화염군보다 높았지만 WKY에서는 오히려 A군과 B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K^+$ 함량은 저염식군(B)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톳유래의 저염식은 $Na^+$ 함량은 낮추고 $K^+$ 함량은 높이는 등의 체내 미네랄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혈압상승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alts fortified with Hizikia component on blood pressure and mineral composit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NCrj) and normotensive rats (WKY/NCrj). The two species rat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and were fed with drinking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과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는 고·저염식군(Hizikia mineral salt)과 대조군(정제염)의 세가지 처리군으로 하였고,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NCrj)와 정상쥐(WKY/ NCrj)에 음용수의 형태로 식염을 급여하였다.
  • 톳은 칼슘, 비타민 A 및 식이섬유소 함량이 풍부하여 당뇨병, 고혈압 예방, 대장암 및 변비 등에 효과가 좋으며 요오드 성분 함량이 많아 갑상선암 및 각기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27). 본 연구에서는 톳유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컷 SHR과 WKY에게 톳의 기능성분을 함유한 식염을 음용수 형태로 6주간 급여하면서 고혈압의 진행 및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이란? 나트륨은 체내 세포외액의 주요 양이온으로 약 11% 정도가 136-145 mEq/L의 농도로 혈장에 존재하며, 체내 삼투압 유지와 산.염기‚ 평형에 의한 항상성 유지, 영양소 흡수와 수송, 혈액량과 혈압유지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인 기능을 갖는 필수 영양소인 전해질이다(1). 나트륨은 대부분 식염(NaCl)의 형태로 섭취되고 있고, 우리가 섭취하는 소금의 종류로는 암염, 천일염, 정제염, 재제염이 있으며, 식염은 오래전부터 식생활에서 짠맛을 내거나 식품의 발효와 저장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2).
나트륨의 과잉섭취의 문제점은? 나트륨은 대부분 식염(NaCl)의 형태로 섭취되고 있고, 우리가 섭취하는 소금의 종류로는 암염, 천일염, 정제염, 재제염이 있으며, 식염은 오래전부터 식생활에서 짠맛을 내거나 식품의 발효와 저장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2). 이처럼 식염은 식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만성적인 과잉섭취는 고혈압을 비롯하여 건강상 많은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8). 우리나라에서는 장류, 절임식품, 김치, 젓갈류와 같은 고염식의 과다섭취와 함께 간을 맞추기 위한 소금첨가로 인하여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우리 식사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9).
식염은 예전부터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 염기‚ 평형에 의한 항상성 유지, 영양소 흡수와 수송, 혈액량과 혈압유지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인 기능을 갖는 필수 영양소인 전해질이다(1). 나트륨은 대부분 식염(NaCl)의 형태로 섭취되고 있고, 우리가 섭취하는 소금의 종류로는 암염, 천일염, 정제염, 재제염이 있으며, 식염은 오래전부터 식생활에서 짠맛을 내거나 식품의 발효와 저장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2). 이처럼 식염은 식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만성적인 과잉섭취는 고혈압을 비롯하여 건강상 많은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Ekhrd EZ, Filer JR. Salt, water, and extracellular volume regulation. pp. 265-271 In: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7th ed. ILSL Press, Washington, DC, USA (1996) 

  2. Fregly MJ. Sodium and potassium. Ann. Rev. Nutr. 1: 69-93(1981) 

  3. Goodhart RS. Nutrition, hypertension and kidney disease. pp.274-275.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8th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PA, USA (1994) 

  4. Battarbee HD, Neneely GR. Nutrient toxicities in animal and man: sodium p. 119. In: Effect of Nutrient Excesses and Toxicities in Animal and Man. Rchcigel M. Jr(ed). CRC Handbook Series in Nutrition and Food. CRC Inc., Boca Raton, FL, USA(1978) 

  5. Tobin L. The relationship of salt to hypertension. Am. J. Clin. Nutr. 32: 2739-2748 (1979) 

  6. Altschul AM, Grommet JK. Sodium intake and sodium sensitivity. Nutr. Rev. 38: 393-402 (1980) 

  7. Krutz TW, Morris RC Jr. Hypertension and sodium salts. Science 228: 351-353 (1985) 

  8. Houston MC. Sodium and hypertension: A review. Arch. Intern. Med. 146: 179-185 (1986) 

  9. Kim YS, Pail HY.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20: 341-349 (1987) 

  10. Ambard L, Beaujard E. Causes de I'hypertension arterielle. Arch. Gen. Med. 1: 520-533 (1904) 

  11. Allen FM, Sherill JW. The treat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J. Metabol. Res. 2: 429-431 (1922) 

  12. Saunders GM, Bancroft H. Blood pressure studies on negro and white men living in virgin Islands of United States. Am. Heart J.23: 410-423 (1942) 

  13. Kempner W. Treatment of hypertensive vascular disease with rice diet. Am. J. Med. 4: 545-577 (1948) 

  14. Dahl LK. Salt and hypertensive. Am. J. Clin. Nutr. 25: 231-232(1972) 

  15. Blackwood AM, Sagnella GA, Cook DG, Cappuccio FP. Urinary calcium excretion,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multiethnic population: Results of the wandsworth heart and stroke study. J. Hum. Hypertens. 15: 229-237 (2001) 

  16. Cirillo M, Lombardi C, Laurenzi M, de Santo NG. Relation of urinary urea to blood pressure: Interaction with urinary sodium. J.Hum. Hypertens. 16: 205-212 (2002) 

  17. Tobian L. Artery wall electrolytes in renal and DCA hypertension. J. Clin. Invest. 33: 1407-1500 (1954) 

  18. Ledingham JM. Distribution of water, sodium, and potassium in heart and skeletal muscle in experimental renal hypertension in rats. Clin. Sci. 12: 237-244 (1953) 

  19. Takeda Y, Yoneda T, Demura M, Furukawa K, Miyamori I, Mabuchi H. Effects of high sodium intake on cardiovascular aldosterone synthesis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Hypertens. 19: 635-639 (2001) 

  20. Ngoan LT, Mizoue T, Fujino Y, Tokui N, Yoshimura T, Yamakawa H.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mortality. Brit. J. Cancer 87: 37-42 (2002) 

  21. Jang AR, Cho YJ, Lee JI, Shin JH, Kim IS, Lee MH. The effect of beef peptide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J. Anim. Sci. Technol. 46: 107-114 (2004) 

  22. Han CK, Lee OH, Kim KI, Park JM, Kim YC, Lee BY. Effect of powder, 50%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SHR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95-1101 (2003) 

  23. Lee JS, Park SJ, Sung KS, Han CK, Lee MH, Jung CW, Kwon TB. Effect of germinated-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06-211 (2000) 

  24. Kozo O, Yukio Y, Alira Q, Toshinari T. Development of substrain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Geneology, isozymes and effect of hypercholesterole-mice diet. Jnp. Circ. J. 36: 461-469 (1972) 

  25. Yukio Y, Yasuo N, Motoki T, Masayuki M, Masahiro K, Keigo F, Ryoichi H, Kohtaro K. Common cellular disposition to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J. Hypertens. 2: 213-215 (1984) 

  26. Singer P, Voigh S, Moritz V, Baumann R. The fatty acid pattern of triglyceride and FFA in serum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therosclerosis 33: 227-238 (1979) 

  27.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W, Park HY.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 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2005) 

  2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s(3rd report). Available from: http:// knhanes.cdc.go.kr. Accessed Mar. 24, 2009 

  29. Kim YM, Byun JY, Namgung B, Jo JH, In JP. Studies on functional salt fortified with seaweed components. Korean J. Food Sci. Techol. 39: 152-157 (2007) 

  30. SAS Institute.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98) 

  31. Joossens JV. Dietary salt restriction. The case in favour. p. 243.In: The Therapeutics of Hypertension. Robertson JIS, Pickering GW, Caldwell ADS(eds). Congress and Symposium Series, No.26. Academic Press and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London, UK. (1980) 

  32. Gleibermann L. Blood pressure and dietary salt in human populations. Ecol. Food Nutr. 2: 143-146 (1973) 

  33. Froment A, Milon H, Gravier C. Relationship of sodium intake and arterial hypertension. Contribution of geographical epidemiology. Rev. Epidemiol. Sante Publiqu. 27: 437-442 (1979) 

  34. Dewardner HE. The Kidney; An Outline of Normal and Ab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Little, Brown and Co., Boston, MA, USA. p. 50 (1958) 

  35. Kirkendall AM, Connor WE, Abboud F. The effect of dietary sodium chloride on blood pressure, body fluids, electrolytes, renal function and serum lipids of normotensive man. J. Lab. Clin.Med. 87: 411-415 (1976) 

  36. Kim SY.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pp. 83-94. In: Korean Diabetes Association Training Lecture. May 18, Kangnam St. Mary's hospital, Seoul, Korea.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eoul, Korea (1997) 

  37. Kim HS, Yu CH. The effect of Ca supplementation on the metabolism of sodium and potassium and blood pressur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0: 32-39 (1997) 

  38. Meneely GR, Battrarbee HD. High sodium-low potassium environmental and hypertension. Am. J. Cardiol. 38: 768-785 (1976) 

  39. Schroeder HA. Relation between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and treated water supplies. J. Am. Med. Assoc. 172:1902-1908 (1960) 

  40. Altura BM, Altura BT, Gebrewold A, Lsing H, Gunther T. Magnesium deficiency and hypertension: Correlation between magnesium-deficient diets and microcirculatory changes in situ. Science 223: 1315-1317 (1984) 

  41. Itokawa Y, Tanaka C, Fujiwara M.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in rats with calcium and magnesium deficiencies. J. Appl. Physiol. 37: 835-839 (1974) 

  42. Overlack A, Zenzen JG, Ressel C, Muller HM, Stumpe KO. Influence of magnesium and blood pressure and the effect of nifedipine in rats. Hypertension 9: 139-143 (1987) 

  43. Kynast-Gales S, Massey L. Effect of dietary calcium from dairy products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men. J. Am. Diet. Assoc. 92: 1497-1501 (1992) 

  44. Ayachi S. Increased dietary calcium lowers blood pressure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Metabolism 28: 1234-1238 (1979) 

  45. Hatton D, Muntzel M, Absalon J, Lashley D, McCarron D. Dietary calcium and iron: Effects on blood pressure and hematocrit in young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m. J. Clin. Nutr. 53: 542-546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