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과 1997년 차량등록대수가 각각 100만대와 1,000만대를 돌파하면서 주로 지상에 설치되었던 공동주택의 주차장이 지하에 설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식재설계도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위치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주차장 설치기준을 지상형, 지상 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구분하여 식재설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대당 주차율은 지상형에 비해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기 시작한 지상 지하혼합형에서 2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지하주차장 설치비율이 매우 높아진 지하형으로 바뀌면서 세대당 1대 이상을 주차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녹지율은 지상형에서 지상 지하 혼합형으로 바뀌면서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전용면적당 녹지율은 오히려 감소하여 녹지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0년도 이후에 건설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은 대부분 지하에 조성되어 녹지면적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재설계에 사용되는 수종은 병충해에 약하고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종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며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수종이 많이 식재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상록수의 식재는 공동주택 건설 초기에 많이 식재되었던 향나무는 점차 줄어들고, 소나무의 식재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였다. 2000년 이후에 건설된 지하형 공동주택에서부터 식재되기 시작한 초화류는 꽃을 감상할 수 있고, 화려한 외형적 특징으로 앞으로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1985년과 1997년 차량등록대수가 각각 100만대와 1,000만대를 돌파하면서 주로 지상에 설치되었던 공동주택의 주차장이 지하에 설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식재설계도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위치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주차장 설치기준을 지상형, 지상 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구분하여 식재설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대당 주차율은 지상형에 비해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기 시작한 지상 지하혼합형에서 2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지하주차장 설치비율이 매우 높아진 지하형으로 바뀌면서 세대당 1대 이상을 주차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녹지율은 지상형에서 지상 지하 혼합형으로 바뀌면서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전용면적당 녹지율은 오히려 감소하여 녹지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0년도 이후에 건설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은 대부분 지하에 조성되어 녹지면적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재설계에 사용되는 수종은 병충해에 약하고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종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며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수종이 많이 식재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상록수의 식재는 공동주택 건설 초기에 많이 식재되었던 향나무는 점차 줄어들고, 소나무의 식재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였다. 2000년 이후에 건설된 지하형 공동주택에서부터 식재되기 시작한 초화류는 꽃을 감상할 수 있고, 화려한 외형적 특징으로 앞으로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increased to one million in 1985 and ten million in 1997, and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hat had been mainly constructed on the ground level began to be constructed in underground levels. Therefore, planting design in such complex were greatly...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increased to one million in 1985 and ten million in 1997, and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hat had been mainly constructed on the ground level began to be constructed in underground levels. Therefore, planting design in such complex were greatly changed. This study classifies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located in Cheongju into three categories: above-ground, mixture of above-ground and underground, and under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in each were then analyzed. The rate of parking per family increased by two or more in the type of mixture when compared to in the type of above-ground. As underground parking lots became dominant, the rate of parking per family increased to one car or more. The green area ratio did not change considerably when above-ground parking was combined with underground parking, but the green area per total floor space was reduced, which indicates the quality of green area became lower. Most of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since 2000 have been constructed underground, and the green area became larger. As for the species of trees used in planting design, trees that are vulnerable to damage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and may be repugnant have been reduced and replaced by trees whose shapes are beautiful and whose flowers and fruits can be appreciated, such as Chionanthus retusa, Malus floribunda, Styrax japonicus, Prunus mume, Lagerstroemia indica. Pine trees are variously planted with diversified standards, and, in particular, tall pine trees are being utilized as focal points. Herbaceous flowers began to be planted in underground parking lots constructed since 2000, and they are expected to be planted even more due to the appreciation of their flowers and their splendid appearance.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increased to one million in 1985 and ten million in 1997, and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hat had been mainly constructed on the ground level began to be constructed in underground levels. Therefore, planting design in such complex were greatly changed. This study classifies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located in Cheongju into three categories: above-ground, mixture of above-ground and underground, and under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in each were then analyzed. The rate of parking per family increased by two or more in the type of mixture when compared to in the type of above-ground. As underground parking lots became dominant, the rate of parking per family increased to one car or more. The green area ratio did not change considerably when above-ground parking was combined with underground parking, but the green area per total floor space was reduced, which indicates the quality of green area became lower. Most of the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since 2000 have been constructed underground, and the green area became larger. As for the species of trees used in planting design, trees that are vulnerable to damage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and may be repugnant have been reduced and replaced by trees whose shapes are beautiful and whose flowers and fruits can be appreciated, such as Chionanthus retusa, Malus floribunda, Styrax japonicus, Prunus mume, Lagerstroemia indica. Pine trees are variously planted with diversified standards, and, in particular, tall pine trees are being utilized as focal points. Herbaceous flowers began to be planted in underground parking lots constructed since 2000, and they are expected to be planted even more due to the appreciation of their flowers and their splendid appeara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므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주차장은 차량 증가와 관계법령의 설치기준에 의해 건설초기인 1980년 이전에는 주로 지상주차장을, 1990년 이후에는 지상과 지하를 혼합하여 설치하는 형식을 취하였으며, 2000년에 들어서는 지상보다는 지하주차장 설치를 확대하여 지상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주차장 설치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외부공간에 조성되는 주차율과 녹지면적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주차장 유형에 따른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수종, 수량 그리고 규격변화에 의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차장 유형에 따라 구분된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단지별로 설계당시의 도면을 참고하여 식재된 수종과 수량을 파악하였다. 주차유형에 따른 수종을 비교하여 식재의 다양성을 비교하였으며, 식재된 수종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구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식재된 수종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차유형에 따라 구분된 공동주택에서 지속적으로 식재된 수종, 신규로 출현한 수종 그리고 사라진 수종 등을 파악하여 식재설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차유형에 따른 수종을 비교하여 식재의 다양성을 비교하였으며, 식재된 수종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구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식재된 수종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차유형에 따라 구분된 공동주택에서 지속적으로 식재된 수종, 신규로 출현한 수종 그리고 사라진 수종 등을 파악하여 식재설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근 건설된 지하형 공동주택의 경우는 규격이 큰 수목을 사용하여 공간의 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상․지하혼합형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소나무와 주목 등 상록교목은 같은 수종이지만, 다른 규격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종의 다양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지하형에도 이어져 다양한 규격의 소나무를 사용하고 낙락장송과 같은 수목도 도입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공동주택의 식재 특성은 시공회사, 설계자의 의도, 시대적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의 유형에 따른 식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주라는 지역적인 한계와 9개의 공동주택단지의 설계도서를 이용했다는 연구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안 방법
먼저 가구마다 자가용 보유율이 적어 주차장 시설이 크게 필요하지 않아 지상에만 주차장을 설치했던 1980년대의 ‘지상형’,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급속도로 늘어난 자동차 증가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차장을 지상과 지하에 설치한 ‘지상·지하혼합형’, 마지막으로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지상에 휴게 및 녹지공간을 확대하여 주차장을 줄이고 주로 지하주차장을 이용하게 하는 ‘지하형’ 등으로 구분하였다.
주차장을 지상에만 설치한 ‘지상형’, 지상과 지하주차장을 병행하는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최근의 경향으로 지상의 주차장 공간에 식재를 하는 대신 지하주차공간을 넓힌 ‘지하형’으로 나누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식재특성을 분석하고자 주차장 설치 패턴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하였다. 먼저 가구마다 자가용 보유율이 적어 주차장 시설이 크게 필요하지 않아 지상에만 주차장을 설치했던 1980년대의 ‘지상형’,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급속도로 늘어난 자동차 증가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차장을 지상과 지하에 설치한 ‘지상·지하혼합형’, 마지막으로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지상에 휴게 및 녹지공간을 확대하여 주차장을 줄이고 주로 지하주차장을 이용하게 하는 ‘지하형’ 등으로 구분하였다.
차량증가에 따른 주차장 설치 변화가 공동주택 외부공간 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설치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였다. 주차장을 지상에만 설치한 ‘지상형’, 지상과 지하주차장을 병행하는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최근의 경향으로 지상의 주차장 공간에 식재를 하는 대신 지하주차공간을 넓힌 ‘지하형’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유형에 해당되는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대지면적과 녹지(조경)면적을 산출하여 전체 대지에 대한 조경면적을 비교하여 녹지율의 변천과정을 파악하였다. 녹지면적과 세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세대당 녹지면적을 산출하였다.
각각의 유형에 해당되는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대지면적과 녹지(조경)면적을 산출하여 전체 대지에 대한 조경면적을 비교하여 녹지율의 변천과정을 파악하였다. 녹지면적과 세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세대당 녹지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세대수와 주차장 설치 대수를 비교하여 구한 주차율에 따라 주차장 설치변화를 분석하였다.
녹지면적과 세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세대당 녹지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세대수와 주차장 설치 대수를 비교하여 구한 주차율에 따라 주차장 설치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차장 유형에 따라 구분된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단지별로 설계당시의 도면을 참고하여 식재된 수종과 수량을 파악하였다. 주차유형에 따른 수종을 비교하여 식재의 다양성을 비교하였으며, 식재된 수종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구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식재된 수종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목의 수량은 단위 면적당 식재수량으로 분석하였다. 낙엽 교목과 상록교목의 경우 식재된 수량은 점차 늘어났지만, 단위면적당 식재수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분석하고자 공동주택 외부공간을 주차장 설치유형에 따라 지상형,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구분하였다.
대상 데이터
주차장 설치유형에 따라 ‘지상형’으로 선정된 공동주택은 형석임대아파트, 보성임대아파트, 형석아파트이며, ‘지상·지하혼합형’의 공동주택은 대림아파트, 두진백로 그리고 소라아파트이며, ‘지하형’으로 선정된 공동주택은 아름다운나날2차, 계룡 리슈빌, 대원칸타빌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식재특성을 규명하고자 청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동주택을 대상지로 ‘지상형’, ‘지상·지하복합형’, ‘지하형’ 등 3가지 주차장 설치기준에 따라 각 유형별로 3개 단지씩 선정하였다.
대상지의 선정기준은 동일지역에 위치하여 기후의 특성을 받지 않은 곳으로 다양한 식재가 이루어진 지역, 주차장 설치 기준에 따라 비슷한 시기에 건설된 공동주택으로 주차장 설치 기준이 본 논문에서 분류한 유형에 부합되는 지역, 준공도면과 식재설계도면을 확보할 수 있어 당시의 식재설계 특성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지역 그리고 식재규격이 비슷하여 같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여 규격의 차이에서 오는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분석하고자 공동주택 외부공간을 주차장 설치유형에 따라 지상형,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구분하였다. 청주시에 위치한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각 유형별로 3단지씩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능/효과
‘지상·지하혼합형’의 공동주택은 15층으로 세대수는 608~675세대의 규모로 ‘지상형’ 공동주택에 비해 규모가 더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차장 위치 유형에 따른 공동주택의 수종 변화의 특성은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갈수록 수종은 점차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의 결과에서 녹지율의 경우,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으로 바뀌면서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2년 당시의 ‘건축법’ 제 9조의 2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대지의 조경에 대한 내용이 1980년대와 1990년대 건설된 지상형과 지상·지하혼합형 아파트단지의 녹지설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판단된다.
지하형에 속하는 아파트단지들의 녹지율은 평균 36.63%로 지상형과 지상․지하혼합형에서 나타난 20% 내외의 결과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99년에 개정된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7조에 따라 지상의 조경식재 공간이 넓어진데에 기인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 1980; Horley and Little, 1985; 최윤 등, 2007; 공동주택 연구회, 2008). 건축연면적에 대한 녹지면적의 비율을 분석한 건축녹지율의 결과에서는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으로 바뀌면서 6.6% 가량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파트가 고층화되면서 건축연면적은 증가한 반면 녹지면적은 지상형에 비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 중에서도 낙엽교목의 수종이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바뀌면서 각각 6종, 15종 그리고 24종이 사용되어 가장 높은 증가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사용된 수종으로는 감나무, 단풍나무, 목련, 벚나무, 은행나무, 수수꽃다리, 주목, 장미, 철쭉 그리고 회양목 등으로 낙엽교목 6종, 상록교목 1종, 관목 3종이었다.
주요 수종이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지상형에 많이 식재되었던 향나무는 1990년대의 지상·지하혼합형까지는 많이 식재되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사용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향나무의 생육특성상 수형이 좋지 못해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에 의한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록교목은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바뀜에 따라 각기 4, 6, 12종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주요 수종이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지상형에 많이 식재되었던 향나무는 1990년대의 지상·지하혼합형까지는 많이 식재되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사용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향나무의 생육특성상 수형이 좋지 못해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에 의한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는 지상․지하혼합형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수종으로, 지하형에서는 조형소나무와 낙락장송 등 쓰임새가 다양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향나무는 점차 단정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종으로 식재되었으며, 소나무는 조형소나무나 낙락장송을 사용하여 공간의 주요 지점에 식재하는 초점 식재의 핵심 수종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관목은 지상·지하혼합형에 비해 지하형으로 바뀌면서 단위면적당 식재수량은 2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최대 규격의 경우는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지상형인 경우는 수고가 3.0~3.9m의 범위를, 지상·지하혼합형인 경우는 3.5~4.0m의 범위를, 지하형인 경우는 4.0m 이상으로 최고 높은 수고가 5.5m에 달하는 것도 있었다.
잔디는 지상·지하혼합형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지하형으로 오면서 초화류가 새롭게 식재에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초화류의 식재수량은 적게는 2,500주를 많게는 14,000주 이상을 식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를 비롯한 초화류의 식재는 공동주택단지를 더욱 화려하게 꾸며 줄 수 있는 소재로써(이재준, 1998: 재인용; 이유미, 2003), 활용도와 사용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1. 주차장의 설치위치를 지하로 조성하기 시작한 1991년 이후에 준공된 지상․지하혼합형에 속하는 아파트 단지의 세대당 주차율은 지상형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주차장이 주로 지하에 설치된 2000년 이후에 입주된 아파트의 증가는 더욱 뚜렷한 경향을 나타냈다.
2. 녹지율의 경우, 지상형에서 지상․지하혼합형의 변화는 크지 않아 대체적으로 20% 내외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건축연면적대비 녹지면적비율인 건축녹지율은 지상형보다 지상·지하혼합형에서 더 낮게 나타나 녹지의 질을 더 저하시킨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1990년대의 아파트공급 확대정책과 차량의 급격한 증가가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건축연면적대비 녹지면적비율인 건축녹지율은 지상형보다 지상·지하혼합형에서 더 낮게 나타나 녹지의 질을 더 저하시킨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1990년대의 아파트공급 확대정책과 차량의 급격한 증가가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상·지하혼합형에 사용되기 시작한 소나무와 주목 등의 상록교목은 같은 수종이지만, 다른 규격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지하형에서는 소나무의 규격을 달리하거나 낙락장송과 같은 독특한 규격의 수종을 도입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부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건축연면적대비 녹지면적비율인 건축녹지율은 지상형보다 지상·지하혼합형에서 더 낮게 나타나 녹지의 질을 더 저하시킨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1990년대의 아파트공급 확대정책과 차량의 급격한 증가가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대부분이 지하로 설치된 지하형에 아파트단지 들의 녹지율은 크게 향상되어 평균 36.63%로 과거에 비해 많이 증가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조경시설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주차장을 지하에 주로 건설하고 있는 최근의 공동주택에 식재되는 수종 특성은 느릅나무와 회화나무와 같이 병충해에 쉽게 노출되고 냄새로 인한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형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며, 이팝나무, 꽃사과, 때죽나무, 매화나무, 배롱나무 등은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수종의 사용은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소나무는 다양한 규격과 낙락장송 등을 식재하여 공간의 초점 식재로 활용하는 추세이었다.
4. 단위 면적당 식재 수량으로 분석된 공동주택의 수목수량의 특성 분석에서는 주차장 설치유형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식재 수량이 증가하면서 녹지면적도 함께 증가하여 수량 증가의 폭이 상쇄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관목의 증가는 지하형으로 갈수록 현저히 증가되었다.
5. 수목의 규격은 낙엽수의 경우 최소 범위는 지상형과 지상․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대 규격의 경우는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상·지하혼합형에 사용되기 시작한 소나무와 주목 등의 상록교목은 같은 수종이지만, 다른 규격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지하형에서는 소나무의 규격을 달리하거나 낙락장송과 같은 독특한 규격의 수종을 도입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부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
또한, 청주라는 지역적인 한계와 9개의 공동주택단지의 설계도서를 이용했다는 연구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시대적으로 변화되는 주차장의 설치유형에 따른 식재특성을 파악했다는 의미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식재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주차장은 시대별로 어떤 형식을 취하였는가?
그러므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주차장은 차량 증가와 관계법령의 설치기준에 의해 건설초기인 1980년 이전에는 주로 지상주차장을, 1990년 이후에는 지상과 지하를 혼합하여 설치하는 형식을 취하였으며, 2000년에 들어서는 지상보다는 지하주차장 설치를 확대하여 지상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주차장 설치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외부공간에 조성되는 주차율과 녹지면적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주차장 유형에 따른 공동주택의 식재특성을 수종, 수량 그리고 규격변화에 의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초기에 건설된 공동주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kr)임을 감안한다면 정부의 주택보급 정책에 따라 주택물량 확보가 시급하므로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공동주택의 보급에 우선을 두게 되었다. 따라서 이때 건설된 공동주택은 단지의 획일성과 더불어 계층분화, 환경오염, 휴식공간 및 주차장 부족 등 주거환경의 질적인 문제점이 급격히 대두되었다. 또한, 공동주택이 들어선 단지의 외부공간은 차량과 사람들의 동선확보를 위한 통행로 설치가 대부분이었으며, 식재 공간과 편익시설물 등도 매우 미약한 상태였다(공동주택연구회, 2008).
공동주택은 무엇을 위한 주거환경인가?
공동주택은 부족한 도시의 토지 이용효율을 높이고자 건축된 주거환경이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은 지역 간 인구이동을 촉진시켰으며,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로의 인구유입이 크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4)
공동주택연구회(2008) 주거단지계획. 서울: 동녘
김대현, 김대수, 신지훈, 김분순(2005)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변천 및 요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6): 52-67
Bubolz, M., J. Eicher, S. Evers and M. Sontag(1980) A human ecological approach to quality of life: Conceptual framework and results of preliminary study. Soc. Indicators Res. 7: 107-136
Horley, J. and B. R. Little(1985) Affective and cognitive components of global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Soc. Indicators Res. 17: 189-19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