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삼 유래 Tanshinone IIA가 3T3-L1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와 지방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nshinone IIA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3 no.6, 2009년, pp.1409 - 1415  

정승일 (전주생물소재연구소) ,  이종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대체건강관리학부 건강관리) ,  장선일 (전주대학교 아토피.건강전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is especially a serious health problem in industrialized countries, because it is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he genesis or development of various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nshinone IIA가 3T3-L1 전지방세포의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데 관여하는 분자적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는 아포토시스 유도와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 및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aspase-3의 활성은 tanshinone IIA가 처리된 농도에 의존적으로 그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Fig.
  • Annexin V-FITC는 phosphatidylserine과 결합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아포토시스 초기에 발견된다고 알려졌다21). 따라서 tanshinone IIA 처리가 3T3-L1 전지방세포의 초기에 아포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약리적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tanshinone IIA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phosphatidylserine과 Annexin V-FITC의 결합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 따라서 이 연구는 3T3-L1을 대상으로 tanshinone IIA을 처리하여 전지방세포에서 아포토시스 유도에 대한 기전과 지방세포에서 지방형성 억제을 조사하여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러한 결과는 tanshinone IIA가 3T3-L1 전지방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에 caspase-3가 관여된다는 사실을 제공해 주었다. 또한 tanshinone IIA가 유도하는 아포토시스에 있어서 또 다른 관련 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아포토시스 유도 중요분자인 PARP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Fig.
  •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 및 제 2형 당뇨병을 포함한 여러 가지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기 때문에 특별히 선진국에서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T3-L1 전지방세포와 지방세포에서 아포토시스의 유도와 지방형성을 억제에 대한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유래 tanshinone IIA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 우리는 상기와 같이 tanshinone II의 항염증 분자기전을 보고한 후 이 약물이 지방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3T3-L1 전지방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tanshinone IIA의 영향을 MTT와 LDH 유리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T3-L1 전지방세포의 성장은 tanshinone II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삼이란 무엇인가?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은 전통적으로 부종(edema), 관절염(arthritis) 및 간염(hepatitis) 등 인체질환에 사용된 약용식물이다5). Tanshinone IIA는 단삼의 뿌리에서 추출된 주요 diterpene계 화합물이다6).
3T3-L1 전지방세포와 지방세포에서 아포토시스의 유도와 지방형성을 억제에 대한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유래 tanshinone IIA의 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Tanshinone IIA가 3T3-L1 전지방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와 LDH (lactate dehydrogenase) 분석을 통하여 조사한결과 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3T3-L1 전지방 세포에 tanshinone IIA를 처리하여 flow cytometer로 분석한 결과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아포토시스가 유도되었다. tanshinone IIA의 처리는 정상 세포수를 감소시킨 반면, 초기와 후기에 아포토시스를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Tanshinone IIA는 3T3-L1 전지방세포에서 caspase-3와 Bax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써 PARP의 절단을 증가시켰고, Bcl-2의 억제조절에 의한 신호전달 체계로 아포토시스를 유도하였다. 더욱이 tanshinone IIA는 세포내 triglyceride의 함량과 GPDH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약리 효과가 있었다.
비만은 어떠한 요인인가? 21세기 현대 산업사회에서 비만(obesity)은 관상동맥심질환(oronary heart disease),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등 심각한 대사성 질환을 (metabolic diseases) 야기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 받고 있다1). 최근 연구보고에 의하면, 대사성 질환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인 비만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음식물의 섭취 감소, 에너지소비 증가, 전지방세포(preadipocytes)의 분화와 증식억제, 지방형성 과정(adipogenesis)의 억제 및 지방분해의 증가 등에 대한 기전(mechanism)을 제안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2000 

  2. Formiguera, X., Canton, A. Obesity: epidemiology and clinical aspect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8: 1125-1146, 2004 

  3. Wang, Y.W., Jones, P.J. Conjugated linolic acid and obesity control: efficacy and mechanisms. Int J Obe Relat Metab Disord. 28: 941-955, 2004 

  4. Madsen, L., Petersen, R.K., S $\phi$ rensen, M.B., J $\phi$ rgensen, C., Hallenborg, P., Pridal, L., Fleckner, J., Amri, E.Z., Krieg, P., Furstenberger, G., Berge, R.K., Kristiansen, K.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s dependent on lipoxygenase activity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differentiation process. Biochem J. 375: 539-549, 2003 

  5. Kim, J.K.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Namsandan Publishers, Seoul, p 160, 1989 

  6. Ueng, Y.F., Kuo, Y.H., Wang, S.Y., Lin, Y.L., Chen, C.F. Induction of CYP1A by a diterpene quinone tanshinone IIA isolated from a medicinal herb Salvia miltiorrhiza in C57BL/6J but not in DBA/2J mice. Life Sci. 74: 885-896, 2004 

  7. Jang, S.I., Jeong, S.I., Kim, K.J., Kim, H.J., Yu, H.H., Park, R., You, Y.O. Tanshinone IIA from Salvia miltiorrhiza inhibits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production of TNF-a, IL-1 $\beta$ and IL-6 in activated RAW 264.7 cells. Planta Med. 69: 1057-1059, 2003 

  8. Jang, S.I., Kim, H.J., Kim, Y.J., Jeong, S.I., You, Y.O. Tanshinone IIA inhibits LPS-induced NF-κ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possible involvement of the NIK-IKK, ERK1/2, p38 and JNK pathways. Eur J Pharmacol. 542: 1-7, 2006 

  9. Gong, Z., Huang, C., Sheng, X., Zhang, Y., Li, Q., Wang, M.W., Peng, L., Zang, Y.Q. The role of tanshinone IIA in the treatment of obesity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tagonism. Endocrinology 150: 104-113, 2009 

  10. Park, H.J., Lee, S.B., Lee, E., Cha, B.C., Chio, M.Y., Lee, S.M., Chung, W.T. GC-MS analysis of diterpene quinone constituents of Salvia miltiorrhiza radix and biological activity. J Korean Soci Food & Nutr. 24: 459-465, 1995 

  11.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983 

  12. Takada, E., Toyota, H.. Suzuki, J., Mizuguchi, J. Prevention of anti-IgM-induced apoptosis accompanying G1 arrest in B lymphoma cells overexpressing dominant-negative mutant form of c-Jun N-terminal kinase 1. J Immunol. 166: 1641-1649, 2001 

  13. Ramirez-Zacarias, J.L., Castro-Munozledo, F., Kuri-Harcuch, W. Quantitation of adipose conversion and triglycerides by staining intercytoplasmic lipids with Oil Red O. Histochemistry 97: 493-497, 1992 

  14. Wise, L.S., Green, H. Participation of one isozyme of cytosolic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in the adipose conversion of 3T3 cells. J Biol Chem. 254: 273-275, 1979 

  15. Lu, Q., Zhang, P., Zhang, X., Chen, J. Experimental study of the anti-cancer mechanism of tanshinone IIA against human breast cancer. Int J Mol Med. 24: 773-780, 2009 

  16. Lin, R., Wang, W.R., Liu, J.T., Yang, G.D., Han, C.J. Protective effect of tanshinone IIA o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and its mechanism. J Ethnopharmacol. 108: 217-222, 2006 

  17. Che, X.H., Park, E.J., Zhao, Y.Z., Kim, W.H., Sohn, D.H. Tanshinone II A Induces apoptosis and S phase cell cycle arrest in activat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in press. 2009 

  18. Lu, Q., Zhang, P., Zhang, X., Chen, J. Experimental study of the anti-cancer mechanism of tanshinone IIA against human breast cancer. Int J Mol Med. 24: 773-780, 2009 

  19. Cowherd, R.M., Lyle, R.E., McGehee, R.E.Jr.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Cell Dev Biol. 10: 3-10, 1999 

  20. Saltiel, A.R., Jahn, C.R. Insulin signaling and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Nature 414: 799-806, 2001 

  21. Vermes, I., Haanen, C., Steffens-nakken, H., Reutelingsperger, C. A novel assay for apoptosis. Flow cytometric detection of phosphatidylserine expression on early apoptosis cell using fluorescein labelled Annexin V. J Immunol. Methods 184: 39-51, 1995 

  22. Lazebnik, Y.A., Kaufmann, S.H., Desnoyers, S., Poirer, G.G., Earnshaw, W.C. Cleavag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371: 346-347, 1994 

  23. Hsu, C.L., Yen, G.C. Effects of capsaicin 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Agric Food Chem. 55: 1730-173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