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단지 인공지반 식재환경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for Artificial Ground Landscaping of Underground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5, 2014년, pp.51 - 64  

강명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문석기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남정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planting grounds have converted to the artificial ground of the upper part of underground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recently by increasing utilization of underground parking area.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omposition of each ground and planting status. The study presents problems of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지하주차장 조성에 따른 인공지반 확장 및 토심한계, 대형목 식재 증가추세에 따른 공동주택 조경공간의 식재환경 여건 변화에 착안하여, 통합지하주차장 상부에 조성되는 조경공간의 녹지 및 식재현황을 조사하고 통합지하주차장 상부 조경공간에 대한 안정적 식재환경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지하주차장이 확대·통합되고 있는 반면, 공동주택의 조경공간의 특화는 당연시되어지고 있는 최근 식재경향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토심의 한계를 갖는 공동주택 조경공간의 식재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향에 대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수목 식재 시 최소생육토심기준의 만족여부를 판단하고 있어, 인공지반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생육환경 확보를 위한 개선방향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준공 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인공식재지반 녹지 환경 확보를 위한 시계열적인 수목생장·생육의 영향을 고려한 식재 개선방향이 제안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인공지반 식재환경의 최근 변화여건을 고려한 식재계획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심지어 인공지반에 R30이상의 심근성 대형 수목(소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도 다수 식재되고 있었다. 이에 공동주택 조경 공간 특화를 위한 대형목 도입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하여, 인공지반 내 대형 교목 식재에 대한 계획적 대응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인공지반에 식재된 수종 대부분이 최소 생육 토심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 녹지패치는 대부분 어떤 지반에 조성되는가? 이는 인공지반 면적이 혼합지반대비 약 60%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인공지반을 갖는 녹지패치가 가장 작은 규모의 많은 개수로 조성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하면 공동주택 녹지패치는 대부분 혼합지반에 조성된다. 그리고 혼합패치는 타 녹지패치와 비교하여 큰 규모의 조경식재공간으로 조성된다.
공동주택 단지 내 지하주차장 건설 의무화 법안이 발의된 후 공통주택의 모습은? 1999년 공동주택 단지 내 지하주차장 건설을 의무화하는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었다. 그 결과 2014년 현재, 공동주택 지상부에는 주차장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사업지구 지하부 전면에 통합형 주차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차장의 지하화는 지하 공간 활용의 극대화 및 지상부 녹지 공간 조성에 따른 생태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거주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효과를 가져왔다(Hong et al.
공동주택 단지 내 지하주차장 건설 의무화는 어떤 법에 의해 시행되었나? 1999년 공동주택 단지 내 지하주차장 건설을 의무화하는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었다. 그 결과 2014년 현재, 공동주택 지상부에는 주차장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사업지구 지하부 전면에 통합형 주차장을 조성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SH.Lee KJ.Han BH. and No TH. 2010.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Woody Plants according to the Ground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 Incheo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 Hong SR.Jeong DY and Shim SR. 2009.4.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according to Parking Lots Type in Muti-family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1): 43-49. 

  3. Jang HK.Ann GY and Lee EH. 2007.4 A Study 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1): 1-8. 

  4. Jo SH.Lee KJ.Han BH and No TW. 2010.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Woody Plants according to the Ground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 Inchon, Korea, Pr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0(2): 154-158 

  5. Kim JH.Lee KJ and Kim JH. 2004.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Green Space by the Change of the Floor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18(1): 42-52. 

  6.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13. Landscape Design Guidelines. 

  7.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 Guidelines. 20(2): 154-158. 

  8.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88. Landscape Plants, Kimoondang. 357-362. 

  9. Lee DW.Lee KJ.Han BH.Jang JH and Kim JY. 2012.8.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1-17. 

  10. http: //law.go.kr/ (National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